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광제, 김지홍(2000) 임도 절토사면의 침입 식생에 대한 계량 생태학적 분석. 삼림과학연구 16: 1-16
- 김기대(2001) 서울 수도권 지역 쓰레기 매립지의 생태고조와 생태학적 복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생명과학부 이학박사학위논문
- 나영은, 노기안, 이상범, 한민수, 박무언(1996) 휴경답 생태계의 토양 특성변화와 식생의 생태 천이. 한국토양비료학회지 29(2): 199-206
- 박근제, 이종경, 윤세형, 김맹중, 김정갑(1998) 관리를 중단한 산지초지의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II. 관리를 중단한 산지초지의 식생천이에 관한 연구. 한국초지학회지 18(4): 337-344
- 박수현(1998) 서울 난지도의 귀화식물에 관한 연구. 자연보존 106: 10-14
- 박영순, 송호경, 이선, 이영숙(2001) 계룡산국립공원 계곡부 식생의 구조와 DCCA에 의한 식생과 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임학회지 90(3): 249-256
- 서울특별시(2002) 난지도 생태공원 조성공사 -준공도면-. 서울특별시. 도면번호 L-64, 65, 66, 67
- 서울특별시(2003) 월드컵공원 건설지. 서울특별시 공원녹지관리사업소
- 송호경, 박관수, 이미정, 김효정, 지윤위, 이준우(2003) 화강암질 풍화토 절토비탈면의 자생식물 선정 -충청도와 경상북도 임도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6(5): 48-58
- 여환주, 이상필, 백난영, 이재근(2005) 난지도 쓰레기 매립지 비탈면 생태복원 특성에 관한 연구 -자연표토복원공법과 원지반식생정착공법 시공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8(3): 1-12
- 오구균, 지용기(2001) 산림 벌채적지의 6년간 식생구조 변화(I) -광양시 백운산 연습림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90(6): 673-682
- 오구균, 최송현, 김성현, 최우경(2005) 월악산국립공원의 산림군집구조 -영봉 및 도락산 일원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2): 90-98
- 우보명, 김남춘, 김경훈, 전기성(1996) 고속도로 절토비탈면의 식생천이과정에 관한 연구 -중부고속도로를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85(3): 347-359
- 유영한, 이창석(2003) 제주도 저지대 묵밭 식물군락의 2차 천이. 한국생태학회지 26(4): 209-214
- 이경재, 김정호, 기경석, 한봉호(2006b) 서울시 남산 주요 식생군락의 11년간(1994-2005년) 식생구조 변화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4): 448-463
- 이경재, 오충현, 김지석(1997) 난지도 안정화공사 이후 생태계 복원을 위한 현존식생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1(1): 126-132
- 이경재, 조재창, 우종서(1989) Ordination 및 Classification 방법에 의한 가야산지구의 식물군집구조분석. 응용생태연구 3(1): 28-41
- 이경재, 최진우, 최운규, 한봉호(2006a) 가야산국립공원 홍류동 계곡 소나무림의 생태적 특성 및 15년간(1989년-2004년) 식생구조 변화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 188-199
- 이경재, 한봉호(1998) 부천시 산림지역 아까시나무림 식물군집구조를 고려한 식생관리 모델. 한국조경학회지 26: 28-37
- 이경재, 한봉호, 이옥하(1998) 설악산국립공원 자양천지역 소나무림 군집구조 및 생육거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1(4): 493-505
- 이규송, 김준호(1995) 화전 후 묵밭의 식생 천이 진행에 따른 종조성의 변화. 한국생태학회지 18(2): 275-283
- 이규송, 김준호(1998) 묵밭에서 교란처리구배에 따른 중간교란가설의 검증. 한국생태학회지 21(3): 233-241
- 이규송, 정연숙, 김석철, 신승숙, 노찬호, 박상덕(2004) 동해안 산불 피해지에서 산불 후 경과 년 수에 따른 식생구조의 발달. 한국생태학회지 27(2): 99-106
- 이미정, 이준우, 전권석, 김효정, 최윤호, 정도현, 송호경(2003) 임도사면의 생태적 녹화를 위한 자생식물 선정 -강원도지역 임도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6(4): 24-32
- 이영로(1996) 원색한국식물도감. 교학사
- 이창복(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 이창석, 박현숙, 유영한, 홍선기(1998) 묵논의 식생천이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논문집 10: 29-43
- 조영호, 김원(1983) 팔공산 내학동일대의 산화적지의 이차식생과 천이. 한국생태학회지 6(1): 22-32
- 조우(1995) 도시녹지의 생태적 특성분석과 자연성 증진을 위한 관리모형 -서울시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252
- 최송현, 권전오, 민성환(1996) 오대산 국립공원 노인봉지역 식물군집구조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9(2): 156-165
- Armesto, J. J. and S. T. A. Pickett(1986) Removal experiments to test mechanisms of plant succession in oldfields. Vegetatio 66: 85-93
- Bard, G. E.(1952) Secondary succession on the Piedmont of New Jersey. Ecological Monographs 22(3): 195-215 https://doi.org/10.2307/1943565
- Carson, W. P. and G. W. Barrett(1988) Succession in old-field plant communities: Effection of contrasting types of nutrient enrichment. Ecology 69(4): 984-994 https://doi.org/10.2307/1941253
- Corbet, S. A.(1995) Insect, plants and succession: advantages of long term set-aside. Agriculture, Ecosystems Environment 53: 201-217 https://doi.org/10.1016/0167-8809(94)00581-X
- Hansson, M. and H. Hagelfors(1998) Management of permanent set-aside on arable land in Sweden. J. Appl. Ecol. 35: 758-771 https://doi.org/10.1046/j.1365-2664.1998.355350.x
- Hironaka, M. and E. W. Tisdale(1963) Secondary succession in annual vegetation in southern Idaho. Ecology 44(4): 810-812 https://doi.org/10.2307/1933038
- Inouye, R. S., N. J. Huntly, D. Tilman, J. R. Tester, M. Stillwell and K. C. Zinnel(1987) Old-field succession on a Minnesota sand plain. Ecology 68(1): 12-26 https://doi.org/10.2307/1938801
- Kosola, K. R. and K. L. Gross(1999) Resource competition and suppression of plants colonizing early successional old fields. Oecologia 118: 69-75 https://doi.org/10.1007/s004420050704
- Oosting, H. J.(1942) An ecological analysis of the plant commuties of Piedmont, North Carolina. The American Midland Naturlaist 28(1): 1-126 https://doi.org/10.2307/2420696
- Pickett, S. T. A.(1982) Population patterns through twenty years of oldfield succession. Vegetatio 49: 45-59 https://doi.org/10.1007/BF00051566
- Wilcox, A.(1998) Early plant succession on former arable land.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69: 143-157 https://doi.org/10.1016/S0167-8809(98)00104-2
- 長田武正(1976) 原色日本歸化植物圖鑑. 東京. 保育社: 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