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Fashion Behavior and Make-up Behavior in terms of the Lifestyle of Post Digital Generation

포스트 디지털 세대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패션행동 및 화장행동과의 관계

  • Jung, Yun-Hee (Dept. of Fashion Industry,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 Yoo, Tai-Soon (Dept. of Fashion Industry,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정윤희 (대구가톨릭대학교 패션산업학전공) ;
  • 유태순 (대구가톨릭대학교 패션산업학전공)
  • Received : 2008.01.02
  • Accepted : 2008.08.13
  • Published : 2008.08.31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xamine the relations of lifestyle, fashion behavior, and make-up behavior of post digital generation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which help to establish and perform the distinctive marketing strategies targeting the post digital generation. Subjects were 1,460 male and female undergraduates who attend colleges or universities in Seoul, Busan, and Daegu. Average, standard deviation, MANOVA, and ANOVA were conducted using SPSS 12.0 statistic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higher points the group got in all the subfactors regarding information seeking pursuit and sensation intention fascination pursuit, the higher points the group had in the subfactors of fashion behavior and make-up behavior. The group with higher fashionenjoyment pursuit appeared to seek after more brand price choice behavior, internet shopping purchasing behavior, fashion information source seeking behavior, and impulse buying behavior in the subfactors of fashion behavior as well as more self-satisfaction appearance orientation and fashion information buying orientation in the subfactors of make-up behavior. With the group in pursuit of more multi activities, not only were brand price choice behavior and fashion information source seeking behavior in the subfactors of fashion behavior sought after more, but self-satisfaction appearance orientation and fashion information buying orientation in the subfactors of make-up behavior were pursued more as well. The more interpersonal relations the group had, the more self-satisfaction appearance orientation and fashion information buying orientation in the subfactors of make-up behavior as well as the more brand price choice behavior, fashion information source seeking behavior, impulse buying behavior, other-regarding behavior and independent buying behavior in the subfactors of fashion behavior the group had.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우. (2005). 신세대 라이프스타일 분석을 통한 의사전달매체 디자인 연구-Time Capsule Lette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공유미. (1999). 직업유무에 따른 여성의 화장만족에 관한 연구, 경산대학교보건복지연구소, 3, 201-216
  3. 국내 2명중 1명 인터넷 사용. (2001, 7. 10) 한국인터넷진흥원. 자료검색일 2005, 2. 7 자료출처 http://www.nida.or.kr
  4. 권현숙. (2001). 여성의 화장이 심리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경희. (1994). 우리나라 신세대층의 규명과 라이프스타일 특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서울시 거주 18세-24세 여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덕한. (2005, 5. 2). 아날로그, 디지털, 포스트 디지털 세대의 진화. 조선일보. 자료검색일 2005, 7. 20, 자료출처 http://www.chosun.com
  7. 김상일. (2003, 7. 30). 신세대 소비자, 모순의 소비 코드를 읽어라. LG주간경제, pp.30-35
  8. 김소연. (2006, 1. 15). 디지털 시대, 아날로그가 뜨는 이유. 한경비즈니스. 자료검색일 2006, 8. 12, 자료출처 http://www.kbizweek.com
  9. 김수영, 이소영, 조웅희. (2004). 전통매체의 속성을 간직한 뉴미디어 . CHEIL Communication, pp.18-66
  10. 김후남. (2005, 4. 7). 더 당당해진 남성들의 멋내기. 경향신문. 자료검색일 2005, 2. 6, 자료출처 http://www.khan.co.kr
  11. 김희숙. (1998). 20세기 한국과 서양의 여성 화장문화 비교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나영주, 이은희, 장경자. (2004).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신용카드 사용과 의복구매.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5), 585-594
