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Usefulness of Scintigraphy for the Detection of Gastroesophageal Reflux and Pulmonary Aspiration

위식도 역류와 폐 흡인 진단 방법으로서 위식도 역류 신티그래피의 유용성

  • Kang, Sung-Kil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Inha University) ;
  • Hyun, In-Young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Inha University) ;
  • Lim, Dae-Hyu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Inha University) ;
  • Kim, Jeong-Hee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Inha University) ;
  • Son, Byong-Kwa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Inha University)
  • 강성길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현인영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임대현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정희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손병관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Received : 2008.01.31
  • Accepted : 2008.02.29
  • Published : 2008.03.30

Abstract

Purpose: Chronic pulmonary disease may be caused by aspiration of gastric contents secondary to gastroesophageal reflux. At present, there is no gold standard for documenting pulmonary aspi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radionuclide scintigraphy in the detection of gastroesophageal reflux and pulmonary aspiration. Methods: Thirty-five patients with suspected aspiration pneumonia, and five normal control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ll subjects underwent gastroesophageal reflux scintigraphy after the ingestion of a $^{99m}Tc$-tin colloid mixture. Dynamic images to detect gastroesophageal reflux were obtained for 1 hour. Additional static images of the chest, to detect lung aspiration, were obtained at 6 and 24 hours after oral ingestion of the tin colloid. In addition to visual analysis, pulmonary aspiration was quantitated by counting the number of pixels labeled with radioactive isotope in the region of interest (ROI) of both lung fields. Aspiration index (AI) was obtained by subtracting the pixel counts of the background from the pixel counts of the ROI. Results: Among 35 patients with suspected aspiration pneumonia, 23 proved to have gastroesophageal reflux by scintigraphy. One patient showed definite pulmonary accumulation of activity by visual analysis of the 6-hour image. Thirty of 35 (85.7%) patients showed higher AI beyond the upper limit of AI in the healthy controls. When we compared the reflux group with the non-reflux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ly higher AI at 6 hours in the reflux group (p<0.05).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radionuclide scintigraphy is useful in detecting small pulmonary aspiration in patients with suspected aspiration pneumonia secondary to reflux.

목 적: 영유아에서 위식도 역류는 흔한 질환이며, 위식도 역류의 합병증으로 위 내용물의 폐 흡인에 의한 만성 호흡기 질환이 생길 수 있으나 이를 진단하기 위한 표준적인 검사 방법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위식도 역류와 폐 흡인 진단 방법으로서 위식도 역류 신티그래피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위식도 역류로 인한 흡인 폐렴이 의심된 35명의 환아와 정상 대조군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아에게 $^{99m}Tc$-tin colloid를 첨가한 우유를 수유한 후 위식도 역류 신티그래피를 시행하였다. 위식도 역류를 진단하기 위해 1시간 동안 동적 영상을 촬영하였고, 폐 흡인을 진단하기 위해 6시간과 24시간 후 지연 영상으로 정적 영상을 얻었다. 폐 흡인의 진단을 위해 육안분석과 함께 양쪽 폐에 관심 영역을 설정하여 정량 분석을 시행하였다. 흡인 지수는 관심 영역에서 배경 영역의 계수치를 뺀 값으로 정의하였다. 결 과: 35명의 환아 중 23명에서 신티그래피상 위식도 역류가 관찰되었고, 정상 대조군 5명에서는 위식도 역류가 발견되지 않았다. 환아군 35명 중 24명에게 24시간 하부 식도 pH 검사를 시행하였고, 7명에서 산성역류가 확인되었다. 신티그래피와 하부 식도 pH 검사를 동시에 받은 24명 중 8명에서 두 검사의 결과가 일치하여 두 검사는 위식도 역류의 진단에 있어 일치하지 않았다. 환아군 35명 중 16명에게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하여 13명의 환아에서 의존성 위치에 폐 경화가 발견되어 흡인 폐렴으로 진단하였고, 이 환아들이 신티그래피에서도 폐 흡인이 있었는지 그 일치도를 알아보았을 때, 두 검사는 폐 흡인의 진단에 있어 일치하지 않았다. 한 명의 환아에서 6시간 후 지연 영상에 우폐로 역류된 방사능이 육안적으로 관찰되었다.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30명(85.7%)의 환아에서 흡인 지수가 결정점인 0.3보다 높아 폐 흡인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진단하였다. 역류군과 비 역류군을 비교하였을 때, 6시간 후 지연 영상에서 흡인 지수는 역류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결 론: 위식도 역류 신티그래피는 비 침습적이고 안전한 검사로 위식도 역류의 진단에 있어서는 24시간 하부 식도 pH 검사에 비하여 부족하지만 역류로 인한 소량의 폐 흡인을 진단하는데 유용하며, 앞으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수의 대조군 연구가 수행된다면 폐 흡인을 확진할 수 있는 진단 기준이 나올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