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extile Designs Incorporating Korean Traditional Arabesque Pattern

한국 전통 당초문양을 활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 Received : 2008.02.12
  • Accepted : 2008.06.06
  • Published : 2008.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interpret the traditional patterns in modern point of view and connect them to the apparel textile design to use them widely in our real life. For this, a documentary research on the traditional patterns and arabesque patterns was made first, and then, through the manual and photoshop workings, two apparel textile designs were suggested. As a result, the followings were acquired: First, the arabesque pattern, which is a traditional pattern of Korea, has a continuous life power and a natural formative characteristics. In its pattern, there is an abundant possibility of change. So, it has a wide usability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As the symbolic image of the arabesque pattern is connected with the instinctive beauty sense of human beings, it has shown the more adhesive affinity that any other materials. Second, two kinds of textile design were suggested. The motif of work 1, "Fragrance of Woman," was the richness and the harmony, and so a lotus arabesque pattern was selected to present its concept, "Classic Elegance." The expression technique was to use a manual work and cloths to make it a voluminous one. The motif of work 2, "Green Field" was to show the clean beauty with a lotus arabesque pattern. Its concept was the "Natural Elegance," and the expression technique was to repeat the motif by using the Adobe Photoshop to complete the work.

Keywords

References

  1. 곽태기.양수영. (2001). Adobe Illustrator 9.0 을 이용한 의류용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전통문양의 캐릭터화 사례를 응용하여. 복식문화연구, 9(3), 503
  2. 길상이미지. (2006).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자료검색일 2007, 11. 19, 자료출처 www.culturecontent.com
  3. 김민경. (2004). 통일신라시대 기와의 당초문양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 펠트 제작기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문화관광부. (2004). 공예문화관광상품 제작 유통 실태조사 보고서. 문화관광부
  5. 박영희. (2005).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당초문양의 감성이미지. 한국복식학회, 55(6)
  6. 박영희. (2006).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당초 문양의 선호도. 복식문화연구, 14(6)
  7. 박영희. (2005). 당초문양의 특성변인에 따른 감성이미지 -표현유형, 문양배열, 적용 대상, 구매 욕구, 연령을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 7(2)
  8. 손강아. (2007). 당초문양을 활용한 현대적 장신구 디자인 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 디자인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송윤경. (2006). 당초문양을 이용한 Jewelry 손목시계 디자인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신영훈. (1975). 한국의 문양. 서울;동아 일보사, p. 10
  11. 안상수. (1992). 한국전통문양집-당초무늬. 서울;안그라픽스, p. 86
  12. 유근준. (1971). 당초문의 특성과 종류. 서울;디자인포장, p. 4
  13. 이상이. (2002). 고려 청동은입사향완의 당초문양을 응용한 의상디자인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선화. (1991). 텍스타일 디자인. 서울;미진사, p. 36
  15. 이은철. (2005). 당초문양을 응용한 도제다관 개발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임영주. (1977). 한국의 전통문양 : 고분벽화. 서울;디자인포장, p. 32, p. 79
  17. 장수경, 김재숙. (2000). 한국전통문양의 종류, 표현유형, 구성형식 및 적용대상에 따른 감성 이미지. 한국의류학회, 24(2), 215
  18. 정수정. (2007). 당초문양을 응용한 머리 장신구 개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차정화. (2006). 전통 당초문양을 응용한 도자제합 개발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최승연, 이미숙, 신윤숙. (2006). 전통 문화상품에 나타난 문양 분석- 서울 지역과 광주 지역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44(1), 103- 104
  21. 한수경. (2005). 고려청자의 당초문양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 브레이딩 기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허균. (2004). 전통 문양. 서울;대원사, pp. 7-8, pp. 66-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