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 of Actual Vegetation and Herbaceous Vegetation Structure of Haneul Park District, in World Cup Park, Seoul

월드컵공원 하늘공원지구 현존식생 및 초본식생구조 변화연구

  • Han, Bong-H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 Kim, Ji-Seok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
  • Bae, Jeong-He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
  • Lee, Kyong-Ja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 김지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배정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Published : 2008.04.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rbaceous vegetation structure of Haneul Park District in World Cup Park, which had previously been used as a landfill for 15 years. The survey was carried out through actual vegetation and vegetation structures from 2003 to 2006, biannually. Firstly, as a result of analysis of actual vegetation, the autumn season changed more quickly over the 2 year span than did the spring season in terms of actual vegetation area. Annual plants increased for the initial $3{\sim}4$ years and then perennial plants increased. Secondly, the results of analysis in vegetation structure a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planted species gradually decreased. 2.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of the control region was maintained but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of the non-control region was invaded by Miscanthus sacchariflorus, Glycine soja and Phragmites communis etc. 3. Planted species in the control region were maintained in superior state, but the non-control region was changed by natural occurrence plants until 2006, the fourth year. 4. Physostegia virginiana and Aster koraiensis which were planted in the non-control region were maintained but most of planted species weakened and changed by natural occurrence plants including Erigeron annuus, Artemisia princeps, Setaria faberii and Phragmites communis etc.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the management method of herbaceous vegetation in the Haneul Park District.

