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Vernacular of Tradition Korean Jewelry - This study is Focused on a Ceramic Accessories Development of Baek-Jae Muryong Roayl Tomb-

한국전통장신구의 문화원형 -백제 무령왕릉 유물을 이용한 도자장신구 개발-

  • 김성민 (공주대학교 조형디자인학부 세라믹)
  • Published : 2008.05.31

Abstract

This study is focused on a relic of "Baek-Jae Muryong Roayl Tomb", as an inheritance, and craft work of a modern accessories Art. Based on a conceptual design and component of relic ceramic accessories from "Baek-Jae Muryong Roayl Tomb" is one of our cultural heritages, a creative work is to present a several kinds of applicable ceramic accessories in our real life. Accordance of valuing three factors as above, seeking the productivity idea from traditional cultural goods with the originality has a potential to expand to global market, because the regional representative cultural relic and remains goods of Gong-Ju, Chungnam can be developed as cultural good of regional, and cultural indigenous product. In conclusion, a property matter of soil and diversity of visual presentation that is corresponding to recognizable design particular idea.

본 연구는 백제 무령왕릉 유물에서 장신구 문화원형을 디자인 소스화 하여, 예술적인 가치가 있는 장신구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백제문화의 다양한 이미지를 응용하여 전통성, 실용성, 예술성을 가미한 도자장신구를 제작하고자한다. 이에 본 연구는 백제 무령왕릉 전통 유물에서 장신구 소재를 찾아, 충남 공주 지역의 대표 문화유적 유물인 무령왕릉의 문화원형으로 도자장신구로 개발하여, 문화상품으로써 부가가치가 있다는 점을 제시하려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전창범, 아름다운 한국 공예의 역사, 학연문화사. 2002.
  2. 최준자, 장신구의 세계, 예경출판사, 1992.
  3. 국립부여박물관, 백제인과 服飾, 국립부여박물관, 2005.
  4. 백제문화연구소, 백제의 역사, 충청남도.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1995.
  5. 박현택, "국립박물관 문화상품의 디자인개발과 활성화 방안", 1999.
  6. 이우휘, 한국전통문화 고찰을 통한 문화상품 개발 방향 연구, 2002.

Cited by

  1. Textile design development using relics of the Tomb of King Muryeong of Baekje as a cultural content vol.21, pp.3, 2013, https://doi.org/10.7741/rjcc.2013.21.3.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