Icon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Fashion of Rock Stars in the 1960's

1960년대 록 스타 패션의 도상학적 해석

  • 이정원 (흥익대학교 패션디자인) ;
  • 금기숙 (홍익대학교 섬유미술.패션디자인과)
  • Published : 2008.07.31

Abstract

Considering that star reflects the image of current society, analyzing fashion of celebrity is to read ideal type and demands of beauty of the era. Especially the rock music-represents youth culture that last on present day-born in 1960's, and it is considered to a significant decade in pop music history. Thus this research will analysis rock star's fashions in iconological view of E. Panofsky. The aim of this document is Clarifying how the fashion of pop stars appeared and what formed its worth. As a result of analyzing fashions of rock star in 1960's, it is available to find these sameness and difference. The Mods borrowed images of the past, and introduce the elite modernism and shows very urban style. The Folky and the Psychedelic showed post-structuralism propensity against industrial society, in the case of the Folky it induced styles that symbolize labor class to realize social worth. And as an aftereffect of war and repulsion of commercial worth, they embody nature-returning peasant look so that it shows pastoral mood in total. The Psychedelic express somewhat struggling escapism and it generated illusionary images with quests to superego and glorification to psychedelic status. The Folky and the Psychedelic are same in the side of introducing existentialism, this occurred by using ethnic factor. But the Folky showed plain outlook by pop propensity, on the other hand, the Psychedelic showed magnificent outlook such as optical art, pop art, and futurism ought to express merrymaking culture. And common feature of these is introduction of unisex mod which is came after the change of gender role. Thus each star or group has professed special ideology into their culture and it is reflected to acts which is including music and dress style. This affair is analyzed like these two things. The mass of people schemes their identity with inducing special ideology to their culture at the first. And the purpose to archive cultural hegemony in inter-social class at the next.

Keywords

References

  1. 원용진 (1993). 스타, 스타론, 스타 읽기. 서울: 言論文化硏究, p. 264
  2. H. 마르쿠제, 박병진 역 (1988). 일차원적 인간. 서울: 한마음사, p. 42
  3. 金素英 (2003). 록음악의 역사와 음악적 성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6
  4. 사이먼 프리스, 윌 스트로, 존 스트리트 엮음, 장호연 옮김 (2005). 케임브리지 대중음악의 이해. 서울; 한겨레, p. 195
  5. 金素英 (2003). 록음악의 역사와 음악적 성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4
  6. 조용진 (1997). 서양화 읽는 법. 서울: 사계절, p. 47
  7. 얀 비알로 스토키(Jan Bialostoki), 에케하르트 캐멀링 편집. (1997). 도상학과 도상해석학. 서울: 사계절, p. 17
  8. 얀 비알로 스토키(Jan Bialostoki), 에케하르트 캐멀링 편집. (1997). 도상학과 도상해석학. 서울: 사계절, p. 5
  9. 칸 퀸스틀레(Kan Künstle), 에케하르트 캐멀링 편집 (1997). 도상학과 도상해석. 서울: 사계절, p. 71
  10. 칸 퀸스틀레(Kan Künstle), 에케하르트 캐멀링 편집 (1997). 도상학과 도상해석. 서울: 사계절, p. 8
  11. 신미순 (2002).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작품에 대한 도상해석학적 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
  12. 에르빈 파노프스키(Erwin Panofsky) (1997). 도상학과 도상해석학. 서울: 사계절, pp. 139-146
  13. Moers E. (1960). The Dandy Brummell to Beer- bohem. London: Secker & Waburg, p. 62
  14. 이민선 (2003). 권력과 남성 패션에 표현된 미적 이미지. 복식문화학회, p. 183
  15. 이연희 외 (2002). 패션문화. 서울: 예학사, p. 94
  16. Bevis Hillier (1993). 20세기 양식. 서울: 수학사, p. 210
  17. Nikos Stangos, 성완경, 김안례역 (1996). 현대미술의 개념. 서울: 문예출판사, p. 367
  18. 루돌프 아른하임, 정용도 역 (1995). 중심의 힘. 서울: 눈빛, p. 179
  19. 김용훈 (1987). 색채 상품 개발론. 서울: 청우, p. 22
  20. 김성곤 (1990). 비트세대와 성난 젊은이들. 서울: 문학정신, p. 58
  21. 윤수경 (2003). 저항적 하위문화로서의 히피와 그 전후 스타일의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6
  22. 서유리 (1994). American Hippie와 그 복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6
  23. 유송옥, 이은영, 황선진 저 (1999). 복식 문화. 서울; 교문사, p. 286
  24. Ted Polhemus (1994). Street Style. Thames and Hudson, p. 40
  25. 사이먼 프리스, 윌 스트로, 존 스트리트 엮음, 장호연 옮김 (2005). 케임브리지 대중음악의 이해. 서울; 한겨레, pp. 225-226
  26. John Fiske (2002). 대중문화의 이해. 박만준 역, 서울: 경문사, p. 235
  27. 이성철 (1990). 노동자계급과 문화적 실천에 관한 이론적 연구. 한국산업사회학회, p. 161
  28. 사이먼 프리스, 윌 스트로, 존 스트리트 엮음. 장호연 옮김 (2005). 케임브리지 대중음악의 이해. 서울; 한겨레, p. 230
  29. 코디 최 (2006). 20세기 문화 지형도. 서울: 안그라픽스, p. 132
  30. 정해순 (1992). 팝뮤직이 현대패션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