옻골마을 비보경관의 환경생태적 의미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Meaning of Bibo Landscape in Otgol Village

  • 발행 : 2008.06.30

초록

본 연구는 현재 비보 못과 비보 숲의 형태가 남아있는 대구광역시 소재 경주 최씨의 씨족마을인 옻골마을을 대상으로 실증적인 조사를 하여 환경생태적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특히, 비보경관인 비보연못, 비보숲 그리고 마을수계를 환경생태적으로 해석하고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연구대상지에 현재 남아 있는 비보경관에 대해 풍수지리적으로 서술하고 이것에 대한 환경생태적 의미를 규명하고자 한다. 환경생태적 의미는 매우 포괄적인 개념이지만 본 연구는 실증적 연구로서 삶의 질의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해석하고자 한다. 첫째, 지속적인 수계기능의 활성화를 규명하고자 수질을 측정했다. 즉 선비의 상징 및 휴식공간이 있는 동계, 생활주거공간인 서계, 이 두 계곡의 물이 합쳐지는 비보연못 그리고 연못에서 머문 후 마을 밖으로 흐르는 개울의 수질을 측정했다. 둘째, 마을의 안과 밖을 경계하는 비보숲의 미기후에 대한 기능을 평가하고자 했다. 즉 숲을 중심으로 각각 200m 떨어진 지점에 각 지점별 2개의 온도기를 설치하여 시간대별로 기온을 측정했다. 셋째, 건전한 생태계를 지속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측정했다. 즉 경관생태지표를 선정하여 측정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보연못은 수질정화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또한 동계정, 정려각 등 조경공간의 기능이 배치되어 있는 동계는 암벽과 계류 등 경관이 빼어나 주로 남성들이 이용하는 공간이었던 것에 비하여 주거공간이 많은 서계는 빨래 등 여성들의 활동에 필요한 공간으로 사용된 것으로 수질의 차를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 둘째, 비보숲의 경우는 그 목적인 방풍과 온도저감을 기대하기는 적합하지 않는 소규모의 마을숲으로 다만 마을의 영역을 구분하는 기능을 한다고 해석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셋째, 경관생태지표를 통한 생태적 건전성은 양호하며 보통의 전통농촌마을과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녹지연결측면에서 본다면 마을 경계녹지와 마을숲의 연결은 매우 양호하다. 특히 훼손된 마을숲을 잘 복원한다면 생물서식환경의 기능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를 고찰해보면, 전통마을공간은 인간과 자연이 유기적인 통합체로 공존하는 환경생태학적 사고를 바탕에 둔 풍수지리사상의 영향으로 형성되었다. 또한 환경생태적 방법으로 볼 때, 풍수지리사상 중 비보사상에 의해 조성된 비보못과 비보숲의 의미는 지속 가능한 마을을 조성하는 중요 요소로 볼 수 있다. 다양한 수공간은 물의 순환체계를 원활하게 해주어 수질정화와 수량 확보에 크게 기여할 것이며, 숲은 마을을 위요시켜주면서 미기후를 조성하게 해주어서 겨울과 여름철의 기온차와 습도차를 줄어줄 것이다. 하지만, 숲의 규모가 작고 훼손이 심한 경우 상징적인 영역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전체 녹지체계와 식생구성은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고 종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연결녹지로서 기여할 것이다. 옻골마을은 마을형국을 보다 완전하게 만들기 위해 비보경관을 조성했다. 즉 땅의 생태질서를 최대한 유지하고 그것에 대한 점진적 이해를 바탕으로 조정된 마을로 쾌적한 주거환경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전통마을계획방법은 유기적이고 환경생태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환경생태학에서 보는 전통마을은 객관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대상이다.

