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Oriental Images of Modern Fashion in the New Paradigm

뉴 패러다임을 통해 나타난 현대 패션 동양적 이미지 연구

  • Ko, Myung-Sin (Dept. of Clothing & Textiles, Graduate School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 Chae, Keum-Seok (Dept. of Clothing & Textiles, Graduate School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고명신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 채금석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Published : 2008.05.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reation of fashion design that embraces the diversity of human culture by examining oriental images that appear in the modern fashion with a focus on new paradigms that significantly affect human life as the latest trends, and by reflecting the trends of the ti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at with regard to paradigm, a theoretical frame to view universe, the dichotomous, determinist, mechanism, linear paradigm collapsed to convert to undetermined, exoteric, pluralistic, indeterministic, organic, and holistic paradigm. The new paradigm is identified to have emerged before and after 1950s, and through the new paradigm, th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sm such as historicality, popularity, locality, folkways and the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onism, internally mutual text, post phenomenon, undeterminability and externally exposure, destruction, poverty, decomposition and analysis, were identified. Second, the Orient is defined as the generic term referring to the entire Asian areas east of Turkey. Through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oriental images, it was converted from the Oriental image, which mysteriously and romantically represents oriental elements, into the ethnic image that represents long time oriental traditions and indigenous culture together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paradigm. Third,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the Oriental costumes presented by Korea, China and Japan are expressed in developmental types, T-type plane structure, layered style, asymmetrical adjustment and easy silhouette, and they show indigenous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for example, Chinese styles in dragon pattern, red and yellow, Japanese styles in flower design and achromatic color. Fourth, the Oriental Image, combined with the postmodernism and deconstructionism through the new paradigm, has two: one Oriental image highlights traditional elements by creating new Oriental image such as natural image, folk image, hybrid image and deconstruction image; and another is undetermined and vague by combining or decomposing Oriental or Western elements. It is expected that fashion designs that reflect these contexts of the times will contribute to the strengthening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Keywords

References

  1. 공은희. (2004). 컨버전스 환경구축의 CO-EXPO 디자인 제안에 관한 연구: 유기적 생태 디자인 전략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공현정. (2003). 공간디자인에서의 역동적인 비정형 형태의 동기와 표현 유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디자인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금기숙. (1994). 조선복식미술. 서울: 열화당
  4. 김경란. (2005). 다문화시대의 하이브리드 패션과 메이크업에 관한 연구. 성신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5. 김민수. (1994). 모던디자인 비평: 포스트모던 해체의 이해. 경기: 안그라픽스
  6. 김민자. (2004a). (복식미 엿보기) 복식미학 강의 2. 경기: 교문사
  7. 김민자. (2004b). (복식미를 보는 시각) 복식미학 강의 1. 경기: 교문사
  8. 김성환. (1996). 해체론 시대의 철학. 서울: 문학과 지성사
  9. 김세나. (2002). 일본 전통문양을 응용한 현대 패션텍스타일디자인: 작품제작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김지연. (1997). 복식에 나타난 해체주의 양식연구: 건축과 복식의 비교.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김효진. (2000). 요자 야마모토의 작품에 나타난 전통 미의식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문신애. (2004). 포스트모더니즘 패션에 표현된 패치워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3. 바커, 조엘 아서. (1993). 패러다임을 전환하면 미래가 보인다. 황태호 역 (1996). 서울: 초당
  14. 박상오. (2002). 오리엔탈리즘이 현대 패션 디자인에 미친 영향에 대한 고찰.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반 퍼슨, C. A. (1987). 급변하는 흐름 속의 문화. 강영안 역 (1994). 서울: 서광사
  16. 엄소희, 김문순. (2000). 현대복식의 패러다임: 아방가르드의 특성을 중심으로. 서울: 경춘사
  17. 유송옥, 이은영, 황선진. (1997). 복식문화. 경기: 교문사
  18. 윤순봉. (1994). 현대 패션에 나타난 한국과 일본 복식 디자인 조형적 특성: 이신우, 설윤형, 이세이 미야케, 요지야마모토의 1990-1994년도의 작품을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이경은. (2003). 오리엔탈리즘 패션의 컬러 연구: 2000년 이후 해외컬렉션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이영자. (2002). Fredric Jameson의 포스트모더니즘론 연구: 변증법적 역사 인식 방벙론과 영화 비평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이현아. (1998). 해체주의 복식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조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조영아. (2001). 현대 패션에 나타난 동양모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채금석. (2002). 현대 복식 미학: 표현주의에 근거한 양면가치를 중심으로 (개정판). 서울: 경춘사
  24. 채금석. (2004). 현대 일본패션에 내재된 반꾸밈 미학. 복식, 54(8), 129-146
  25. 천재욱. (1992). 현대 예술사조가 조경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해체주의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쿤, 토머스 새뮤얼. (1962). 과학혁명의 구조. 김명자 역 (1999). 서울: 까치글방
  27. 타타르키비츠, 블라디슬로프. (1980). 미학의 기본 개념사. 손효주 역 (1999). 서울: 미술문화
  28. 하수정. (2005). 현대패션에 나타난 오리엔탈 이미지 비교 분석: 동서양 패션디자이너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9. 현정오. (2000). 현대 복식 디자인 비평 패러다임의 변화에 관한 연구: J. Derrida의 해체사상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0. 홍나영, 신혜성, 최지희. (2004). 아시아 전통복식. 경기: 교문사
  31. 황인선. (2002). 20세기 이후 실내디자인과 패션에 있어 조형적 상관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2. 황지연. (1999). 비선형적 관점에서의 환경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3. Martin, R. & Koda, H. (1993). Infra apparel. New York: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