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nu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and Bivalvia Communities in Gamak Bay

가막만의 수질환경과 이매패류(Bivalvia)군집의 연간변동

  • Kim, Yun-Seol (Faculty of Marine Technology, College of Fisheries and Ocean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Yoon, Ho-Seop (Faculty of Marine Technology, College of Fisheries and Ocean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Park, Il-Woong (Faculty of Marine Technology, College of Fisheries and Ocean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Woo-Bum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Joo, Seung-Yong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
  • Choi, Sang-Duk (Faculty of Marine Technology, College of Fisheries and Ocean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김윤설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 윤호섭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 박일웅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 이우범 (전남대학교 환경공학과) ;
  • 주승용 (대한민국 국회) ;
  • 최상덕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Published : 2008.11.30

Abstract

The seasonal distribution pattern of the Bivalvia samples collected from 12 stations in Gamak Bay in April, July, September and November from 2001 to 2006. A total of 28 species (226.72$\pm$196.20 ind. m$^{-2}$) were identified. The COD has decreased from 3.30 mg L$^{-1}$ to 1.89 mg L$^{-1}$ level on average and especially, the COD of sediment has decreased from 21.51 mg g-dry$^{-1}$ to 16.99 mg g-dry$^{-1}$ level on average. Therefore, water quality level of Gamak Bay was improved from level 3 to 2. The dominant species over 1.0 percentages were composed of the total 13 species, and they occupied 96.75% of the total density of the Bivalvia. Major dominant species was Musculista senhousia 100.38 ind. m$^{-2}$ (22.16%), Moerella rutila 69.00 ind. m$^{-2}$ (15.23%), Theorafragilis 49.70 ind. m$^{-2}$ (10.97%), Mytilus edulis 42.18 ind. m$^{-2}$ (9.31 %), and Raphia undulata 40.99 ind. m$^{-2}$ (9.05%). This area could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the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total species composition.

