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개방 동굴의 유형분류

Types of Korean caves

  • 발행 : 2008.03.31

초록

우리나라의 동굴을 대상으로 하여 동굴의 유형을 분류할 때, 기존의 분류 방법은 성인적, 규모적 분류 방법을 많이 이용하여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일반적 틀에서 벗어나 동굴과 주변지역의 서비스 환경을 고려한 분류를 시도해봄으로서 그 결과의 유용성에 착목하였다. 그 결과 주변 환경에 따른 동굴 분류는 동굴을 하나의 관광자원으로서 정보제공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매우 흥미로운 결과를 가져왔다. 동굴의 규모뿐 만아니라 주변 인문환경의 규모에 따라 동굴의 특성이 달리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이 도출되었다.

Unlike conventional cave classification, this paper is attempted to classify caves in Korea in considerations for the surroundings. As a result, it‘s been confirmed that a cave can maximize the effect of information delivery as a part of great tourism resources. It‘s also been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aves can be differently interpreted depending on the size of surrounding humanistic environment as well as the size of the cav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건철, 1994, "동굴 탐사기술(1)진행법," 한국동굴학회지, 40, 30-49
  2. 김건철, 1995, "동굴탐사의 기술 II(만영)," 한국동굴학회지, 43, 21-31
  3. 김건철, 1995, "동굴탐사의 기술 III (영양과 탐사)," 한국동굴학회지, 44, 64-78
  4. 김건철, 1999, "동굴 운행에서의 나침반 사용과 방향 탐색," 한국동굴학회지, 59, 37-55
  5. 김경훈 외, 1996, "백두산과 제주화산도에 있는 용암동굴의 X선 분석," 한국동굴학회지, 46, 9-31
  6. 김민구 외, 2007, "ATmega128를 이용한 온.습도 자동제어 모형 제작," 한국동굴학회지, 77, 59-66
  7. 김원진, 2007, "CMIS의 필요성," 한국동굴학회지, 77, 73-75
  8. 김주환 외, 2006, "SPA 개념 정립을 위한 이론적접근," 한국동굴학회지, 74, 79-96
  9. 나훈승, 1985, "석회동굴의 성인설에 관한 학설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11, 25-31
  10. 박면용 외, 1978, "동굴학에 관한 문헌," 한국동굴학회지, 3, 24-25
  11. 변태근 외, 2005, "동굴탐사와 안전관리," 한국동굴학회지, 67, 65-71
  12. 소대화, 2007, "중국 호남성 무릉원의 천문동과 황룡굴," 한국동굴학회지, 77, 43-52
  13. 이영혜, 1998, "석회동굴의 분류기준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55, 45-50
  14. 이정애 외, 1996, "동굴과 문화의 상관성에 관한 고찰," 한국동굴학회지, 47, 59-69
  15. 오종우, 1994, "지리정보체계(GIS)를 이용한 KARST 연구의 가능성," 한국동굴학회지, 40, 13-29
  16. 오종우 외, 2006, "John H. Ganter의 동굴을 지도화 하는 체계적인 안내서," 한국동굴학회지, 72, 65-74
  17. 유재신, 1991, "지질온도계로써 황철석과 자류철석내의 Ni와 Co의 분배계수," 한국동굴학회지, 25, 69-80
  18. 전용우 외, 2006, "밀폐공간에서의 소리파동과 신호처리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70, 63-74
  19. 한국동굴학회편집부, 1990, "세계최장의 화산동굴 빌레못굴 국제공인 배경," 한국동굴학회지, 23, 97-108
  20. 홍시환 외, 1997, "동굴의 국내 연구 동향," 한국동굴학회지, 49, 9-30
  21. 지종덕, 2004, "동굴학의 학문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64, 1-11
  22. 홍시환, 1989, "동굴학이 지구과학으로서의 학술적 타당성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20, 9-28
  23. 홍시환, 1995, "동굴규모 측정에 관한 소고," 한국동굴학회지, 42, 51-54
  24. 홍시환, 2004, "동굴학의 지구과학으로서의 학술적 타당성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62, 81-89
  25. 홍철화, 1995, "우리나라 동굴문화재의 관리 방안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42, 7-14
  26. Isao SAWA 외, 2006, "한국, 일본, 러시아 용암동굴 형성층의 형광X선 분석과 편광현미경적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74, 23-31
  27. 大佐古孝, 1978, "용암동굴의 횡단면도와 종단면도의 필요성에 관하여," 한국동굴학회지, 3, 46
  28. 澤勳, 1987, "제주화산도의 암석성분에 관한 통계학적인 수치해석," 한국동굴학회지, 15, 42-90
  29. 澤勳 외, 1989, "F.P법에 의한 만장굴 용암쌍석주의 형광X선 분석," 한국동굴학회지, 20, 29-62
  30. 立原弘, 1978, "동굴 측량," 한국동굴학회지, 3, 2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