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on Explosives Demolition of the Dongdaemoon Complex Stadium(Baseball field) in Republic of Korea

동대문 운동장(야구장) 발파해체 시험시공 사례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The Dongdaemoon complex stadium is scheduled to remodelled into an international park, which will be named Design Plaza. The Dongdaemoon baseball field was constructed with Rahmen Structure which comprised beams, slabs and columns. In order to assure for viewing, the stadium was composed unusual structure that the height of the front column and the back column was designed differently. The bleachers was an upper arch form for viewing. The slab was not flat unliked the general infrastructure and tilted in stairway type for viewing. If we had applied the mechanical demolition method, we could have predicted several problems. Firstly, the stand could be unstable when the heavy equipment was to crush the reinforced concrete on the slab. Because the slab was not flat. Secondly, the construction expense and construction duration could be increase when the large equipment was to crush the reinforced concrete on the ground. Because the height of the stand was too high to crush on the ground so it needed to build a filling. Thus, we applied both the mechanical demolition method and explosives demolition method at the design stage. The result of explosives demolition was of complete success in terms of structural movement and controlled blasting noise and vibration. This case study provided a good example for a successful application of explosives demolition in urban areas.

동대문 운동장의 노화된 시설물을 철거하고 "디자인 플라자"라는 국제적인 공원으로 거듭나기 위해 기존의 구조물을 철거하여야 한다. 동대문 야구장은 기둥과 보로 이루어진 라멘 구조로서 관람을 위한 스탠드를 확보하기 위하여 앞쪽과 뒤쪽 기둥의 높이가 다른 특수한 형식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관람을 위한 외야석 스탠드는 특성상 아치 형상으로 되어 있고, 슬래브는 일반적인 구조물처럼 평탄하지 않고 관람을 위하여 계단형식으로 기울어져 있다. 기계식 철거를 적용하기 위하여 중장비를 슬래브 위에서 압쇄를 할 때는 자리확보가 곤란하고 안전성 확보가 어렵다. 지반에서 대형 장비를 이용한 압쇄철거공법 적용 시에는 스탠드 높이가 높아 압쇄를 할 수 있는 높이까지 지반에 성토를 한 후 압쇄를 하여야 함으로 공사비용과 공사기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예상되었다. 따라서 실시설계단계부터 이를 고려하여 기계식 철거공법과 발파해체 공법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였다. 발파해체 결과 붕괴 거동의 안전성 확보와 발파공해에 대하여 제어가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도심지내에서 발파해체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가 되었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6, 도심지 건축물 해체 기술 연구 기획 보고서, 건설교통부
  2. 국토해양부, 2007, 친환경 도시재생을 위한 첨단 해체 기술연구보고서, 국토해양부
  3. Dowding, C. H., 1994, Ground motions and air-blast effect of explosive demolition of structure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120, No. 4, pp. 838-856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1994)120:4(8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