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bital and Periorbital Cellulitis in Children: A Recent 7-Year Clinical Review

소아에서 안와와 안와주위 봉와직염에 관한 최근 7년간의 임상적 고찰

  • Choi, Jeong Ho (Department of Pediatrics, Hanil General Hospital) ;
  • Hon, Sun Yeo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Park, Sung Si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Cha, Sung Ho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Kim, Eun Jin (Department of Pediatrics, Hanil General Hospital) ;
  • Lee, Jin (Department of Pediatrics, Hanil General Hospital) ;
  • Chang, Jin Keun (Department of Pediatrics, Hanil General Hospital)
  • 최정호 (한일병원 소아과청소년과) ;
  • 홍선영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박성신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차성호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은진 (한일병원 소아과청소년과) ;
  • 이진 (한일병원 소아과청소년과) ;
  • 장진근 (한일병원 소아과청소년과)
  • Published : 2008.06.25

Abstract

Purpose : Orbital cellulitis is rare, but it could be from the serious complication of sinusitis in children. It is often difficult to distinguish periorbital cellulitis from orbital cellulit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clinical features of orbital and periorbital cellulitis in a pediatric population and to assess the predisposing factors and their complications. Methods : Forty-one patients aged 18 years and younger who were admitted between January 2000 and December 2006 to Hanil General Hospital and Kyunghee University Hospital with orbital or periorbital cellulitis. The retrospective analyses include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orbital and periorbital cellulitis, dermographics, past history, predisposing factors, clinical presentations, treatments, and complications. Results : Among 41 patients, 34 patients had periorbital cellulitis, 7 patients had orbital cellulitis. While paranasal sinus disease was the most common predisposing cause in orbital cases, skin lesion, insect bite, dacrocystitis and conjunctivitis were the common causes in periorbital cases. In comparison with periorbital cases, orbital cases had higher level of white blood cell count,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and C-reactive protein. Blood cultures were taken in 23 patients, but only one had Staphylococcus aureus from blood. Only one case had surgical incision and drainage and recovered without complications. Conclusion : From the results of our data, when patient shows erythematous swelling of periorbital area with opthalmoplegia, chemosis and proptosis, orbital CT scan is required to make diagnosis of orbital cellulitis. Most cases of orbital cellulitis can be treated successfully without surgical intervention. If there is no clinical improvement, repeated CT scan and/or surgical intervention should be considered.

목 적 : 안와주위 봉와직염은 더 위험한 질병인 안와 봉와직염과 감별이 힘들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저자들은 최근 7년 동안 서울 지역의 두 군데 병원에서 안와와 안와주위 봉와직염으로 진단된 환아의 임상적 특징, 선행요인, 치료 경험 등을 보고하고 자 한다. 또한 감별 진단을 위한 유용한 소견 및 방사선검사의 유용성을 조사하였다. 방 법 : 본 연구는 2000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한일병원과 경희대학교 부속병원에 안와와 안와주위 종창을 주소로 입원하여 안와와 안와주위 봉와직염으로 진단된 18세 이하의 환아 41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지를 통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 41명 중 안와 봉와직염으로 진단된 환아는 7명(17.1%)이었고 안와주위 봉와직염으로 진단된 환아는 34명(82.9%)이었다. 발병연령은 0세부터 12세까지 분포하였으며, 대상 환아 중 2세 이하의 환아가 25명(61%)으로 많았고, 41명의 평균연령은 $3.2{\pm}3.4$세였다. 입원 일수는 안와군에서 $8.0{\pm}5.2$일이었고 안와주위군에서는 $5.7{\pm}3.4$일로 안와군에서 의미있게 길었다.(P= 0.04) 동반질환으로는 안와군에서 부비동염 6명, 안구 농포 1명, 누선염 1명, 안구내염 1명, 결막염 1명, 암 3명이었으며 암은 3명 모두 혈액종양인 급성 임파구성 백혈병이였다. 안와주위군에 서는 부비동염 10명, 중이염 3명, 안구농포 12명, 맥립종 5명, 산립종 1명, 곤충 물림 8명, 누낭염 7명, 결막염 5명, 치주염 1명, 균혈증 1명이었다. 백혈구 수의 평균은 안와군에서 $15,280{\pm}9,717/mm^3$와 안와주위군에서의 $10,040{\pm}5,004/mm^3$으로 안와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3), C-반응 단백 수치의 평균은 각각 $4.57{\pm}3.68mg/dL$, $2.64{\pm}3.43mg/dL$로 안와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4). 전체 환아중 혈액 배양검사는 23명이 시행되었고 이중 안와주위군의 1명에서 S. aureus가 자랐으며 MSSA였다. 혈액 배양검사 양성율은 4.3%로 낮았다. 농양부위의 배양검사는 안와주위군의 3명에서 시행되었고 이중 2명에서 각각 S. pyogenes, S. viridans가 동정되었다. 결 론 : 안와와 안와주위 봉와직염은 별개의 질환으로 병인이 서로 다르다. 안와 주위종창으로 내원한 환아들 중 부비동염이 선행되었거나, 안와증상인 안근마비, 결막부종, 안구돌출 등이 보이는 경우, 안검의 종창으로 이학적 검사가 힘들고 안와 봉와직염이 의심스러운 경우 CT scan은 필수적이며 치료를 위해 소아감염, 이비인후과, 안과 등 다양한 과로 구성된 팀(multi-speciality team)의 협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