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ve System of Elementary School for Architectural Programming - Focused on the Kyunggi and Metropolitan Area -

초등학교 건축프로그래밍을 위한 공간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수도권 지구의 현황을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8.07.30

Abstract

This study intended to put information regarding space composition and functional relationship together and analyze them, and finally offers some suggestions. For the field survey, built questionnaire and drawings analysis were used in this study. Architectural programming offers basic information for design : putting field survey factors together and analysing them. It interacts with each part of design as well. In the initial stage of architectural design, the quality of information is very decisive in the quality of design. In this sense, analysing basic information such as floor space compositive system is required to rationalizing space and functional programing in the elementary school design.

Keywords

References

  1. 기문당, 건축프로그래밍 방법 M.A. Palmer, 김광문 역
  2. 김재복 외, 초등학교 교육과정해설, 교육과학사, 1999
  3. 기문당, 정무웅 외 8명, 건축디자인과 인간행태심리, 2004
  4. 장성준, 제7차 교육과정 개정과 학교시설 건축기획의 방향/21세기 교육환경의 변화와 교육시설, 한국교육시설학회 학술심포지엄, 1999. 11
  5. 류호섭, 초등학교 교사의 공간종류 및 설치 현황에 관한 연구-각 학교의 평면도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8권 2호 2002. 2
  6. 정무웅 외 1명, 김해 내덕 1초등학교 교사신축 계획설계연구, 경상남도 교육청, 2002. 9
  7. 정무웅 외 1명, 화성 신창 초등학교 교사신축 계획설계 연구, 경기도 화성 교육청, 2003. 3
  8. 황성재, 제7차 교육과정에 입각한 초등학교 교실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1
  9. 양완숙, 초등학교 저학년 일반교실의 단위공간 유형분석, 충북대학교 산업대학, 석사학위논문, 2001
  10. 전홍필, 공공도서관 건축프로그래밍의 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 논문,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