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xpression of Styles for the Ground Image of Animation

애니메이션 배경이미지의 표현 방식

  • 김지홍 (동명대학교 디자인대학 영상애니메이션학과)
  • Received : 2007.07.10
  • Accepted : 2007.11.08
  • Published : 2008.02.29

Abstract

Animation are consist of consecutive various images, and there are figure and ground. The value of figure image as character in animation consider more significant than the background image, it can be detected many literature reviews on that subject. It, however, is also a critical element for completing animation, in reality, it is not found many academical achievements on this subject. The background images imply the information of environment and atmosphere, and elucidates where the story happen, therefore character move, talk and express themselves there. In terms of academic endeavour to extend the knowledge on animation, this paper is one of vital researches to be suggest on background image stud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background images in the ways of three categories such as painting concepts of concrete, semi-abstract, and abstract to camera concept of deep-focus, out-focus, and distortion. It is to instigate for the study of background images, in the practical view. And it will be utilizing the basic theories of cognitive psychology, painting and camera techniques, in the ways of It is analysed to frequency of use, reality, amount of information, perspective, and role of background image.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theory of visual classification on background image for practicing animations and researching on this subject.

애니메이션에는 다양한 연속 이미지로 구성되는 형태와 배경이 있다. 형태로 인식되는 캐릭터가 배경이미지 보다 가치와 의미가 있기에 많은 문헌 연구들이 발견되고 있다. 그러나 배경이미지도 애니메이션을 완성 하는데 중요한 요소임에 틀림없지만. 실제로는 배경이미지에 대한 학문적 연구 결과가 발견되지 않고 있다. 배경이미지는 환경과 분위기를 의미하며 이야기가 일어나는 장소를 설명하므로 캐릭터가 움직이고 말하며 자신을 표현하는 곳이다. 본 연구를 통해 애니메이션의 지적 경계를 확충하는 학문적 노력의 일환으로 배경이미지에 대한 의미 있는 연구와 제안이 될 것이다. 연구의 목적은 배경이미지에 대한 구분을 세가지 요소로 나누고 이를 회화적 카메라 기법적으로 나타낸다. 이를 위해 인지심리학과 회화와 카메라에 대한 기본이론이 활용되어 빈도, 활용, 사실성, 정보량, 투시도, 역할 등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위의 주제를 통해 배경이미지의 시각적 구분하여 애니메이션 제작과 연구에 기초적 이론을 제공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