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후기 안경집의 소재에 따른 색채 특성

Color Analysis of Glasses Cases of the Middle and Late Joseon Dynasty, by Materials

  • 이영경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 김영인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발행 : 2008.05.3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osely examine the history of glasses and their cases used in the middle and late of Joseon Dynasty and identify inherent quality of our traditional glasses cases through color analyses of glasses cases' material and shape. While theoretical examination was conducted based on the literatures of glasses and their cases that firstly appeared in around Japanese Invasion (Imjin war) of Korea in 1592, practical analyses were demonstrated on photos of glasses cases used in the middle and late of Joseon Dynasty collected from both museum pieces and the internet which were grouped into wood, fabric, paper, sharkskin, hawksbill and cow's horn in accordance with their materials. 623 color samples were abstracted from collected 159 glasses cases and quantity analyses on each material were performed respectively. Abstracted representative colors based on the result of color analyses were classified into the main materials and accessories' color scheme.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ly, both Yellow and Yellow Red were mostly used in main materials. In Fabric case's colors were widely used in embroidery and in animal matter material cases such as sharkskin, hawksbill and cow's horn, which can be used as itself or dyed, Green Yellow shown in high frequency. Secondly, accessories were analyzed into similarity coloration with main materials. From this finding, it turns out that our traditional cases have characteristic of similarity coloration between main materials and accessories. Red Purple and Purple Blue in high frequency in accessories used as an accent color. Finally, based on the analysis of hue and tone, while the middle and low value colors shown in very high frequency, the high-chroma colors hardly shown.

키워드

참고문헌

  1. 윤지영, 하지수 (2006). 한국전통 자수의 색채와 배색에 관한 연구. 복식, 56(8), p. 96
  2. 국립민속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자료마당 박물관 소장품. 자료검색일 2007.8.31, 자료출처 http://www.nfm.go.kr/
  3. 온양민속박물관 (2000). 사진과 해설로 보는 온양민속박물관. 온양민속박물관, pp. 52-53
  4. 온양민속박물관. 자료검색일 2007.8.31, 자료출처 http://www.onyangmuseum.or.kr/sch/sch_src/search_field.html
  5. 초당대학교 안경박물관, 초당대학교 안경박물관 소장품 도록. 초당대학교 pp. 3-5, 11
  6.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2007). 한국의 자수 haruhana.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2/22, 4/16, 6/19, 6/10, 9/22, 9/23 20/29, 11/9
  7.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유물 사진자료(5602-203, 5579- 53, 5579-52, 5597-51, 5597-50, 1321, 5602-204, 5602- 206, 5602-207, 5602-205, 4829, 5703-1, 5602-208, 5602- 209, 5703-2, 5703-3, 5703-4, 5703-5, 5703-6, 5602- 210)
  8. 김영인, 이지현 (2006). 한.중.일 전통 복식색채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56(8), p. 38
  9. 이지현, 김영인 (2006). 한국복식의 색채특성과 문화기호학적 해석에 관한 연구(1). 복식, 56(2), pp. 57-58
  10. 김영인, 주미영, 이현주, 김석정(2004). 국내외 메이크업 브랜드 색조화장품의 색채 특성. 한국색채학회지, 18(2), p. 93
  11. 원광보건 대학교 안경 광학과 (2005). 안경의 역사. 원광보건 대학교. 자료검색일 2007.2.14, 자료출처http://optics.wkhc.ac.kr/data/
  12. 금복현 (1995). 옛 안경과 안경집. 대원사, p. 116
  13. 금복현 (1995). 옛 안경과 안경집. 대원사, p. 18
  14. Vichoom (2007.10.31). 선조들의 옛 안경. 자료검색일 2007.12.4, 자료출처 http://blog.daum.net/vichoom/472921
  15. 금복현 (1995). 옛 안경과 안경집. 대원사, p. 28
  16. 금복현 (1995). 옛 안경과 안경집. 대원사, p. 104
  17. 조성관 (2007.2.7). 주간조선. 안경 400년 ..한국사와 함께했다. 자료검색일 2008.2.22,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jhsong46/70014006645
  18. 금복현 (1995). 옛 안경과 안경집. 대원사, p. 100.
  19. 금복현 (1995). 옛 안경과 안경집. 대원사, pp. 90-113
  20. 대모로 제작된 문화재 (2007.2.2). 자료검색일 2008.2.22,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chdml2?Redirect=Log&logNo=140034168027
  21. 금복현 (1995). 옛 안경과 안경집. 대원사. 초당대학교안경박물관 소장품전시도록(*표시)
  22. 이경자, 홍나영, 장숙환 (2003). 우리옷과 장신구. 열화당, pp. 164-167
  23. 김영인, 이지현 (2006). 한.중.일 전통 복식색채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56(8) pp. 38-41
  24. 권영걸, 이지영, 안민선, 성혁진 (2005). 한국인의 색채기호특성에 따른 한국적색(RED)의 의미와 상징에 관한 연구. 한국색채학회지, 19(3), p. 58
  25. 김영인, 이지현 (2006). 한.중.일 전통 복식색채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56(8), p. 39
  26. 김순영, 남윤자, 조우현 (2004). 조선시대 복식에 나타난 자색계 색명의 개념적 의미. 한국의류학회지, 28 (11), p. 1459
  27. 조희래, 김영인 (1996). 색동은 응용한 한국적 디자인 개발(1). 한국의류학회지, 20(5), pp. 718-727
  28. 초당대학교 안경 박물관. 자료검색일 2007.2.14, 자료출처 http://www.chodang.ac.kr/opmuseum
  29. zonefeel (2003). eye-story. 자료검색일 2007.2.14, 자료출처 http://eye-story.com/product/product94.htm
  30. APWINC, Sookmyung Women's Univ. 자료검색일 2007.2.14, 자료출처 http://www.women.or.kr/culture/clothes/pocket/pocket.html#p05
  31. 사전자수박물관. 자료검색일 2007.2.14, 자료출처 http://www.bojagii.com/images/emb/life/em_lf21.htm
  32. 문화 관광부 e뮤지엄. 자료검색일 2007.2.14, 자료출처 http://www.korea-museum.go.kr
  33. 정종구 (2007.4.2). 기획전시 우리 옛 안경전. 사이언스 타임즈. 자료검색일 2007.8.30, 자료출처 http://www.sciencetimes.co.kr/article.do?atidx=0000019284
  34. 대모로 제작된 문화재 (2007.2.2), 자료검색일 2007.8.30,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chdml2?Redirect=Log&logNo=140034168027
  35. Vichoom (2007.10.31). 선조들의 옛 안경. 자료검색일 2007.12.4, 자료출처 http://blog.daum.net/vichoom/472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