Keywords

References

  1. 김광제, 김지홍(2000) 임도 절토사면의 침입 식생에 대한 계량 생태학적 분석. 삼림과학연구 16: 1-16
  2. 김기대(2001) 서울 수도권 지역 쓰레기 매립지의 생태고조와 생태학적 복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생명과학부 이학박사학위논문
  3. 나영은, 노기안, 이상범, 한민수, 박무언(1996) 휴경답 생태계의 토양 특성변화와 식생의 생태 천이. 한국토양비료학회지 29(2): 199-206
  4. 박근제, 이종경, 윤세형, 김맹중, 김정갑(1998) 관리를 중단한 산지초지의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II. 관리를 중단한 산지초지의 식생천이에 관한 연구. 한국초지학회지 18(4): 337-344
  5. 박수현(1998) 서울 난지도의 귀화식물에 관한 연구. 자연보존 106: 10-14
  6. 박영순, 송호경, 이선, 이영숙(2001) 계룡산국립공원 계곡부 식생의 구조와 DCCA에 의한 식생과 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임학회지 90(3): 249-256
  7. 서울특별시(2002) 난지도 생태공원 조성공사 -준공도면-. 서울특별시. 도면번호 L-64, 65, 66, 67
  8. 서울특별시(2003) 월드컵공원 건설지. 서울특별시 공원녹지관리사업소
  9. 송호경, 박관수, 이미정, 김효정, 지윤위, 이준우(2003) 화강암질 풍화토 절토비탈면의 자생식물 선정 -충청도와 경상북도 임도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6(5): 48-58
  10. 여환주, 이상필, 백난영, 이재근(2005) 난지도 쓰레기 매립지 비탈면 생태복원 특성에 관한 연구 -자연표토복원공법과 원지반식생정착공법 시공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8(3): 1-12
  11. 오구균, 지용기(2001) 산림 벌채적지의 6년간 식생구조 변화(I) -광양시 백운산 연습림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90(6): 673-682
  12. 오구균, 최송현, 김성현, 최우경(2005) 월악산국립공원의 산림군집구조 -영봉 및 도락산 일원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2): 90-98
  13. 우보명, 김남춘, 김경훈, 전기성(1996) 고속도로 절토비탈면의 식생천이과정에 관한 연구 -중부고속도로를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85(3): 347-359
  14. 유영한, 이창석(2003) 제주도 저지대 묵밭 식물군락의 2차 천이. 한국생태학회지 26(4): 209-214
  15. 이경재, 김정호, 기경석, 한봉호(2006b) 서울시 남산 주요 식생군락의 11년간(1994-2005년) 식생구조 변화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4): 448-463
  16. 이경재, 오충현, 김지석(1997) 난지도 안정화공사 이후 생태계 복원을 위한 현존식생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1(1): 126-132
  17. 이경재, 조재창, 우종서(1989) Ordination 및 Classification 방법에 의한 가야산지구의 식물군집구조분석. 응용생태연구 3(1): 28-41
  18. 이경재, 최진우, 최운규, 한봉호(2006a) 가야산국립공원 홍류동 계곡 소나무림의 생태적 특성 및 15년간(1989년-2004년) 식생구조 변화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 188-199
  19. 이경재, 한봉호(1998) 부천시 산림지역 아까시나무림 식물군집구조를 고려한 식생관리 모델. 한국조경학회지 26: 28-37
  20. 이경재, 한봉호, 이옥하(1998) 설악산국립공원 자양천지역 소나무림 군집구조 및 생육거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1(4): 493-505
  21. 이규송, 김준호(1995) 화전 후 묵밭의 식생 천이 진행에 따른 종조성의 변화. 한국생태학회지 18(2): 275-283
  22. 이규송, 김준호(1998) 묵밭에서 교란처리구배에 따른 중간교란가설의 검증. 한국생태학회지 21(3): 233-241
  23. 이규송, 정연숙, 김석철, 신승숙, 노찬호, 박상덕(2004) 동해안 산불 피해지에서 산불 후 경과 년 수에 따른 식생구조의 발달. 한국생태학회지 27(2): 99-106
  24. 이미정, 이준우, 전권석, 김효정, 최윤호, 정도현, 송호경(2003) 임도사면의 생태적 녹화를 위한 자생식물 선정 -강원도지역 임도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6(4): 24-32
  25. 이영로(1996) 원색한국식물도감. 교학사
  26. 이창복(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27. 이창석, 박현숙, 유영한, 홍선기(1998) 묵논의 식생천이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논문집 10: 29-43
  28. 조영호, 김원(1983) 팔공산 내학동일대의 산화적지의 이차식생과 천이. 한국생태학회지 6(1): 22-32
  29. 조우(1995) 도시녹지의 생태적 특성분석과 자연성 증진을 위한 관리모형 -서울시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252
  30. 최송현, 권전오, 민성환(1996) 오대산 국립공원 노인봉지역 식물군집구조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9(2): 156-165
  31. Armesto, J. J. and S. T. A. Pickett(1986) Removal experiments to test mechanisms of plant succession in oldfields. Vegetatio 66: 85-93
  32. Bard, G. E.(1952) Secondary succession on the Piedmont of New Jersey. Ecological Monographs 22(3): 195-215 https://doi.org/10.2307/1943565
  33. Carson, W. P. and G. W. Barrett(1988) Succession in old-field plant communities: Effection of contrasting types of nutrient enrichment. Ecology 69(4): 984-994 https://doi.org/10.2307/1941253
  34. Corbet, S. A.(1995) Insect, plants and succession: advantages of long term set-aside. Agriculture, Ecosystems Environment 53: 201-217 https://doi.org/10.1016/0167-8809(94)00581-X
  35. Hansson, M. and H. Hagelfors(1998) Management of permanent set-aside on arable land in Sweden. J. Appl. Ecol. 35: 758-771 https://doi.org/10.1046/j.1365-2664.1998.355350.x
  36. Hironaka, M. and E. W. Tisdale(1963) Secondary succession in annual vegetation in southern Idaho. Ecology 44(4): 810-812 https://doi.org/10.2307/1933038
  37. Inouye, R. S., N. J. Huntly, D. Tilman, J. R. Tester, M. Stillwell and K. C. Zinnel(1987) Old-field succession on a Minnesota sand plain. Ecology 68(1): 12-26 https://doi.org/10.2307/1938801
  38. Kosola, K. R. and K. L. Gross(1999) Resource competition and suppression of plants colonizing early successional old fields. Oecologia 118: 69-75 https://doi.org/10.1007/s004420050704
  39. Oosting, H. J.(1942) An ecological analysis of the plant commuties of Piedmont, North Carolina. The American Midland Naturlaist 28(1): 1-126 https://doi.org/10.2307/2420696
  40. Pickett, S. T. A.(1982) Population patterns through twenty years of oldfield succession. Vegetatio 49: 45-59 https://doi.org/10.1007/BF00051566
  41. Wilcox, A.(1998) Early plant succession on former arable land.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69: 143-157 https://doi.org/10.1016/S0167-8809(98)00104-2
  42. 長田武正(1976) 原色日本歸化植物圖鑑. 東京. 保育社: 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