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정보산업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질적연구

The Qualitative Study on the Job Stressors of Fashion Information Providers

  • Hur, Jin-H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u, Yang-Suk (Center for Beautiful Aging)
  • 투고 : 2008.02.21
  • 발행 : 2008.04.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job stressors of information planning process and the relevant affairs of Fashion Information Providers, using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is study was performed by interview with 14 fashion information planning providers from April to May in 2007. In the information planning process, there were five steps on fashion information providers' recognitions of stressors: information gathering, analysing, planning, presenting and evaluating. In the relevant affairs of fashion information activities, job stressors consisted of task related stressors, role related stressors, organization related stresso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outsides of organization related stressor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은주 (2001) "패션정보산업". 경춘사, 서울, pp.2-6
  2. 김경훈.김정홍.이우형 (2003) "한국인 트렌드". 책바치. 서울, pp. 6-7
  3. 김도연 (2001) 패션 트랜드 정보의 소비자 수용: 1996년에서 2001년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선숙.이은영 (2005) 의류 상품의 인터넷 쇼핑 행동 모형 구성을 위한 질적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9/10), 1285-1294
  5. 박정원 (2007) 직무스트레스 유발 요인 및 지각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공기업과 사기업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서희정 (2004) 패션 산업의 정보 소통체계와 패션 정보 활용화를 위한 마케팅 기획 모형 설정에 관한 연구: 국내.외 패션 산업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송미령 (1993) 상품개발전문인들의 패션정보활동에 관한 연구: 여성 의류제조업체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오현남 (1997) 패션상품기획의 정보화 전략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유화숙.박광희 (2003) 섬유패션산업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직무스트레스 징후 및 직무성과. 대한가정학회지, 41(2), 93-106
  10. 윤선미 (2006) 패션정보기획의 실제: 캐주얼마켓을 위한 A 정보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선규 (1991) 직무 스트레스 유발요인, 대처전략과 조직구성원의 태 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이승엽 (2001) 패션산업과 IT 산업의 현황과 전망. 한국의류산업학회지, 3(4), 307-312
  13. 이윤숙 (1988) 패션정보의 수집.분석 및 활용에 관한 연구: 패션정보기관의 System화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인성 (2003) 패션 정보지의 디자인 트랜드 예측과 소비자의 수용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10), 185-198
  15. 이종목 (1989) "직무스트레스의 원인, 결과 및 대책". 성원사, 서울, pp.82-84
  16. 전유미 (2004) 국내 트렌드 정보산업의 현황분석-국내 텍스타일 및 패션업계의 트렌드 정보 이용실태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정미영 (2004) 의류판매원의 역할모호성 및 역할갈등이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정상길 (2006) "마케팅 중심 시각의 패션시장조사". 섬유저널, 서울, pp.78-83
  19. 정송향 (2004) 패션기업의 패션정보 활용.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6), 699-706
  20. 최미영.손미영 (2007) 패션정보기획의 체계화를 위한 국내 패션정보산업의 고찰. 한국의류산업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pp.122-125
  21. 최호정.하지수 (2005) 국내 패션정보 제공 업체의 기획 정보 유형에 관한 연구. 복식, 55(4), 151-165
  22. 탁진국 (2002) 직종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원과 직무스트레스에서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7(1), 125-141
  23. 하유선.정성지 (2000) 어패럴업계 전문직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에 관한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8), 1103-1114
  24. 한소원 (2003) 패션트렌드 정보기획 프로세스의 체계화와 지원도구의 개발: 꽃의 색채와 형태의 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5. Creswell, J. W. (1998)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가지 전통". 조흥식 외(2005)역. 학지사, 서울, pp.178-182
  26. Maxwell, J. A. (2004) "질적연구설계: 상호작용적 접근". (이명선. 김춘미.고문희 역). 군자출판사, 서울. p.95.(원저 1996 출판)
  27. Beehr, T. A. and Newman, J. E. (1978) Job stress, employee health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 facet analysis, model and literature review. Personal Psychology, 31(3), 665-699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8.tb02118.x
  28. Brannon, E. L. (2005) "Fashion Forecasting". Fairchild Publications, INC., New York, pp.9-12
  29. Bruce, M. and Daly, L. (2006) Buyer behavior for fast fashion.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10(3), 329-344 https://doi.org/10.1108/13612020610679303
  30. Daley, A. J. and Parfitt, G. (1996) Good health-Is it worth it? Journal of Occupation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69, 121-134
  31. Greenwood K. M. and Murphy M. F. (1978) "Fashion Innovation and Marketing". Macmillan Publication Co., NY, p.78
  32. Jamal, M. and Preena, S. (1998) Job stress and employee well-being airline personnel in an asian developing country. International Journal of Stress Management, 5(2), 121-127 https://doi.org/10.1023/A:1022911932152
  33. Jarmow J. and Dickerson K. G. (1997) "Inside the Fashion Business". Prentice Hall. New York. pp.432-433
  34. Joe S. A., Taylor, G. and Newton, E. W. (2004) Model of design process of Hong Kong fashion designers. Journal of Textile and Apparel Technology and Management, 4(2), 1-14
  35. Kreitner, R. and Kinicki, A. (1995) "Organizational Behavio" 3rd Ed., Irwin, Chicago, pp.241-242
  36. Management Today (2006, 4. 1) Working the Web. 자료출처 http://www.managementtoday.co.uk/search/article/550580/workingweb/
  37. Mete, F. (2006) The creative role of sources of inspiration in clothing design.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18(4), 278-293
  38. Parker, D. E. and DeCotiis, T. A. (1983) Organizational determinants of job stres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32(2), 160-177 https://doi.org/10.1016/0030-5073(83)90145-9
  39. Patton, M. Q. (2002)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2nd Ed"., Sage Publications, Inc., pp.343-349
  40. Pitimaneeyakul, U., LaBat, K. L. and DeLong M. R. (2004) Knitwear product development process: A case study.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22(3), 113-121 https://doi.org/10.1177/0887302X0402200302
  41. Regan, C. L., Kincade, D. H. and Sheldon, G. (1998) Applicability of the engineering design process theory in the apparel design proces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6(1), 36-46 https://doi.org/10.1177/0887302X9801600105
  42. Steers, R. M. and Black, J. S. (1994) "Organizational Behavior". HarperCollins College Pub, New York., pp.600-601
  43. Zandl, I. (2000) How to separate trend from fads. Brandweek, 23(Oct), 30-35. 자료출처 http://findarticles.com/p/articles/mi_m0BDW/is_41_41/ai_ 66929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