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ponse of High School Students on Development of Gradually-Processing Completion Concept Map and It's Application - Case Study on 'Diastrophism in Earth Science I'-

점진적 완성 개념도의 개발과 적용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반응 -지구과학 I 지각변동 단원에의 적용 사례 -

  • Cho, Kyu-Seong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Institute of Proton Accelerator,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Cho, Sung-Ho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Institute of Proton Accelerator,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Cheong-Bin (Division of Science and Environment Education, Suncheon National University) ;
  • Chung, Duk-Ho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Institute of Proton Accelerator,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조규성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과학교육연구소/양성자가속기연구소) ;
  • 조성호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과학교육연구소/양성자가속기연구소) ;
  • 김정빈 (순천대학교 사범대학 과학환경교육학부) ;
  • 정덕호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과학교육연구소/양성자가속기연구소)
  • Published : 2008.04.30

Abstract

In this study, a new teaching model was developed using concept maps and applied to the Earth Science I unit on diastrophism. We analyzed the effects of this model on students' scholastic achievement, ability to construct concept maps, and attitudes towards concept map lessons, in comparison to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The data was sampled from 128 second-year male high school students in Gyunggido, Korea. Although the result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new teaching model seems to have contributed to an increase in scholastic achievement as opposed to the traditional teaching models. We also found that the students to whom the new teaching model was applied showed both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s in terms of scholastic achievement, the ability to construct a concept map, and changes in attitudes towards concept map lessons.

본 연구에서는 개념도를 활용한 새로운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지구과학 I의 지각변동 단원에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전통적 수업 방식에 비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개념도 작성 능력, 개념도 수업에 대한 태도 변화에 어떤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경기도에 소재하는 한 남자고등학교에서 2학년 학생 128명을 선정하여 실험 처치 후 수집하였다. 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새로운 수업모형은 전통적 수업방식에 비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향상되었다. 그리고 새로운 수업모형은 전통적 수업방식에 비해 학생들의 개념도 작성 능력과 개념도에 대한 태도에서 유의미하고 긍정적인 차이를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자옥, 안희수, 1996, 중학교 지구과학 학습에서 개념도를 바탕으로 한 컴퓨터 보조 수업이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회지, 17, 183-191
  2. 금주혜, 2002, 개념도를 활용한 생물 수업 모형의 개발과 적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 p.
  3. 김동영, 1995, 중학교 과학수업에서의 개념도 활용. 서울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6 p
  4. 김상달, 배주현, 이용섭, 김종희, 2004, 개념도 활용 수업이 중학생들의 '해수' 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회지, 25, 739-747
  5. 박성혜, 2000,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 교수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과학에 대한 학문적 배경, 과학 교수에 대한 태 도, 과학 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의 상호 관계성 조사 (I)-양적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 542-561
  6. 박수경, 한정화, 김광휘, 2002, 해양단원 개념도 활용 수업 이 과학성취도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회지, 23, 461-473
  7. 성정희, 1995, 중학교 생물 교과의 성취도 평가도구로서의 개념도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 문, 53 p
  8. 정승진, 1998, 개념도를 이용한 구조적 지식의 분석. 한국 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7 p
  9. 정재구, 위수민, 장명덕, 정진우, 2003a, 초등학교 암석 단 원에서 개념도 활용한 수업의 탐색. 한국지구과학회지, 24, 371-377
  10. 정재구, 성상현, 위수민, 정진우, 2003b, 초등학교 과학 수 업에서 화산 개념의 이해 증진을 위한 개념도 활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4, 614-624
  11. Ausubel, D.P., Novak, J.D., and Hanesian, H., 1978,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2nd ed.). Holt, Rinehart and Winston, New York, USA, 733 p
  12. Chung, D.H. and Cho, K.S., 2004, The effects of implementing a science history program for improving students' scientific process skills.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5, 119-128
  13. Heinze-Fry, J.A. and Novak, J.D., 1990. Concept mapping bring long-term movement toward meaningful learning. Science Education, 74, 461-472 https://doi.org/10.1002/sce.3730740406
  14. Lehman, J.D., Cater, C., and Kahie, J.B., 1985, Concept mapping, vee mapping and achievement: Results of a filed study with black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2, 663-673 https://doi.org/10.1002/tea.3660220706
  15. Mason, C.L., 1992, Concept Mapping: A Tool to develope reflective Science Instruction. Science Education, 76, 51-63 https://doi.org/10.1002/sce.3730760105
  16. Novak, J.D. and Gowin, D.B., 1984, Learning how to lear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150 p
  17. Novak, J.D., Gowin, D.B., and Johansen, R., 1983, The use of concept mapping and knowledge vee mapping with junior high school students. Science Education, 67, 625-645 https://doi.org/10.1002/sce.3730670511
  18. Okebukola, P.A. and Jegede, O.J., 1988, Cognitive preference and learning mode as determinants of meaningful learning through concept mapping. Science Education, 72, 489-500 https://doi.org/10.1002/sce.3730720408
  19. Ross, B. and Munby, H., 1991, Concept mapping and misconceptions: A study of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acids and bas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3, 11-23 https://doi.org/10.1080/0950069910130102
  20. Soyibo, K., 1991, Impacts of concept and vee mapping and three modes of class interaction on students' performance in genetics. Educational Research, 33, 113-120 https://doi.org/10.1080/0013188910330204
  21. Wallace, J.D. and Mintze, J.J., 1990, The concept map as a research tool: Exploring conceptual change in biolog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 1032- 1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