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ggestion of New Method for the Prediction of Shock Vibration

충격진동 예측방법에 관한 새로운 방법 제안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In case of estimating the shocking vibration during the blasting demolitions, the weight and falling height of the structure, that is a potential energy, had been considered. But, this study presented a new equation which used the impulse concerning a falling weight instead of potential energy as a method of predicting the shock vibration. In this experiment, the data of the impulse were compared with the data of the potential energy by performing the free-fall, and all data were comparatively analyzed by the regression analysis method. Also, the method of the superposition theory, which is calculated by the diminution ratio according to distance, the free-fall difference according to height, and the time giving the shock to the ground according to the breakdown pattern, was compared with the previous vibration data occurring from the blasting demolitions in the same conditions.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mpulse and the method of superposition theory be applied as a method of predicting the shocking vibration. Therefore, these results could be expected to estimate the shocking vibration more accurately than the previous method.

건물해체에서 발생하는 충격진동의 예측은 구조물의 낙하높이와 중량, 즉 위치에너지가 고려되어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충격진동의 예측방법으로써, 위치에너지 대신 낙하중량에 관한 충격량을 이용한 새로운 식을 제시하였다. 실험은 자유낙하를 통해 기존의 방법인 위치에너지와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충격량을 회귀분석 결과로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중첩원리를 이용한 방법도, 즉 거리별 감쇠율, 높이별 자유낙하시차, 붕괴패턴에 따른 지반에 충격을 가하는 시점을 산정함으로써, 기존 건물해체 진동데이터와 동일 조건에서 비교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충격진동을 예측하는 방법으로써 충격량과 중첩의 원리를 이용한 새로운 방법이 적용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실제 건물해체 시 발생하는 충격진동을 기존의 방법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을 거라고 기대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추원, 2005, 발파공학 A to Z, 구미서관, 서울, pp. 279-290, 444-445
  2. 고영선, 이기락, 김종우, 1996, 낙하충격에 의한 지반진동특성에관한연구, 청주대학교산업과학연구, Vol. 14
  3. 과학기술부, 2003, 제어발파기법을 이용한 구조물 발파해체기술 개발, 과학기술부, pp. 222-223
  4. 김종인, 2006, 단일공 파형 중첩 모델링 자료에 의한 발파진동의예측, 공학박사 학위논문, 조선대학교, 광주
  5. 임대규, 임영기, 2004, 발파해체시 낙하충격진동 예측에 관한 연구, 화약.발파(대한화약발파공학회지), Vol. 22, pp. 4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