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in the Astronomy Section of School Science Textbooks

과학 교과서 천문 단원의 탐구 활동 분석

  • Kim, Kyoung-Mi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 Park, Young-Shin (BK21 Science Education for the Next Societ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oe, Seung-Urn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경미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박영신 (서울대학교 BK21 미래사회 과학교육 연구 사업단) ;
  • 최승언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Published : 2008.04.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inquiry activities appearing in the astronomy section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school level science textbooks according to the five essential features of inquiry in the classroom as proposed by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RC, 2000), and SAPA (Science-A Process Approach).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it is clear that the science textbook inquiry activities released the limitation to meet the goal of science education, namely scientific literacy, as it has been laid out by the 7th Science Educ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features of scientific inquiry which are most frequently used in the astronomy sections of science textbooks are 'data collection' and 'form explanation', whereas the features of 'oriented-question', 'evaluate explanations' and 'communicate and justify' rarely appeared. The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by SAPA showed that the basic inquiry skills of 'observing', 'communicating' and 'manipulating materials' were used with increasing frequency according to grade level, and the integrated skills of 'investigating', 'creating models', 'interpreting data' and 'experimenting' were more emphasized in the textbook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students be provided with mor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all the features of scientific inquiry and scientific processes as envisioned by the 7th Science Educ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the stated goal of scientific literacy. Science educators should be required to develop new lesson modules which will allow students to experience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It is crucial for science teachers to reflect upon and develop their understanding and teaching strategies regarding scientific inquiry through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in teacher education.

본 연구는 초 중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천문영역에 수록된 탐구활동을 NRC(2000)에서 제시하는 탐구기본요소 5가지와 SAPA에서 제시하는 기초 및 통합적인 탐구과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과학 교과서의 탐구 활동이 과학교육의 목표인 과학적 소양을 실현하기에 제한점이 있음을 제시하고, 보완적인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천문영역을 분석한 결과 초 중 고등학교 대부분의 교과서가 NRC(2000)의 탐구요소 5가지 중 탐구요소 2에 해당하는 증거 수집이 가장 많이 나타난 반면에 탐구요소 1의 문제제기와 탐구요소 5의 발표 및 정당화 부분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탐구과정인 SAPA로 분석해 본 결과, 천문영역의 교과서 탐구 활동은 기초탐구과정에는 관찰, 의사사통, 조작, 시공간관계사용 과정 빈도수가 학년에 따라 증가하며, 통합과정에서는 조사, 모델설정, 데이터 해석, 그래프 작성, 실험과정이 늘어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에 개정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교과서에서는 제한적인 탐구활동을 확장하여, 천문영역에서도 전반적이고 다양한 탐구요소 및 탐구과정을 학생들이 경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탐구활동을 가르치는 교사들을 위한 수업모듈뿐만 아니라 이를 사용하는 교사들의 탐구에 대한 이해도 및 교수전략에 있어서도 전문성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호선, 김영수, 2003, 생물 교육 실습생의 자기 수업에 대 한 반성을 통한 수업 기술 개선 연구: 비디오 촬영과 자기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1, 72-86
  2. 교육부, 1997, 과학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별책 9). 대한교과서, 서울, 101 p
  3. 권재술, 김범기, 우종옥, 정완호, 정진우, 최병순, 1998, 과 학교육론. 교육과학사, 서울, 451 p
  4. 권재술, 김범기, 1994, 초.중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측정도 구의 개발. 과학교육논문집, 4, 301-314
  5. 김영천, 2006, 질적연구방법론 I. 문음사, 서울, 685 p
  6. 김정률, 김명숙, 박예리, 2005, 10학년 과학 교과서 지구 단원의 탐구 과제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6, 501-510
  7. 김찬종, 채동현, 임채성, 1999, 과학교육학개론. 북스힐, 서 울, 518 p
  8. 김희령, 2005,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학교 과학교과 서의 과학 탐구 과정과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분석: 초등학교 5학년, 중학교 2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이화여 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2 p
  9. 문교부, 1973, 중학교 교육과정(문교부령 제325호, 1973. 8. 31). 교학도서주식회사, 서울, 99 p
  10. 김윤희, 문성배, 2000, 3차원 분석틀을 이용한 고등학교 공 통과학(물질부분)교과서의 탐구 활동 분석. 한국과학교 육학회, 20, 274-287
  11. 박원혁, 김은아, 1999, 제 6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공통과학 교과서의 탐구영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 528-541
  12. 박광렬, 2002, 제 7차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교과서 탐구 활동 및 삽화 분석. 인천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4 p
  13. 박영신, 2006, 교실에서의 실질적 과학 탐구를 위한 과학적 논증 기회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지구과학회지, 27, 401-415
  14. 박원혁, 김은아, 1999, 제 6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공통과학 교과서의 탐구영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 528-541
  15. 박효순, 조희형, 2003,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서의 탐구 영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 239-245
  16. 심규철, 안중임, 김현섭, 2004,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과학 과 생명영역 물질대사 관련 탐구활동 분석. 한국과학교 육학회지, 24, 202-215
  17. 양재영, 2002,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과학교과서 의 탐구활동의 평가도구에 의한 분석(물리영역). 인천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4 p
  18. 유모경, 조희형, 2003,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의 탐구 영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 494-504
  19. 조희형, 박승재, 1999, 교수-학습 이론과 과학교육. 교육과 학사, 서울, 406 p
  20. 최선영, 강호감, 2002, 제 6차와 7차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 서에 제시된 탐구기능과 교수-학습 방법의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 706-716
  21.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0, Science-A Process Approach II (SAPA II). Delta education, Washington, D.C, USA, 345 p
  22.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USA, 262 p
  23.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A Guide for Teaching and Learning.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USA, 202 p

Cited by

  1. Effects of Astronomical STEAM Program Using Co-teach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vol.35, pp.7, 2014, https://doi.org/10.5467/JKESS.2014.35.7.572
  2. An Analysis of Concepts and Inquiry Activities related to the 'Earth Science' Area in the South Korea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to the Current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uture Textbook vol.34, pp.3, 2015, https://doi.org/10.15267/keses.2015.34.3.288
  3. International Comparison of Cognitive Attributes using Analysis on Science Results at TIMSS 2011 Based on the Cognitive Diagnostic Theory vol.35, pp.2, 201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2.0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