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Satisfaction/Self-Esteem of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Use of Make-up

여중고생들의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이 화장 정도에 미치는 영향

  • 심준영 (전주대학교 패션산업) ;
  • 김현희 (전북대학교 대학원 의류학)
  • Published : 2008.05.31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effects of body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n the make-up degree of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from 432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ost of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were in height of 161-165cm and weight of 56-60kg. Satisfaction level of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with their eyes was the highest and that of weight was the lowest. They showed strong intention to modify their appearances and were dissatisfied with their body. 2)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satisfaction level of home life self-esteem was the highest, but that of school life was the lowest. 3)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used cosmetics to protect their skins and paid much attention to their skins. They collected cosmetics informations from their friends or family members, and began to use point make-ups from their middle school years. They purchased cosmetics at cosmetic specialty store or internet shopping mall frequently. Most of them spent less than 10,000 won monthly for cosmetics, and used lip gloss and ultraviolet rays interceptors over their face with basic cosmetics. 4) Expenditures for cosmetics, self-esteem on their appearances, and pocket money affected on make-up degree.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who spent more money for cosmetics and more pocket money with higher self~esteem on their appearances showed higher degree of make-ups.

Keywords

References

  1. 정미실 (2002). 여대생의 화장태도, 자아존중감, 신체만족도가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9(1), pp. 35-45
  2. 이은희 (2003). 고등학생의 심리적 특성과 외모에 대한 태도가 의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학회지, 12(2), pp. 237-251
  3. Stuart, G. W (1983). Principle and practice of psy- chiatric nursing. St. Louis. Mosby
  4. Festinger, L. (1954). A theory of social comparison processes. Human Relations, 7, pp. 227-236
  5. 고은주, 장남경 (2000). 연령과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신체만족도와 의복행동 연구를 통한 패션마케팅 전략 제안. 대한가정학회지, 41(12), pp. 13-28
  6. 김현희, 유태순 (2002). 여고생의 화장행동과 화장품 구매불안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2), pp. 251-262
  7. 김재숙, 이미숙 (2001). TV미디어가 청소년의 신체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5)
  8. 윤진 (1993). 청소년 심리학. 서울: 도서출판 서원
  9. 전경숙 (2001). 여자 중.고교생의 신체만족도와 의복만족도의 관계연구. 한국복식문화학회지. pp. 5-16
  10. 김인식 (1987). 청년 심리학. 배영사, pp. 21-26
  11. 조현숙 (2007). 덩치는 커졌지만 속병 앓고 있는 우리 자녀. 해럴드 경제 뉴스. 자료검색일. 2007. 9. 21, 자료출처 http://www.heraldblz.com
  12. 차귀옥 (2006). 청소년의 화장품 사용실태와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2(1), pp. 41-50
  13. Kaiser, S. B (1997). The social psychology of clo- thing: Symbolic appearances in context (2nd ed).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
  14. 송경자, 김재숙 (2005). 신체이미지에 따른 성형요구, 자아개념, 의복행동- 다중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한국의류학회지, 29(3/4), pp. 391-402
  15. Hom, M. J. & L. M. Gurel (1981). The second skin. 3rd ed. Boston: Houghton Mifflin Co
  16. 고애란, 김양진 (1996). 청소년의 의복행동에 대한 자기중심성, 자의식, 신체만족도의 영향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0(4), pp. 667-681
  17. 김재숙, 이미숙. (2001). TV미디어가 청소년의 신체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pp. 957-968
  18. 조선명, 고애란 (2001).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신체이미지가 의복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기 여학생의 연령 집단별 차이 비교. 한국의류학회지, 25(7), pp. 1227-1238
  19. 추태귀 (2002). 신체만족도에 따른 다차원적 신체이미지와 의복추구 효용. 한국의류학회지, 24(4), pp. 376- 382
  20. 김양진, 강혜원 (1992). 의복 및 신체만족도와 학업성취도가 사회적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16(2), pp. 207-208
  21. 한미숙 (2002).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요인에 따른 의복행동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5
  22. Atwater, E. (1992). Adolescence(3rd ed). Prentice Hall
  23. Tucker, L. A. (1982). Relationship between percei- ved somatotype and body cathexis of college males. Psychological Report, 50, pp. 983-987
  24. 김미영 (1982). 연령과 사회계층에 따른 의복 불만족과 관련변인 연구: 자아수용성과 자.타위주의 의복착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양계민 (1993). 자신의 신체적 매력에 대한 인식이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최정아 (1997). 자의식과 자아존중감이 상담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김순구, 윤학자 (1986). 자아존중감이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남녀 고고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0(1), pp. 1-8
  28. 고애란, 심정은 (1998). 청소년 후기 여학생의 체형의식과 자아존중감이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Yonsei Journal of Human Ecology, 12, pp. 33-41
  29. Ivring, L. M. (1990). Mirror images: Effects of the standard of beauty on the self-and body-esteem of women exhibiting. H. L. (1992). Indices of relative weight and obesity. Journal of Chronic Diseases, 25, pp. 329-343 https://doi.org/10.1016/0021-9681(72)90027-6
  30. 이광진 (1999). 여자고등학생들의 자아개념에 관한 의복행동에 따른 연구. 서울과 경기지역의 인문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p. 23-40
  31. 전용민 (2003). 여자 청소년의 영상매채 이용도, 사회적 가치와 의복 및 신체태도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윤정 (2004). 신체 통제에 대한 신념이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국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8(7), pp. 974-982
  33. 전경란 (2002). 여성의 욕구, 자아존중감과 성형 및 의복태도에 관련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차영란, 김기범 (2006). 여성의 화장에 대한 태도와 성형의도에 대한 자기존중감과 신체존중감의 역할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pp. 580-581
  35. Theberge, L. & Kernaleguen, A. (1979). Importance of cosmetics related to aspects of self. Perceptual and Motor Skills, 48, pp. 827-830 https://doi.org/10.2466/pms.1979.48.3.827
  36. 조기려 (1997). 자기 효능감, 퍼스널스페이스, 의복근접도, 화장근접도와의 관계. 대구효성카토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조규화, 전보경 (2000a). 서울시내 여중고생의 화장품 소비실태 조사연구.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지, 4(3), pp. 141-155
  38. 조규화, 전보경 (2000b). 서울시내 여중고생의 화장품 소비실태 조사연구.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지, 4(4), pp. 107-121
  39. 윤순희 (1994). 우리나라 화장품 소비자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이화순, 이운현 (2004). 연령에 따른 추구화장이미지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5(2), pp. 49-63
  41. 한미숙 (2002).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요인에 따른 의복행동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0-42
  42. Graham, J. A. & Furnham, A. (1981). Sexual diffe- rences in attractiveness rating of day and night cosmetic use. Cosmetic Technology, 3, pp. 3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