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the Survivor's Pension Payment with Logistic Regression Model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한 유족연금 수급 분석

  • Kim, Mi-Jung (Institute for Mathematical Sciences, Yonsei University) ;
  • Kim, Jin-Hyung (Dept. of Industrial & Information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김미정 (연세대학교, 수리과학연구소) ;
  • 김진형 (연세대학교, 산업공학과)
  • Published : 2008.04.30

Abstract

Research for efficient management of the National Pension has been emphasized as the current society trends toward aging and low birth rate. In this article, we suggest a statistical model for effective classification and prediction of the reserve for the survivor's pension in Korea. Logistic regression model is incorporated; correct classification rate, and distribution of the posterior probability for the reserve of survivor's pension are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from the general logistic models. Assessment of predictive model is also done with lift graph, ROC curve and K-S statistic. We suggest strategies for reducing financial risks in managing and planning the pension as an application of the suggested model.

국민연금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고령화, 저출산과 같은 사회현상에 대비한 연금 관리를 위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유족연금의 발생을 예측하고 유족연금의 발생가능성 정도에 따라 대상자들을 분류하기 위한 통계적 모델을 제안하기 위하여 두 단계의 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 단계의 분석으로부터, 전체 대상자에 대하여 유족연금의 발생에 영향을 주는 주요인의 특성과 국민연금의 종류를 파악하고 이를 대상으로 유족연금의 발생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적용하되 대상자를 합리적으로 등급화하기 위한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일반적인 로지스틱모델과 비교하였다. 정확도, 민감도, 특이도와 사후 확률의 분포를 비교하고 K-S통계량을 통하여 등급의 타당성 평가와 리프트 그래프를 통한 모델의 예측력평가를 함으로써 합리적 등급분류를 통한 대상자관리가 가능한 통계적 모델임을 보였다. 예측된 통계적 모델을 적용하여 유족연금 수급유무와 등급별 분류, 등급에 따른 유족연금액 예측을 통하여 효율적인 연금관리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철, 한상태, 최종후, 이성건, 김은석, 엄익현, 김미경 (2006). <고객관계관리 (CRM)를 위한 데이터마이닝 방법론>, 자유아카데미, 경기
  2. 김지훈 (2000). 공무원연금 재정전망, <응용통계연구>, 13, 19-34
  3. 안홍순 (2007). 국민연금 재정안정화를 위한 기본연금산식의 구조개혁, <사회보장연구>, 23, 297-326
  4. 양준모 (2006). 고령화와 국민연근: 고령화에 따른 국민연금제도 개혁방향의 모색, <한국 경제의 분석>, 12, 113-182
  5. 이근홍 (2006). 국민연금의 개혁과 경로연금의 과제, <노인복지연구>, 32, 7-29
  6. Bergh, H., Baigi, A., M˙ansson, J., Mattsson, B. and Marklund, B. (2007). Predictive factors for long-term sick leave and disability pension among frequent and normal attenders in primary health care over 5 years, Public Health, 121, 25-33 https://doi.org/10.1016/j.puhe.2006.08.018
  7. Huberman, G., Iyengar, S. S and Jiang, W. (2007). Defined contribution pension plans: Determinants of participation and contributions rates, Journal of financial Services Research, 31, 1-32 https://doi.org/10.1007/s10693-007-0003-6
  8. Humphreys, M., Costanzo, P., Haynie, K. L, Ostbye, T., Boly, I., Belsky, D. and Sloan, F. (2007). Racial disparities in diabetes a century ago: Evidence from the pension files of US Civil War veterans, Social Science and Medicine, 64, 1766-1775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6.12.004
  9. SAS (2000). SAS System for Windows V.9.1, SAS Institute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