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rainfall partitioning in a monogenetic volcano has been analysed using the hydrological data of a small catchment on Eoseungsaeng-oreum of Mount Halla and the meterological data of Eorimok Automated Weather System. The experimental catchment extends from 965 m to 1,169 m in altitude, and has an catchment area of $51,000\;m^2$ Eoseungsaeng-oreum is the scoria cone predominantly covered with Carpinus laxiflora and Quercus serrata. The analyzed periods are April 30 to September 12 and October 7 to November 19, 2007. The experimental catchment exhibits the total precipitation of 2,296.5 mm. Surface runoff amounts to 465 mm that is equivalent to 20.2% of the precipitation. By contrast, evapotranspiration accounts for 25.9% of the precipitation, and the remnant of 1,236.5 mm deep1y percolates underground through a basement. The rainy summer season, in particular, shows the highest deep percolation ratio of 62.2%. The deep percolation ratio of the experimental catchment is at 1east more two times than the ratio of a gneiss basin in Korea Peninsular. It has suggested that the experimental catchment is characterized by the higher portion of deep percolation in rainfall partitioning which reflects the highly permeable lithology in Jeju Island.
한라산 어리목의 어승생오름 표고 $965{\sim}1,169m$에 위치하는 실험 유역의 수문 자료와 인근 어리목 관측소의 기상 자료를 이용하여 제주도 단성화산에서 일어나는 강우의 분배 특성을 검토하였다. 어승생오름은 스코리아콘으로 실험 유역의 면적은 $51,000m^2$이며 식생은 낙엽활엽수인 서어나무와 졸참나무가 우점하고 있다. 수문 자료의 일부 결측으로 인하여 전반기(2007년 4월 30일$\sim$9월 12일)와 후반기(10월 7일$\sim$11월 19일)로 관측 기간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유역에서는 총강우량 2,296.5mm 가운데 20.2%에 해당하는 465mm가 유역 유출량으로 분배되며, 실제 증발산량은 강우량의 25.9%를 차지하는 595mm이다. 깊은 침루량은 1,236.5mm로서 총강우량의 53.8%가 실험 유역 하부의 지하로 이동하며, 특히 우기인 여름철에는 깊은 침루율이 62.2%로 높아진다. 한반도 편마암 유역에 비하여 적어도 2배 이상 높은 실험 유역의 지하수 함양률은 투수성이 높은 제주도의 화산 지질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