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 내장 벽지의 고온산소지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Oxygen Index of Interior Wallpapers at Elevated Temperature

  • 오규형 (호서대학교 소방방재학과) ;
  • 이성은 (호서대학교 산업안전센터) ;
  • 김황진 (호서대학교 소방방재학과 대학원)
  • 발행 : 2008.06.30

초록

한국의 실내장식재로는 대부분 벽지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주거공간에 화재발생시 화재 확대요인중의 하나는 벽지의 연소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동안 산소지수 관련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져 왔지만 상온에서의 연구가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화재에서 화재의 확대요인이 될 수 있는 벽지의 산소지수가 상온과 고온에서 얼마나 차이가 발생하며 이러한 차이가 화재확대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실험을 통해 LOI 및 TOI 측정한 결과 벽지의 상온과 고온에서의 산소지수는 $5{\sim}8%$정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실험에서 산소지수 0.1%의 차이로도 연소 길이에 현저한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에 고온에서의 산소지수 감소가 화재확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Most of all the Korean home use a wallpaper as a decoration and finishing of interior. One of the fire spread factor in a house is a combustion of wall paper. There were some research concerning oxygen index in a ambient temper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oxygen index of a wallpaper between ambient and high temperature and a effect on the fire spreading. Based on the result, the difference of oxygen index between ambient temperature and high temperature showed $5{\sim}8%$. Difference of 0.1% of oxygen index show big differences in combustion length of sample.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decrease of oxygen index at elevated temperature is a important factor in fire spread.

키워드

참고문헌

  1. 오규형, 최연이, 이성은, "내장벽지의 연소특성에 관 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21, No.1, pp.90-97(2007)
  2. J.G. Quintere, "Principles of Fire Behavior", Delmar (2002)
  3. 김현주, "건축내장재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강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07)
  4. KS M ISO 4589-2 : 산소지수에 의한 연소 거동의 측 정, 제2부: 상온시험법
  5. KS M ISO 4589-3 : 산소지수에 의한 연소 거동의 측 정, 제3부 고온시험법
  6. 최연이, "벽면 내장재로서의 벽지 연소특성에 관한 연 구", 호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06)
  7. 박형주, 곽동일, "다중이용업소에서 사용하는 실내장 식재에 방화 방염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Vol.15, No.3, pp.47-54(2001)
  8. 건축 재료의 연소가스 독성 및 평가방법의 고찰, 건 축내장재료 기획 제1호, pp.25-30
  9. Wallpaper and Measuring Covering for Decorative Finish, KCM 7305(1994)
  10. Ejji Yanai, "고분자재료의 연소생성가스 및 그 독성", 火災, Vol.47, No.6(1997)
  11. Marcelo M, Hirschler, "Fire Hazard and Toxic Poxic Potency the Smoke from Burning Materials", Advances in Combustion Toxicology, Vol.2(1990)
  12. 박미라, 김광일, 김태구, "벽지의 종합적 화재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16, No.2, pp.33-39(2003)
  13. NFPA,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 3rd E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