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ing the Indicator System for Diagnosing the National Status Quo of Science Culture

국가 수준의 과학문화 실태 진단을 위한 지표 체제 개발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During the past two decades or so, science (or scientific or scientific & technological) culture has become one of the main themes not only of policy makers but also of science educators. Although, the idea of science culture has been taken as a desirable goal, there is little agreement about what it means and how to measure it. Particularly in Korea, there has been a rapid growth of science culture projects and programs, either by governmental or non-governmental, but with little systemic monitoring and evaluation for its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us, to explore a model of measuring science culture and develop a comprehensive indicator system for it. We reviewed many literatures on definitions of science culture and the surveys for related terms, particularly, of recent national and international surveys (e.g. US Science and Engineering Indicators, Eurobarometer, Japanese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 Based on this review, a model for science culture is proposed and then used to define the Science Culture Indicators (SCI). This model encompasses two dimensions(i.e. individual and social), which are further divided into two aspects (i.e. potential and practice). Each dimension is expected to represent citizen literacy of and national infrastructure of science culture respectively. Each category in this $2{\times}2$ matrix is further divided into several sub-categories. The discussion concerning how the model and the indicators can be used to check the states of science culture at social as well as individual levels will be given with some concrete examples, such as indicators particularly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지난 수 십 년 동안 과학문화는 과학정책 및 과학교육의 주요 화두가 되어왔다. 그러나 과학문화의 정의나 과학문화의 측정에 대한 합의는 이루어지지 않은 채로 여러 과학문화 관련 사업이 진행되어 왔다. 국내에서도 국가기관 및 민간기간에서 과학문화와 관련된 사업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으나, 이러한 사업에 대한 체계적인 진단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 문화의 새로운 모형과 한국의 과학문화를 진단하기 위한 과학문화 지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문헌에서의 과학문화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국내외의 과학기술 관련 지표를 참고하여 과학문화를 '개인과 사회가 과학기술과 관련하여 공유하는 잠재적이고 실천적인 삶의 양식 및 가치의 총체'라고 정의하였다. 이에 따라 과학문화를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으로 구분하였으며, 이를 다시 잠재와 실행적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개인적 차원은 개인의 과학문화 소양을, 사회적 차원은 과학문화 기반시설을 의미한다. 이 $2{\times}2$의 각각의 범주는 다시 여러 개의 하위범주로 나눠진다. 개인의 잠재적 영역을 의견 관심 이해로, 개인의 실행적 영역은 학습 적용 참여로, 사회의 잠재적 영역은 인적 물적 제도적 인프라로, 사회의 실행적 영역은 매체 행사 시민활동으로 나눠진다. 각각의 범주는 서로 순환적이며 복합적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 지표는 과학문화를 체계적이며 종합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국내외의 과학기술 관련 지표의 조사결과와 비교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지표를 이용하여 국가적 수준에서 정기적으로 과학문화의 현황을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재술, 최병순, 김찬종(1998). 국가수준의 과학 지식 평가 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4), 601-615
  2. 김병목, 오세홍 외(2003). 주요 선진국의 과학기술 지표 체계 비교분석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3. 김영식(2002). 과학문화에 대한 다각적 고찰. 한국과학사학회지, 24(2), 238-250
  4. 김영식, 정원(2003). 한국의 과학문화 - 그 현재와 미래. 생각의 나무
  5. 김영인(2005). 청소년의 부안 핵폐기장 갈등 참여와 시민의식형성의 관련성 고찰. 청소년학연구, 12(1), 151-182
  6. 김학수, 이정훈, 홍혜현(2002). 새로운 측정모델을 이용한 과학기술 국민이해 조사연구 -문제 및 이슈와 연관짓기를 중심으로-. 기술혁신연구, 제10권, 124-147
  7. 박정(2006). 우리나라 여학생과 남학생의 OECD/PISA 과학적 소양 평가 문항에서의 차별기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3), 440-449
  8. 박정, 정은영, 김영희, 한경혜, 이서영(2004). 수학 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TIMSS 2003 결과보고서-. 연구보고, RRE 2004-3-2
  9. 박희주(2003). 새로운 과학문화: 과학기술과 사회의 관계 맺기. 한국의 과학문화-그 현재와 미래. 생각의 나무. 203-220
  10. 성태제(1991). 문항반응이론 입문. 서울: 양서원
  11. 소원주, 김범기, 우종옥(1998). 중등학교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 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2), 127-136
  12. 송성수(2003). 과학기술문화 하부구조에 관한 통계 지표 분석. 과학기술정책, 제143권
