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Habitat Analysis of the Historical Breeding Sites of Oriental White Storks(Ciconia boyciana) in Gyeonggi and Chungcheong Provinces, Korea

GIS를 이용한 황새(Ciconia boyciana) 번식지의 환경특성 분석 - 1970년대의 경기도와 충청도 지역을 대상으로 -

  • Kim, Su-Kyung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Kim, Nam-Shin (Institute of Education for National Unifi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Cheong, Seokwan (Korea Institute of Oriental White Stork Rehabilitation Research) ;
  • Kim, Young-Hoon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Sung, Ha-Cheol (Korea Institute of Oriental White Stork Rehabilitation Research) ;
  • Park, Shi-Ryong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김수경 (한국교원대학교 생물교육학과) ;
  • 김남신 (한국교원대학교 통일교육연구소) ;
  • 정석환 (한국황새복원연구센터) ;
  • 김영훈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학과) ;
  • 성하철 (한국황새복원연구센터) ;
  • 박시룡 (한국교원대학교 생물교육학과)
  • Received : 2008.02.11
  • Accepted : 2008.03.10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produce basic data for developing habitat suitability models on the breeding sites of Oriental White Storks(Ciconia boyciana) which will be reintroduced to the wild in the future. The habitat characteristics of ten historical nesting sites of the Oriental White Storks at Gyeonggi and Chungcheong provinces in South Korea were analyzed with 1970's land use maps and Landsat MSS. The range of altitude on nesting sites was 40~116.38m. The mean distance from nesting sites to rice fields, to 30m wider river, and to reservoirs was $54.8{\pm}84.48m$, $869.8{\pm}708.01m$, and $1721.2{\pm}906.05m$ respectively. Historical nesting sites were located close to human settlements, and the mean distance of nesting sites to human settlements was $144.1{\pm}182.97m$. The land types within 5km radius from ten historical nesting sites consisted of 53.7% forest, 28.3% rice fields, 16.7% grasslands, 0.8% water bodies, and 0.6% human settlements. The composition of four land types(forest, rice fields, grasslands, and human settlements) was significantly differed between 93 random points and 10 historical nesting sites.

본 연구는 향후 황새 복원예정지역을 선정하기 위한 서식지 적합 모델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과거 황새 번식지역의 환경적 변인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청문조사를 통해 6곳의 번식지점을 추가적으로 확인하고, 문헌에 기록된 4개 지역을 포함하여 총 10개 번식지점의 환경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1970년대 토지이용현황도(1:50,000)를 이용하여 황새 번식지 선택에 중요한 환경 변인인 농경지, 하천, 저수지, 도시취락을 분석하였고, 위성영상(Landsat MSS; 1974년) 분석을 통해 번식지점으로부터 5km 반경 내에 포함되는 산림, 수역, 농경지, 초지, 도시화 지역으로 분류하여 면적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무작위지점(random points) 93개 지역과 황새 번식지점 10개 지역의 5km 반경 내에 포함된 5가지 토지피복 유형별 면적의 평균을 비교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과거 황새 번식지점은 도시취락, 농경지와 인접하여 위치하였으며, 10개 지역 중 7개 지역에서 하폭 30m 이상의 하천이 반경 1km 내에 위치하고 있었다. 황새가 둥지를 튼 영소목의 해발고도는 40~116.38m이었고, 평지나 경사도가 30도 이하인 사면에 영소목이 위치하였다. 인공위성영상으로 분석된 황새 번식지점으로부터 5km 반경 내의 토지피복 유형별 구성비율은 산림(53.7%), 농경지(28.3%), 초지(16.7%), 수역(0.8%), 도시화지역(0.6%)으로 나타났다. 무작위 지점(random point)과 번식지점의 토지유형별 면적의 평균을 비교 검정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토지유형은 산림, 농경지, 초지, 도시화지역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