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nting Characteristics of Pyeonghwa Park in World Cup Park, Seoul

서울 월드컵공원 평화의공원 지구의 식재특성 연구

  • Han, Bong-H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 Bae, Jung-He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
  • Kim, Ji-Suk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
  • Lee, Kyong-Ja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 배정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김지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This paper categorized the functions of and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planting in Pyeonghwa Park near the Seoul World Cup Stadium as a preliminary study for improving tree planting in the park. The functions of planting were deduced based on related theoretical studies and an analysis of the intention of design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 characteristics of planting were analyzed after drawing the distribution and stratification of dominant planting species and setting samples by function. The functions of planting were classified into natural landscape planting, buffer planting, and shade planting. For dominant planting species, pine trees and elm-like trees have been widely observed while various species in addition to pine trees in natural landscape planting areas have been introduced in terms of the function of planting. These trees that were randomly planted before the park was developed have been obstacles in the formation of natural landscapes. For buffer planting and topographical correction, tall trees were planted. However, it seems that comprehensive complementary measures should be taken on the under-story planting.

본 연구는 도시공원의 수목식재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로 서울 월드컵공원 평화의공원 지구의 식재기능을 구분하고 기능별 식재특성을 연구하였다. 우선 식재기능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도시공원내 적용 가능한 식재기능을 도출하였고, 대상지 설계의도와 환경요인 분석을 거쳐 이를 적용하였다. 식재특성 분석은 우점 식재종 분포와 층위 구성을 전체 도면화한 후 식재기능별 표본 조사구를 설정하여 배식구조를 분석하였다. 대상지 식재기능은 경관식재의 정형식재, 자연경관식재와 완충식재의 방음식재, 차폐식재, 녹음식재의 녹음식재, 지피식재로 구분되었다. 우점식재종은 소나무, 느티나무가 넓게 식재되었고, 식재기능별로는 자연경관식재지내 소나무 이외 다양한 수종이 도입되어 있었다. 이는 공원조성이전 식재된 기념식수목으로 과도한 종의 다양성과 수종간 부조화로 의도한 자연경관 형성에 부적합하였다. 방음식재지는 지형 조정과 키 큰수목을 배식하였으나 전체적으로 하층의 보완이 필요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전오(1997) 중부지방 자연식생분석을 통한 생태적 배식모델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동완(1999) 서울 양재시민의 숲 배식기법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종엽(1999) 자연식생구조를 고려한 완충녹지 배식 모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종엽(2007) 수도권 도시 조성녹지의 군락식재 모델 개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서울특별시(2000a) 서울시 비오톱 현황조사 및 생태도시 조성지침 수립
  6. 서울특별시(2000b) 평화의 공원 조성 실시설계
  7. 서울특별시(2003) 월드컵공원 건설지
  8. 오구균, 김도균(2006) 생태녹화공학. 광일문화사
  9. 한봉호(2000) 생태도시 구현을 위한 도시녹지축의 생태적 특성 평가 및 식재모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황서현(2003) 근린공원의 공간기능에 따른 녹지배치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建設省關東地方建設局(1987) 昭和62年度公共用綠化樹木植栽適正化調査報告書-關東地方植栽技術マニュアル(案)-
  12. 中島宏(1993) 植栽の設計.施工.管理. (財)經濟調査會, 東京
  13. 中島宏(2004) 綠化.植栽マニュアル -計劃.設計から施工․管理まで-. (財)經濟調査會, 東京都
  14. 新田伸三(1974) 植栽の理論と技術. 鹿島出版會. 東京
  15. Hackett, B.(1979) Planting design. E. & F. N. Spon Ltd, London
  16. Robinson, N.(1992) Planting design handbook. Gower Publishing, Hampsphire, Eng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