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pproach to Enhance the Unfair Area in the Rural Landscape

농촌 조건불리지역의 경관개선을 위한 접근

  • Jang, Gab-Su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Research Team, Chungnam Development Institute) ;
  • Park, In-Hw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장갑수 (충남발전연구원 환경생태연구팀) ;
  • 박인환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Three land-use limitations including water hazard, soil erosion and fallow potential were evaluated to define an unfair area. Landscape indices in the unfair areas, defined by evaluations before and after landscape enhancement, were computed by Fragstats v3.3 and compared in order to propose a landscape enhancement pla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land evaluation, 388.56ha was analyzed for the 1st class(S1), 623.25ha for the 2nd class(S2), 138.08ha(S3s: 82.47ha, S3e: 51.88ha) for the 3rd class(S3), 230.44ha(N1w: 194.91ha, N1e: 23.09ha, N1es: 13.94ha) for the 4th class(N1), and 67.91ha(N2w: 60. 89ha, N2es: 7.02ha) for the 5th class(N2). The classes under the 3rd class(including the 3rd class) were determined as an unfair area, and proposed landscape enhancement for them. Second, it was proposed that unfair areas with potential water hazards(N1 w, N2w) be restored as a wetland and buffer zone. At this point, the farmers owning these fields could be compensated using the direct payment for landscape conservation(DPLC). Areas witha relatively lower slope(S3e) or a steep slope(N1e) containing soil erodibility potential were proposed to be restored as a sod-culture-applied field and substitute vegetation or potentially natural vegetation, respectively. The unfair areas having fallow potential(S3s, N1es, N2es) were proposed to apply special use crops for the S3s fields, native plants for the N1es fields, and intended fallow for the N2es fields. Third, after landscape enhancement, theforest had higher values in the indices of NP, PLAND, LSI, IJI, and TCA, while paddy and upland had lower values in most indices except NP and LSI. The forest patches increased and were more plentiful with their restoration and had much greater possibility to join with nearby patches. With continued restoration, forest patches will have a large core area and small number of patches due to the conglomeration of patches, which positively influences the species of diversity in the forest patches.

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을 대상으로 토지이용 제한인자인 홍수피해, 토양침식 그리고 휴경 잠재성을 종합한 토지평가에 따라 조건불리지역으로 선정된 지역에 대하여 경관복원을 위한 제언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관복원 전후의 경관구조 비교를 통하여 경관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토지평가 결과 연구지역 내 농경지 면적 2,924.34ha 중 1급지는 388.560a, 2급지는 623.25ha존재하였고, 3급지는 138.08ha, 4급지는 230.4ha, 그리고 5급지는 67.91ha 존재하였다. 이 중 3급지와 4급지에 해당하는 지역은 조건불리지역으로 간주하여 경관개선을 위한 제안을 하였다. 둘째, 침수잠재성을 가진 조건불리지역은 습지와 그 완충지역으로의 복원을 제안하였고, 이 때 복원대상 토지의 소유주에게는 경관보전직접지불제에 의한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토양침식잠재성을 가진 조건불리지 역 의 경우, 초생재배, 대상식생, 잠재자연식생으로의 전환을 통한 지력보강 방법을 제안하였다. 셋째, 조건불리지역의 경관복원에 대한 제안에 따라 경관복원 전후의 경관구조를 평가한 결과, 산림은 그 패치의 수, 경관비율, 최대패치지수, 경관형태지수, 산재 병렬지수, 그리고 핵심지역 면적에서 모두 증가한 반면, 논 밭과 과수원에서는 패치수, 경관형태지수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수에서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우리나라 산림은 과거 농업이 경쟁력을 가질 당시에 지나치게 확장되어 현재 홍수피해, 휴경 등 여러 가지 열악한 여건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며, 그런 의미에서 본 연구가 나름의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화, 심상인, 마경호(2003) 휴경 연차에 따른 휴경군락내 식생 특성. 한국환경농학회지 22(1): 53-59
  2. 김가현, 이영래, 서진호, 민일규(2001) 남사천 하류지역 홍수피해 분석. 한국환경과학회지 10(3): 217-223
  3. 나영은, 노기안, 이상범, 한민수, 박무언(1996) 휴경답 생태계의 토양특성 변화와 식생의 생태 천이. 한국토양비료학회지 29(2): 199-206
  4. 박의정, 김철, 김석규, 이치열(2002) GIS를 이용한 함평천유역의 침수취약지역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48-57
  5. 윤용남, 김형수, 박무종, 김상단(2000) 불확실성 분석을 고려한 홍수피해 저감계획. 한국수자원학회 춘계학술박표대회 논문집: 382-387
  6. 이응경(1998) Trend of forest fragmentation in the lower region of the Han river basin,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이한방(2001) 과소농촌지역의 휴경화 현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장갑수, 박인환(1999) 경상북도 4개 도시의 녹지파편화 현상 비교.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8(4): 13-23
  9. 정필균(1983) 토양유실량 예측을 위한 강우인자의 분석. 한국토양비료학회지 16(2): 112-118
  10. 최진규, 구자웅, 손재권(1998) 토양유실량예측공식 USLE 적용과 단위변환.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1(3): 301-308
  11. Forman, R. T. T(1995) Land Mosa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Mcgarigal, K.(2002) Landscape pattern metrics. pages 1135-1142 in A. H. El-Shaarawi and W. W. Piegorsch, eds. Encyclopedia of Environmentrics. pp. 1135-1142. John Wiley & Sons, Sussex, England
  13. Mcgarigal, K. and B. J. Marks(1994) Spatial pattern analysis program for quantifying landscape structure. Oregon State University
  14. Mcgarigal, K., Cushman, S. A., Neel, M. C. and E. Ene(2002) FRAGSTATS: Spatial pattern analysis program for categorical maps, computer software program produced by the authors at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http//www.umass.edu/landeco/research/fragstats/ fragstats.html
  15. Wischmeier, W. H. and D. D. Smith(1978) Predicting rainfall erosion losses-a guide to conservation planning, U. 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e Handbook No. 5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