본 조사에서는 양식업 및 수산업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가막만을 대상으로 수질환경 변화에 대한 이매패류의 군집구조 및 연간변동을 파악하고 물리적 화학적 환경이 이매패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가막만 해역의 12개 정점을 설정하고 2001년부터 2006년까지 4월, 7월, 9월, 11월 계절별로 조사한 결과 이매패류 총 28종이 출현하였으며, 평균 서식밀도는 226.72$\pm$196.20 ind. m$^{-2}$의 변동범위를 보였다. 화학적 산소요구량은 평균 3.03 mg L$^{-1}$에서 1.89 mg L$^{-1}$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저층 퇴적물의 화학적 산소요구량은 평균 21.51 mg g-dry$^{-1}$에서 16.99 mg g-dry$^{-1}$ 수준으로 감소하여 가막만의 수질 등급이 III등급에서 II등급수준으로 개선되어 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막만의 우점종은 총 13종으로 전체 이매패류의 96.75%를 차지하였다. 이중 가장 우점한 종은 종밋으로 평균 서식밀도는 100.38 ind. m$^{-2}$(22.16%)이었으며, 민띠접시조개가 69.00 ind. m$^{-2}$(15.23%), 아기반투명조개가 49.70 ind. m$^{-2}$ (10.97%), 진주담치가 42.18 ind. m$^{-2}$ (9.31%), 농조개가 40.99 ind. m$^{-2}$ (9.05%)등으로 우점 출현하였다. 이매패류의 종조성에 근거한 집괴분석 결과 Group A, B, C의 3개의 군집으로 나누어졌으며, 다시 세분화 하면 A I, A II, A III, B I, B II, C로 나누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 훈, 김종구. 2006. 생태계 모델을 이용한 가막만 해역의 환경용량 산정. 한국환경과학회지. 15:951-960 https://doi.org/10.5322/JES.2006.15.10.951
  2. 김동성, 제종길, 신상호. 2000. 가막만의 중형저서생물을 활용한 오염모니터링. 한국수산학회지. 33:307-319
  3. 김종구. 2005. 생태계모델을 이용한 가막만의 환경용량 산정. 해양환경안전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47-151
  4. 노일현, 윤양호, 김대일, 오석진. 2006. 가막만에서 분리한 유해성 침편모조류 Chattonella marina (Subrahmanyn) Hara et Chihara (Raphidophyceae)의 성장에 미치는 수온, 염분 및 빛의 영향. 한국수산학회지. 39:487-494 https://doi.org/10.5657/kfas.2006.39.6.487
  5. 마채우, 홍성윤, 임현식. 1995. 득량만의 저서생물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28:503-516
  6. 백상규, 윤병선, 김구환, 윤성규. 2005. 진해 안골조간대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 한국환경생물학회. 23:106-113
  7. 신현출. 1995. 가막만의 다모류군집. 한국해양학회지. 30:205-261
  8. 양한섭, 김성수, 김규범. 1995. 득량만 표층수중 영양염류의 시공간적 분포특성. 한국수산학회지. 28:475-488
  9. 윤양호. 2000. 가막만 북부해역의 해양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동특성 2. 수질환경과 엽록소 a량의 변동 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9:429-436
  10. 윤성규, 백상규. 2001. 가덕도 주변해역 대형저서동물군집 구조의 특성. 한국수산학회지. 34:493-501
  11. 윤상필, 정래홍, 김연정, 김성수, 이재성, 박종수, 이원찬, 최우정. 2007. 가막만의 저서환경과 다모류군집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12:287-304
  12. 유옥환, 고병설, 이형곤, 이재학. 2004. 인천연안 대형저서동물 군집 변동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영향. 한국수산학회지. 37:423-432
  13. 이규형. 1993. 가막만의 양식굴의 생산에 관한 수산해양학적 연구. 이학박사학위논문. 부산수산대학교. 180pp
  14. 이대인, 조현서. 2002. 가막만 유역의 오염부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1:945-954
  15. 이무형, 이준백, 이진애, 박종규. 1999. 가막만 일대 편모조류 군집구조와 휴면시스트의 동태. 한국조류학회. 14:255-266
  16. 이연규, 김종규, 이규형, 윤양호, 한경호, 신현출, 조현서, 최상덕. 2006. 가막만 자연환경과 산업. 구덕출판사. 247pp
  17. 이정호. 2007. 광양만 저서 다모류 군집의 장기변동. 이학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67pp
  18. 임현식, 홍재상. 1994. 해양 저서동물 군집을 이용한 진해만의 환경평가. -종별 개체수 분포 특성에 따른 그래프 분석기법을 적용- 한국수산학회지. 27:659-672
  19. 임현식, 홍재상. 1997a. 진해만 저서동물의 군집생태 2. 우점종의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30:161-174
  20. 임현식, 홍재상. 1997b. 진해만 저서동물의 군집생태 3. 군집구조. 한국수산학회지. 30:175-187
  21. 임현식, 박경양. 1998a. 영산강 하구역의 연성저질에 서식하는 저서동물 군집 1. 저서환경. 한국수산학회지. 31:330-342
  22. 임현식, 박경양. 1998b. 영상강 하구역의 연성저질에 서식하는 저서동물 군집. 2. 여름철 빈산소 수괴의 출현과 저서동물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31:343-352
  23. 임현식, 박경양. 1998c. 목포 주변 해역 갯벌 조간대에 서식하는 종밋 Musculista senhousia (Bivalvia: Mytilidae)의 개체군 생태 1. 분포와 성장. 한국패류학회지. 14:121-130
  24. 임현식, 박흥식, 최진우, 제종길. 1999. 남해 앵강만 조하대연성저질 저서동물 군집. 한국해양학회지. 4:80-92
  25. 임현식, 홍재상, 제종길. 1995. 진해만에서 아기반투명조개 Theora fragilis (Mollusca; Bivalve)의 분포. 한국패류학회지. 11:21-34
  26. 장승민, 최영찬. 2002. 제주도 중문관광단지 연안해역 수질의 계절변동. 한국환경공학회지. 5:3-18
  27. 조현서, 유영석, 이규형. 1994. 가막만 수질 및 저질환경의 계절적 변동특성. 여수수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보고. 3:21-34
  28. 팽우현. 2003. 가막만에 양식장 주변해역 수질 및 저질환경 특성에 관한 연구. 이학석사학위 논문. 여수대학교. 64pp
  29. 해양수산부. 2005. 해양환경공정시험방법. 389pp
  30. Bonsdorff E. 1980. Macrozoobenthic recolonization of dredged brackish water bay in SW Finland. Ophelia. Suppl. 1:145-155
