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tion, Structure, and View of Nakan Eupseong

낙안읍성의 입지와 구조 그리고 경관 - 읍치에 구현된 조선적 권위 상징의 전형을 찾아서 -

  • Lee, Ki-Bong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기봉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Published : 2008.02.28

Abstract

The transferal of districts encircled with walls and the characteristics of newly formed districts' location, structure and view are analyzed in this study with an example of Nakan Eupseong in Suncheon, Jeolla-do, which shows the best case of restoration of districts and interior structures to the original state of those in Joseon Dynast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of all, the district of Nakan-gun has transferred in 1424 from today's Goeup-ri in Beolgyo-eup, Boseong-gun to Nakan Eupseong in Nakan-myeon, Suncheon-si. Secondarily, Nakan Eupseong, the newly formed district, followed the example of Hanyang, the capital city, almost exactly in location, structure, view, and etc, due to the drastically planned designs under the participation of the central government. Thirdly, the native forces of Nakan wanted to deny the new district till 1451, and the inertia of old district had strongly remained until the late 1400's. Last of all, Joseon dynasty's typical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was clearly systemized and stated in the materials written after the 1700's.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읍성과 내부 구조가 가장 잘 복원되어 있는 전라남도 순천시의 낙안읍성을 사례로 조선초에 나타난 읍치의 이동과 신읍치의 입지 구조 경관의 특징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낙안군의 읍치는 1424년 현재의 보성군 벌교읍 고읍리에서 순천시 낙안면 낙안읍성으로 옮겼다. 둘째, 신읍치인 낙안읍성은 입지 구조 경관 등에서 수도인 한양을 거의 그대로 모방하였는데, 중앙 정부의 관여에 의해 철저히 계획적으로 건설되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셋째, 1451년까지도 낙안군의 토착세력은 신읍치인 낙안읍성을 부정하고 싶어했으며, 1400년대 후반까지도 구읍치의 관성이 강하게 남아 있었다. 넷째, 1700년대 이후의 자료에는 조선시대 읍치의 전형적인 상징 논리인 풍수적 경관이 확실하게 체계화되어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