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Legislative Device for the University's Safety Management System in Terms of Crisis Management Perspective

위기관리관점에서 대학의 안전관리 법제 방안

  • Published : 2008.04.28

Abstract

This research will mainly focus on security issues in a university campus and delve into the risk factors and its characteristics due to the extreme polarization growth, and ultimately conduct research on legislative issues regarding safety & security management. A university campus is a miniature of the society, concentrated with human resources, material resources and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s. It is also a region in which various underlying risk factors threaten these resources. However, due to the insensibility of danger and carefree indolence, these risk factors have been ignoring, leaving university campus amidst a "dead zone." Currently, a systematic and synthetic measures not only for safety inside the laboratory but also for the new type of crimes such as cyber crimes and motiveless crime due to extreme polarization, stress, uneasiness about the future, increase of mental illnesses, and drug abuse are urgently required. Therefore, I would like to introduce a legislative program in a crisis management perspective that can prevent universities from danger and protect the resources which would ultimately create a new security system.

이 연구에서는 대학영역에서의 안전관리 문제에 초점을 두고 대학의 양적 발전과 성장에 따른 위험 사회적 요소와 특성을 탐구하고, 안전관리에 관련된 법제문제를 연구하고자 한다. 대학캠퍼스는 인적자원과 물적자원, 지식정보자원이 집중되어 있는 사회의 축소판으로써 이러한 자원들을 위협하는 다양한 위험요인이 압축적으로 잠재되어 있는 영역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위험불감증과 무사안일주의로 인하여 캠퍼스내에 누적된 위험요소들을 인식하지 못하고 대학은 안전관리의 사각지대에 방치되고 있다. 최근에는 대학 연구실 안전사고 뿐만 아니라 사회양극화 현상의 심화, 스트레스와 장래에 대한 불안감, 정신질환의 증가로 인한 무동기범죄와 마약류 범죄, 사이버범죄 등 신종범죄에 대하여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대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대학에서 각종 안전사고와 재난을 예방하고 자원을 보호할 수 있도록 위기관리 관점에서 안전관리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법제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재은, "위기관리정책 효과성 제고와 집행구조 접근법", 한국정책학회보, 제9권, 제1호, pp.60-61. 2000.
  2. J. W. Petak, "Emergency Management: A Challenge for Public Administratio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5(Special Issue, Jan.) pp.3-7, 1985. https://doi.org/10.2307/3134992
  3. 김두환, 연구실 유형별 안전관리 표준모델 및 안전교육 표준교재 개발, 과학기술부, 2006.
  4. 소방방재청, 재난연감, 2005.
  5. 행정자치부, 국가안전관리집행계획, 2007.
  6. 행정자치부, 국가안전관리집행계획, 2008.
  7. T. A. Rosemary, Crisis Intervention and Crisis Management, Brunner-Routledge, 2004.
  8. E. L. Zdziarski II, N. W. Dunkel, J. M. Rollo & Associates, Campus Crisis Management, John Wiley & Sons, Inc. 2007.
  9. http://www.police.go.kr/infodata/index.jsp
  10. http://www.klaw.go.kr
  11. http://www.moe.go.kr/main.jsp?idx=0403010101
  12. http://www.kipo.go.kr/kpo2/user.tdf?a=user.tml.HtmlApp&c=3002&catmenu=m03_02_01_02
  13. http://www.fooddesk.com/news/articleView.html?idxno=548

Cited by

  1. Research of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for the Safety Management of Living and Laboratory vol.28, pp.4, 2014, https://doi.org/10.7731/KIFSE.2014.28.4.0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