  13. 민성기. (2003). 인터넷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연구-청주지역 인터넷 사용자들을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우암논총, pp.1-34
  14. 박성연. (1996). 한국인의 라이프스타일과 특성. 마케팅연구, 11(1), 19-34
  15. 박철. (2000). 인터넷 상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험연구, 한국유통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111-141
  16. 방일석. (2005, 12. 22). 10대들의 경제력. 매일경제. 자료검색일 2006, 8. 12, 자료출처 http://www.mk.co.kr
  17. 배극한. (2004, 12. 7). 신세대 라이프스타일에 마케팅 주파수를 맞춰라. 동아일보. 자료검색일 2005, 6. 23, 자료출처 http://www.donga.com
  18. 배주윤. (2003). 화장행위의 만족도와 대인관계 성향의 관련성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향장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백경진, 김미영. (2004). 화장행동과 영향 변인 연구-의복관여도, 연령, 얼굴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8(7), 892-903
  20. 송원영, 이명희. (2001). 인터넷 쇼핑에서의 의복구매행동과 라이프 스타일과의 관계 연구-인터넷 이용자를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9(4), 602-615
  21. 안종배. (2004). 나비효과 디지털 마케팅. 서울: 미래의 창, pp.1-216
  22. 유승엽, 이철민. (2001). N세대, 비N세대, 광고에 묘사된 N세대간의 비교분석: 심리특성과 소비성향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2(1), 19-42
  23. 이근형. (2004, 1. 1). 인터넷코드를 읽어라 : 달라지는 마케팅.유통구조. 디지털타임즈. 자료검색일 2006, 8. 12, 자료출처 http://www.dt.co.kr
  24. 이금실. (1992). 사회계층변인에 따른 여성의 의복태도와 구매행동에 관한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이기복. (2000). N세대의 소비행동 및 의식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전략 연구. 홍익대학교 디자인 논문집, pp.313-339
  26. 이승윤, 구인회. (2003). 주거문화, 패션, 미용생활에 나타나는 트렌드. CHEIL Communication, pp.52-62
  27. 이어령. (2006, 1. 6). 디지로그 시대가 온다-후기 정보사회를 향하여. 중앙일보. 자료검색일 2006, 4. 9, 자료출처 http://www.joins.com
  28. 이연수. (2006. 8). 꽃미남 열풍 유행에서 대세로 그냥 미남은 가라. Cjmagazine. pp.4-9
  29. 이영태. (2002, 6. 6). 주름펴고 촉촉하게 남성피부 호강하네. 한국일보. 자료검색일 2005, 5. 13, 자료출처 http://www.hankooki.com
  30. 이주현 (2005) 포스트 디지털 세대 따뜻한 디지털 세상을 이끈다. CHEIL Communication. pp.50-53
  31. 이현정, 김미영. (2004). 의복 이미지와 화장이미지에 관한 기존 연구 분석. 복식, 54(7), 91-106
  32. 장혜연. (2000). 대학생과 고등학생의 가치관과 의복행동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전양진, 성희원. (2007). 화장하는 남자가 시장을 바꾼다. 삼성경제연구소, pp.7-120
  34. 전종옥, 이상원, 박재관. (2002).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인터넷 광고의 효과 연구. 마케팅관리연구, 7(2), 165-188
  35. 정유정, 박옥련. (2004). 인터넷상에서 패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소비자 만족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3(1), 123-133
  36. 조기여, 유태순. (1997). 자기 효능감, 화장근접도, 의복근접도의 상관관계 연구. 복식, 32, 165-183
  37. 이은정, 강지흔, 김현진. (2004, 7). 스페셜 세미나 1924 소비자 분석. 프로패션정보네트워크 firstVIEWKorea. pp.1-42
  38. 홍은경. (1996). 청소년의 의류제품 충동구매행동에 관한 연구-서울 시내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홍성순. (2007). 남성 패션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세분집단별 화장품 구매행동 비교. 복식, 57(2), 29-44
  40. 황윤정. (2005, 6. 5). 패션에도 얼리어답터가 뜬다. 연합뉴스. 자료검색일 2005, 9. 28, 자료출처 http://www.yonhapnews.co.kr
  41. 황진숙, 양화영. (2006). 청소년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쇼핑성향과 의류제품의 인터넷 구매행동. 한국의류학회지, 30(1), 71-82
  42. 大坊郁夫. (1993). 魅力の心理學-化粧, 美のコミュニケ-ション(2), 化粧文化, 28, 114-128
  43. 大坊郁夫. (1995). 顔と魅力, 日本纖維製品消費科學會誌, 36(11), 661- 666
  44. 神山 進, 苗村久惠, 馬杉一重. (1996). 裝いの情報傳達內容に關する硏究-服 裝スタイルについて-. 日本纖維製品消費科學會誌, 37(4), 184-194
  45. Beatty, S. E. & Ferrel, M. E. (1998). Impulse buying : modeling its precursors, Journal of Retailing, 74(2), 169-191 https://doi.org/10.1016/S0022-4359(99)80092-X
  46. Kwon, Y. H., & Parham, E. S. (1996). Effects of state of fatness perception on weight conscious women's clothing practice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2(4), 16-21
  47. Theberge, L., & Kernaleguen, A. (1979). Importance of Cosmetics Related to Aspects of the Self, New York: Perceptual and Motor Skills, pp.827-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