  31. Bray JR and JT Curtis. 195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isn. Ecol. Monogr. 27:325-349 https://doi.org/10.2307/1942268
  32. Cho CH, HS Yang, KY Park and MK Youm. 1982. Study on bottom mud of shellfish farms in Jinhae Bay. Bull. Korean Fish. Soc. 15:35-41
  33. Clarke KR. 1993. Non-parametric multivariate analyses of changes in community structure. Aust. J. Ecol. 18:117-143 https://doi.org/10.1111/j.1442-9993.1993.tb00438.x
  34. Clarke KR and RN Gorley. 2001. Primer v5. Roborough. Plymouth. UK: Plymouth Marine Laboratory. www.primere.com
  35. Clarke KR and RM Warwick. 2001. A further biodiversity index applicable to species lists: variation in taxonomic distinctness.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216:265-278 https://doi.org/10.3354/meps216265
  36. Crooks JA. 1992. The ecology of the introduced bivalve, Musculista senhousia, in Mission Bay. San Diego. M.S. Thesis. San Diego State University. California. 157pp
  37. Dauvin JC. 1987. Evolution a long terme (1976-1986) des populations d'Amphipodes des sables fins de la Pierre Noire (Baie de Morlaix, Manche Occidentale) apres la catastrophe de l'Amoco Cadiz. Mar. Environ. Res. 21:247-273 https://doi.org/10.1016/0141-1136(87)90049-3
  38. Degobbis D. 1989. Increased Eutrophication of the Northern Adriatic Sea. Second Act. Mar. Poll. Bull. 20:452-457 https://doi.org/10.1016/0025-326X(89)90066-0
  39. Diaz RJ, GR Cytter Jr and DM Dauer. 2003. A comparison of two methods for estimating the status of benthic habitat quality in the Virginia Chesapeake Bay. J. Exp. Mar. Biol. Ecol. 371-381
  40. Groot JS. 1979. An assessment of the potential environmental impact of large scale sand dredging for the building of artificial islands in the North Sea. Ocean Managem. 5:211-232 https://doi.org/10.1016/0302-184X(79)90002-7
  41. Hily C. 1983. Macrozoobenthic recolonization after dredging in a sandy mud area of the Bay of Brest enriched by organic matter. In Oceanologica Acta. Proceedings of the 17th Europ. Mar. Biology Symposium, 113-120
  42. Imabayashi H and D Tsukuda. 1984. A population ecology of the small bivalve Theora lubrica in nothern Bingo-Nada. Bull. Jap. Soc. Sci. Fish. 50:1855-1862 https://doi.org/10.2331/suisan.50.1855
  43.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157-175.
  44. Morton B. 1974. Some aspects of the biology, population dynamcs, and functional morphology of Musculista senhousia benson (Bivalvia, Mytilidae). pacific Science. 28:19-33
  45. Park JS and YH Yoon. 2003. Marine environtmental characteristics by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Cysts in the southwe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1.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Cysts in Gamak Bay. J. Kor. Fish. Soc. 36:151-156
  46. Pearson TH and R Rosenberg. 1978. Macrobenthic succession in relation to organic enrichment and pollu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Oceanogr. Mar. Biol. Ann. Rev. 16:229-311
  47. Pielou EC.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 J. Theoret. Biol. 13. 131-144 https://doi.org/10.1016/0022-5193(66)90013-0
  48. Shannon CE and W Weav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Illinois press. Urbana. 177pp
  49. Snelgrove PVR and CA Butman. 1994. Animal-sediment relationships revised : cause versus effect. Oceanogr. Mar. Biol. Ann. Rev. 32:111-177
  50. Wright DA and DJH Phillips. 1988. Chesapeake and San Francisco Bays: a study in contrasts and parallels. Mar. Pollut. Bull. 19:405-413 https://doi.org/10.1016/0025-326X(88)90395-5
  51. Yang DB and JS Hong. 1988. On the bio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in Chinhae Bay in September 1983. Bull. Kor. Fish. Soc. 21:195-205
  52. Zhijiang Z, L Fuxue and K Caihuan. 1991. On the sex gonad development and reproductive cycle of clam Phphia undulata. J. Fish. China. Shuican. Xuebao. 15:1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