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the Lava tree-molds in Jeju Island

제주도의 용암수형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Jeju-do is an oval-shape volcanic island spanning 73km east to west and 31km north to south. The 1,950meter high, Mt. Halla is the centerpiece of unique landscape of Jeju Island, Sloping gently downward toward the coastline. The most of lava tree-molds are appeared at the below of 300m on Mt. Halla. There are many lava tree-molds in Weullim-ri, Hallim-eup. Vertical tree-molds, recumbent tree-molds are distributed widely in Hallim-eup area. By the observation of shape and structure, lava tree-molds can be classified into, recumbent tree-molds and capture tree-molds, fragmental tree-molds, compounded tree-molds, vertical tree-molds.

제주도는 동서로 73km 남북으로 31km에 걸쳐 형성된 긴 타원형의 화산섬이다. 섬의 중앙 부는 1,950m의 한라산이 솟아있고 섬의 중심을 이루며 완만한 경사로 해안선으로 흘러내려 오름과 들을 거쳐 바다에 이른다. 용암수형은 제주도 한라산 고도 300m이하에서 발견되며 군집지를 형성하고 있다. 북제주군 한림읍 월림리는 횡수형과 포획수형이 많이 발견되어 과거에 수림지대가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제주도에서 발견된 용암수형은 구조와 형태의 특성에 따라 나누어보면 횡수형, 포획수형, 고사목수형, 복합수형, 수직수형의 5개로 나눌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중국외, 1991, 제주도의 화산과 동굴, 동굴 24, 30-68
  2. 김병우, 배두안, 2000, 제주도 용암수형의 종류와 현존식생, 국제동굴학술대회
  3. 김정언, 임양재, 1988, 내장산 국립공원의 현존생식과 잠재자연식생, 한국생태학회지 11(3): 145-152
  4. 김진섭,1995,화산(역저)부산대학교.출판부. 245pp
  5. 민경덕, 1986, 제주도에 분포하는 화산암류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지질학회지 19(2)
  6. 박병수, 1981, 제주도 동굴의 성인과 특성, 동굴학회지 6(7)
  7. 백원기. 1994. 한국특산식물의 실체와 분포 조사. 한국자연보존협회 연구보고서. 13:5-84
  8. 북제주군, 1993, 만장굴학술조사보고서. pp236
  9. 원종관, 1975, 제주도의 형성과정과 화산활동에 관한 연구, 건국대 대학원
  10. 원종관, 이문원, 1976, 제주도의 화산암류에 대한 암석화학적 고찰, 지질학회지 12(4)
  11. 이덕봉. 1954. 제주도의 식물상. 고려대학교문리논문집 제2권
  12. 이영혜, 1997, 제주도 화산동굴의 형성과정과 특수성 연구, 동굴 50, 35-44
  13. 이우철, 임양재, 1978.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식물분류학회지. 8:1-33
  14.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pp. 990
  15. 이창복. 1984. 한국특산식물 및 그들의 분포. 식물분류학회지 14(1): 21-32
  16. 정태현, 1965.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목류). 문교부. pp. 1824
  17.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 2002, 제주 돌 바람 그 문화와 자연. pp178
  18. 차종환, 이우철, 이순애. 1975. 한국의 기후와 식생. 서문당. pp276
  19. 최대웅, 정영상 1994. 토양학과 고고학 (편역). pp256
  20. 한국자원연구소, 1993. 제주도 지질 계통표
  21. 환경부. 1994. 특정 야생 동.식물 화보집. 환경부. 경기도. pp69-200
  22. 홍시환, 1998. 동굴환경의 보전관리지침. 한국동굴학회
  23. 홍시환, 1982, 한국의 용암동굴, 한국동굴학회
  24. 홍시환, 배두안, 1990, 협재동굴지대, 한국동굴학회
  25. 홍시환, 1986, 제주도 동굴의 성인과 특성, 동굴학회지 13(14)
  26. 홍시환, 1993, 만장굴 지대의 자연환경 소고, 동굴 34, 67-77
  27. 立原 弘. 1998. 熔岩樹型의 觀察. 98 Cave Festival Guidebook. 日本洞窟學會 火山洞窟學部 樹型硏究室 p45-62
  28. 立原 弘, 2000. 熔岩樹型の生成と種類. 韓國洞窟學 會 國際學術發表大會. pp23-28
  29. 택훈,김병우. .2002. 용암수형의 관찰에 의한 형태 구분과 형성 모델. 대판경제법과대학 경법학회 논문집. 84, 1-46
  30. 택훈,김병우 2003. 부사화산,백원용암수형의 형광 X선 분석과 X선회절법. 대판경제법과대학 경법학회 논문집. 85, 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