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ydrologic Scenarios for Sustained Drought in Han River

한강수계 장기 가뭄 수문시나리오 개발

  • 이광만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물정보화연구소) ;
  • 차형선 (한국수자원공사 관리본부 총무관리처) ;
  • 이승윤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유역환경연구소)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Many studies on sustained droughts have often been limited to the analysis of historic flow series. A major disadvantage in this approach can be described as the lack of long historic flow records needed to obtain a significant number of drought events for the analysis. To overcome this difficulty, one of the present study idea is to use synthetically generated hydrologic series. A methodology is presented to develop flow series based on the probabilistic analysis of the stochastic properties of the observed flows. The method can be utilized to generate a flow series of desired length so as to include many multiyear drought events within the process. In this paper, a concept of creating multiyear drought scenarios is introduced, and its development procedure is illustrated by a case study of the water supply system in Han River Basin. Also, it was found that the generated flow series can be reliably used to predict the long drought duration and sustained drought hydrologic scenarios within a given return period.

장기지속 가뭄에 대한 많은 연구는 과거 기록 자료에 제한을 받아왔다. 장기지속가뭄과 관련된 연구의 애로점은 분석을 위한 많은 가뭄 사상을 얻는데 필요한 장기간의 과거 수문자료의 기록이 부족하다는데 있다. 이와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근래의 연구방법중 하나는 합성유량자료 계열을 이용하는 것이다. 과거 관측 자료의 추계학적 특성에 근거하여 수문시나리오를 개발하는 것으로, 방법론은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수문사상이 포함될 수 있도록 희망하는 수문자료계열을 인위적으로 생성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수자원 평가를 위한 장기 가뭄 수문시나리오를 한강수계의 저수지 시스템을 대상으로 개발하였다. 아울러 갈수분포모형과 비교하여 합성 유량계열이 주어진 재현기간내에서 신뢰성 있는 장기가뭄빈도와 이에 해당하는 가뭄시나리오 개발에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석구, 이광만, 고익환 (1992).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에 의한 다목적 저수지의 운영율 평가.”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25권, 제1호, pp. 75-82
  2. 건설부/한국수자원개발공사 (1971). 한강유역조사 사업보고서
  3. 건설부/산업기지개발공사 (1974). 소양강댐 공사지
  4. 건설교통부 (2006). 수자원장기종합계획
  5. 이광만, 고석구 (1993). “저수지군으로부터 기대편익 산정을 위한 Monte Carlo 기법의 간략화.”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26권, 제2호, pp.89-97
  6. 일본공영 (1985). 충주 다목적댐 사업 운영 유지 지침서 제1권 토목구조물
  7. 한국수자원공사 (1992). 한강수계 충주저수지 시스템의 실시간 최적운영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시스템 개발 (이수관리부문)
  8. 한국수자원공사 (1997). 소양강 다목적댐 치수능력 증대 사업 기본설계 보고서
  9. Arena, C., Cannarzozzo, M., Mazzola, M.R. (2005). "Multi-year drought frequency analysis at multiple sites by operation hydrology: a comparison." Geophysical Research Abstracts, Vol. 7, No. 08561
  10. Beran, M., Rodier, J.A. (1985). Hydrological aspects of drought, Studies and reports in Hydrology. Report 39, UNESCO-WMO, Paris, France
  11. Box, G.E.P., Jenkins, G. (1970). Time Series Analysis, Forecasting and Control. First Ed. Holden-Day Inc., San Francisco
  12. Burn, D.H., Wychreschuk, J., Bonin, D.V. (2004). "An integrated approach to the estimation of streamflow drought quantiles." Hydrological Sciences Journal, Vol. 49, pp. 1011-1024 https://doi.org/10.1623/hysj.49.6.1011.55727
  13. ECI(Engineering Consultants Inc.)용역단 (1976). 충주 다목적댐 타당성조사
  14. Fiering, M.B., Jackson B.B. (1971). Synthetic Hydrology. Monograph No. 1, American Geological Union, Washington D.C
  15. Salas, J.D., delleur, J.W., Yevjevich, V., Lane, W.L. (1985). Applied Modeling of Hydrologic Time Series. Water Resources Publications, Littleton, Colorado, pp. 379-384
  16. Tarboten D.G. (1995). “Hydrologic Scenarios for Severe Sustained Drought in the Southwestern United States.” Water Resources Bulletin, Vol. 31, No. 5, pp. 803-814 https://doi.org/10.1111/j.1752-1688.1995.tb03402.x
  17. Wijayaratne, L.H., Golub, E. (1991). "Multilayer drought simulation." Water Resources Bulletin,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27, No. 3, pp. 387-395 https://doi.org/10.1111/j.1752-1688.1991.tb01438.x
  18. Yevjevich, V. (1967). "An objective approach to definitions and investigations of continental hydrologic droughts." Colorado State University, Fort Collins, USA
  19. Yevjevich, V. (1972). “Stochastic Processes in Hydrology.” Water Resources Publications, Fort collins, Colorado, USA
  20. Yevjevich, V. (1975). “Generation of hydrologic samples, Case study of the Great Lakes.” Colorado State University, Fort Collins, Colora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