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urse Development of the Marine Leisure Sport Policy

해양레저스포츠 정책의 발전방향

  • Kim, Chan-Ryong (Department of Leisure & Sport, Dong Eui University) ;
  • Lee, Jae-Hyung (Division of Marine Physical Education,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김찬룡 (동의대학교, 체육학부) ;
  • 이재형 (한국해양대학교 해양체육학과)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a course development of the marine leisure sport policy in Korea. The preceding researches and the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s on marine leisure sport in Korea were conducted for this research. And analyzing the obstacle and development factors in marine leisure sport, the conclusions intended to provide the preliminary data on the marine leisure industry are as follows: First, as policy-based problems, there will be needs for the public perception improvement in the marine culture caused by the lack of publicity, the reflection reinforcement of the national policy on the marine leisure industry, the prevention of the overlapping investment for the national resources development in the marine industry and marine leisure sport complexes, and the reinforcement of the close networks with the developed countries. Second, as human-based problems, there will be needs for the new organization of the specialty agencies involved in the marine leisure industry field, the nurture of the capable specialists and the reinforcement and nurture of TF team for the infrastructure industry. Third, as facility-based problems, there appeared to be the expansion of the SOC related to the marine leisure, the ease of the laws and regul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marine leisure facilities, the prevention of the thoughtless development caused by close cooperation system with the local government. Fourth, as law and institution-based problems, there appeared to be the abolishment of the regulation-centered laws involved in them, the prevention of the legal and institutional confusion caused by policy confusion. Fifth, as industry-based problems, there must be the expansion of the domestic supply and demand, the reinforcement of parts industry and the nurture of the license system for the mechanics on the vessels and the engines.

이 연구는 해양레저스포츠 정책의 발전방향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우리나라 해양레저스포츠에 관한 선행연구와 실태분석, 해양레저스포츠의 장애요인 및 발전요인을 분석하였다. 해양레저산업의 발전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기반의 문제로 해양문화에 대한 홍보 미비로 인한 국민들의 인식개선, 해양레저 산업에 대한 국가정책 반영 강화, 해양산업 해양레저스포츠 복합단지의 국가자원화 개발 중복 투자 방지, 선진국과의 긴밀한 network 구축 강화이다. 둘째, 인적기반의 문제로 해양레저 산업분야의 전문부처 조직신설, 전문지도자 육성 및 기반조성 사업의 TF팀 육성 강화이다. 셋째, 시설기반의 문제로 해양레저 관련 SOC의 확충, 해양레저 시설개발을 위한 법 제도적 규제완화, 지방정부와의 긴밀한 협력체계로 인한 난개발의 방지이다. 넷째, 법 제도적 기반의 문제로 규제 중심의 관련법규 철폐, 정책의 혼선으로 인한 법 제도적 혼선 방지이다. 다섯째, 산업적 기반의 문제로 국내 수요공급 확충과 부품산업의 강화, 선박/엔진 등 정비사 자격제도의 육성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성현(2007), "서남권 해양관광 기반구축과 화원관광단지 성공전략 심포지엄", 한국해양관광학회, pp. 59-130
  2. 산업자원부(2004), "동남권 해양레저장비 개발센터 구축", 수송기계산업과, 공개자료
  3. 이재형(2007), "21세기 New 해양레저스포츠의 접근", 해양 관광 발전 방안 마련을 위한 2007 해양관광 심포지엄 발표자료, 해양수산부, pp. 2-24
  4. 이재형(2008), "해양레저스포츠 참여자의 운동중독이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17권, 1호, pp. 87-99
  5. 이재형, 권혁동(2003), "해양스포츠관광의 정책적 중요성과 활성화 요인", 한국스포츠리서치, 14(6), 1169-1182
  6. 지삼업(2002), "대규모 국제행사 경제효과 극대화를 위한 해양스포츠 육성방안", 한국체육학회지, 41(4), 83-97
  7. 지삼업(2007), "해양관광 발전 마련을 위한 2007 해양관광 심포지엄", 해양수산부, pp. 27-70
  8. 차성기(2007), "학술지를 통해본 해양스포츠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체육학회지, 46(1), 557-565
  9. 최도석, 심미숙(2004), "부산의 해양관광 실태분석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발전연구원, pp. 3-20
  10. 한국레저협회(2005), "2005 레저스포츠 현황 조사자료"
  11. 해양수산발전기본법 제7조, 8조, 9조 참조
  12. 해양수산부(2006), "해수욕장 유형별 관리.평가 모델 개발 연구"
  13. 해양수산부(2006), "해양관광 기반시설 조성 연구용역 보고서", pp. 314-330
  14. Brandl, B. and Brett, S.(1997), "Brandl- Bredenenbeck, H. P., & Brettschneider", W. D.(1997), Sport Involvement and Self-Concept in German and American Adolescents, Sociology of Sport, Sage Publication

Cited by

  1. A Competitive Intensification Plan for Marine Leisure Equipment Industry in the Southeast Region vol.36, pp.2, 2012, https://doi.org/10.5394/KINPR.2012.36.2.131
  2. Analyses of Perceptions to Hindering Factors and Development Factors for Water Leisure Activation vol.37, pp.3, 2013, https://doi.org/10.5394/KINPR.2013.37.3.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