An empirical study and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analysis were conducted on Otgol Village(a village of the Gyeongju Choi's clan in Daegu) where an enclosed pond and groves are still observed. In particular, the enclosed pond and groves and village water system were investigated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The enclosed landscape is described based on feng shui principles and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significance were examined. In general,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significance is very broad; however, they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quality of life as an empirical study as follows: First, water quality was measured to investigate the improvement of continuous water system functions. In other words, water quality was measured at East Valley(resting space), West Valley(living space), the enclosed pond where the two valleys merge, and the stream that flows out of the pond. Second, the climate functions of the enclosed groves that border the village were examined. In other words, temperature was measured in two places(200m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groves). Third, whether or not a sound ecosystem can be sustained was investigated. In other words, landscape ecological indicators were chosen and measu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nclosed pond played the role of purifying water quality. While the East Valley has been popular with men for its rock walls and torrents, the West Valley has been popular with women as a living space(ex: doing the laundry). Therefore, the difference of water quality can be explained. Second, since enclosed groves are in a small village forest, they are very weak in terms of being wind proof and temperature reduction effects. Instead, they play the role of the village boundary. Third, the groves are ecologically sound considering the landscape ecological indicators and are similar to ordinary traditional rural villages. In terms of the connection of the green zone, the village groves are well connected to the village boundary wood. If the village groves are restored, in particular, they would offer a decent habitat for grove creatures. According to this study, the traditional village space was formed upon the influence of Feng Shui theories that are based on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rinciples that focus on the harmony between humans and nature. From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erspective, the enclosed pond and groves are important factors in building a sustainable village. The diverse water space would help to improve water quality and increase water volume by promoting the water circulation system. In addition, the village woods would surround the village and decreas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difference between winter and summer. If the groves are small and badly damaged, however, they are meaningful only in dividing the region. The overall improvement of a forestation system and botanical composition may increase the biological diversity and promote the migration of species. Otgol Village has developed an enclosed landscape to improve the village environment. In other words, a sound and refreshing living environment can be developed when the natural ecological system is well understood and properly preserved. Additionally, this traditional village planning will be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method. From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ecology, therefore, a traditional village is recommended.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세영(1997) 옻골 경주최씨 씨족마을의 공간구성과 주거의 특성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병주, 이상해(2006) 풍수와 한국 전통마을에 대한 생태적 해석: 경기 이천시 백사면 도니피마을을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2(6): 19-30
  3. 김지환(2005) 비봉형국 보완을 위한 비보풍수. 대구한의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학범, 장동수(1994) 마을숲. 서울: 열화당
  5. 대구광역시(1996) 옻골 거대도시 속의 씨족마을. 대구광역시
  6. 신상섭(2007) 한국의 전통마을과 문화경관 찾기. 서울: 대가출판사
  7. 이도원(2004) 한국의 전통생태학. 서울: 사이언스 북스
  8. 이옥기, 박명덕(1989) 동족부락 옻골마을과 백불고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5(3): 105-113
  9. 정격숙(2002) 마을 숲의 환경 조절 효과분석
  10. 최원석(2000) 영남지방의 비보.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1. 최원석(2001) 영남지방의 비보 읍수에 관한 연구. 문화역사지리 13(2): 103-117
  12. 최원석(2003) 영남지방 비보의 기원과 확산에 관한 일고찰. 문화역사지리 15(1): 48-64
  13. 최재운, 배영희(2004) 초시대 풍수지리. 서울: 민속원
  14. 최창조(1984) 한국의 풍수사상. 서울: 민음사
  15. 한필원(1993) 자연주의 건축계획방법의 기초적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9(7): 25-37
  16. 한필원(1996) 전통마을의 환경생태학적 해석: 경북 김천시 구성면 상원리 원터마을을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7): 121-133
  17. 환경부(2004) 사전환경성검토 업무편람. 환경부
  18. 황보철(2005) 한국적 생태마을계획을 위한 경관지표의 활용.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Forman, R. T. T.(1995) Land mosaic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Ingegnoli, V.(2002) Landscape ecology: a widening foundation. Berlin: Springer
  21. Marsh, W. M.(1998) Landscape planning. John Wiley & Sons. New York
  22. Sargent, F. O., P. Lusk, J. A. Rivera and M. Varela(1991) Rural environmental planning for sustainable communities, Island Press
  23. Turner, M. G., R. H. Gardner and R. V. O' Neill(2001) Landscape ecology in theory and practice. Springer-Verlag
  24. Zonneveld, I. S.(1995) Land ecology. Amsterdam: SPB Academic Publis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