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eramic Bottle Having Dual Structure

이중 내부구조를 갖는 도자기보틀

  • Published : 2008.04.28

Abstract

Most of existing Ceramic bottle has a problem because of the entrance facing the upper, and then having the entrance exposed in the outside. This study has made up for this problem and manufactured a bottle having dual structure. This bottle contains the contents being poured, has the containing part having the entrance in the lower part, multiple connecting passage hole connected with the water containing part in the upper, and the storage part, keeping contents, located in the circumference of the water containing part. The tail end of the entrance of the water containing part is located more upper than the lower part of a storage part, being at the bottom. This bottle has a dual structure of which the entrance faces the lower part. So, because of checking a foreign substance to be inflowed, restraining the diffusion of an alcohol ingredient, it is possible to have the custody of products, having alcohol element, and other contents for a long time. And then, the water containing part, through the connecting hole, always can pour the contents of a certain level in a cup or bowl.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convenient, a practicable bottle with having settled problems of customary know-how explained previously.

대부분의 기존 도자기보틀(bottle)은 입구가 상부를 향하고 있어 입구가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안하여 이중 내부구조를 갖는 보틀을 제작하였다. 이 보틀은 컵 등에 따라질 내용물을 수용하며 하부에 입구를 갖는 수용부와 수용부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구멍을 상부에 가지며 수용부의 둘레에 형성되어 내용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수용부의 입구의 끝단이 바닥 표면에 맞닿는 저장부의 하부면 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 보틀은 입구가 하부 쪽을 향하도록 이중 내부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이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알코올 성분의 발산을 억제할 수 있어 알코올 성분을 갖는 제품을 비롯한 내용물의 장기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연결구멍을 통한 수용부에 의해 한 잔에 해당하는 일정량의 내용물을 컵 등에 항상 따를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보다 편리하고 실용적인 보틀을 만드는데 그 목적이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대웅, 디자인.공예대사전, 미술공론사, 1990.
  2. 김문경, 색채유리(Stained Glass) 연구, 홍익대학교대학원, 학위 논문, 1980.
  3. 김석호, "장식성을 갖는 접시홀더 디자인 연구", 기초조형학회논문지, pp.367-375, 2006.
  4. 김시내, "도자와 유리 접목에 의한 볼 디자인 연구", 아트퓨전 디자인 대학원, 2003.
  5. 이경성, 공예개론, 수학사, 1989.
  6. 이정훈, 유리사전,1988.
  7. 임무근, 신상석, C. Gleen, Nelson, 도자예술, 미진사, 1981.
  8. 한국유리기술연구소, 유리공학과 응용, 1996.
  9. T. Wolting, Recycling of filter dust in glass melting furnaces(a theoretical study), Glastech,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