  13. 송성수, 김범성, 최진아(2004). 과학기술문화활동의 진화와 특징에 관한 국제비교: 시스템 접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4. 송진웅, 오원근, 조숙경, 구수정(2002). 청소년 학교 밖 과학 활동 지원 시설에 대한 실태조사 및 DB 구축. 과학문화재단. 제 2002-30호
  15. 송진웅, 최재혁, 김희경, 정민경(2006). 국민의 과학 기술 이해도 측정을 위한 과학문화지표 개발. 과학문화연구센터. 정책연구 보고서
  16. 이경훈, 우종옥(1996). 과학 관련 태도의 타당한 측정을 위한 연구 II-"과학에 대한 태도"의 감정적 요소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2), 190-199
  17. 이미경, 김경희, 박선화, 조지민, 시기자, 최성연(2005). 2005년도 학업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PISA/TIMSS).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5-2-1
  18. 이미경, 손원숙, 노언경(2007a). OECD/PISA 평가틀 및 공개 문항 분석-PISA 2000, PISA 2003, PISA 2006 공 개문항-.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7-25
  19. 이미경, 손원숙, 노언경(2007b). PISA 2006 결과 분석 연구-과학적 소양, 읽기 소양, 수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 변인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7-1
  20. 이미경, 홍미영, 정은영(2006). TIMSS-R 과학성취도에서의 성 차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4), 492-501
  21. 이영희(1997). 과학기술 대중화의 새로운 모델. 한국정책학회보, 6(1), 204-229
  22. 임경순(2002). 과학기술 발전과 과학문화. 자연과학, 13, 105-110
  23. 정광수, 이문규, 박준호(2003). 과학문화의 개념과 의의. 한국의 과학문화-그 현재와 미래. 생각의 나무. 92-105
  24. 조숙경(2003). 과학문화의 의미와 과제. 과학기술정책지, 143, 27-36
  25. 조숙경(2007). 과학커뮤니케이션: 과학문화의 실행. 한국과학기술학연구, 7(1), 151-175
  26. 채서일(2003). 사회과학조사방법론(3판). 학현사
  27. 한국과학문화재단(2002). 과학기술 분야 국민이해도 조사 보고서 2002. 한국과학문화재단
  28. 한국과학문화재단(2004). 과학기술 분야 국민이해도 조사 보고서 2004. 한국과학문화재단
  29. 한국과학문화재단(2006). 과학기술 분야 국민이해도 조사 보고서 2006. 한국과학문화재단
  30. Bauer, M. W., Petkova, K. & Boyadjieva, P.(2000). Public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 science: alternative measures that may end the "science war". Science, Technology, & Human Values, 25(1), 30-51 https://doi.org/10.1177/016224390002500102
  31. Brossard, D. & Shanahan, J.(2006). Do they know what they read?. Science Communication, 28, 47-63 https://doi.org/10.1177/1075547006291345
  32. Burns, T. W., O'Connor, D. J. & Stocklmayer, S. M.(2003). Science communication: a contemporary definition.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12, 183-202 https://doi.org/10.1177/09636625030122004
  33. DeBoer, G. E. (2000). Scientific Literacy: Another look at its historical and contemporary meanings and its relationship to science education refor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6), 582-601 https://doi.org/10.1002/1098-2736(200008)37:6<582::AID-TEA5>3.0.CO;2-L
  34. European Commission(1993). European, Science and Technology-Public Understanding and Attitudes
  35. European Commission(2001). European, Science and Technology
  36. European Commission(2005a). Europeans, Science and Technology
  37. European Commission(2005b). Social Values, Science and Technology
  38. Gardener, P. L.(1975). Attitudes to science.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2, 1-41 https://doi.org/10.1080/03057267508559818
  39. Godin, B. & Gingras, Y.(2000). What is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ulture and how is it measured? A multidimensional model.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9, 43-58 https://doi.org/10.1088/0963-6625/9/1/303
  40. Hagenduk, R. P.(2004). The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public participation in regulated worlds. Minerva, 42, 41-59 https://doi.org/10.1023/B:MINE.0000017699.19747.f0
  41. Harlow, A. & Jones, A.(2004). Why students answer TIMSS science test items the way they do.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4, 221-238 https://doi.org/10.1023/B:RISE.0000033761.79449.56
  42. Jegede(1997). School science and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culture: a review of contemporary science education in Africa.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9(1), 1-20 https://doi.org/10.1080/0950069970190101
  43. Jenkins, E. W. & Pell, R. G.(2006). The relevance of science education project(ROSE) in England: a summary of findings. Centre for studies in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University of Leeds
  44. Koski, C. A.(2005). The Human Genome Project: an examination of its challenge to the technological imperative. New Genetics and Society, 24(3), 267-281 https://doi.org/10.1080/14636770500349791
  45. Langksch, R. C. & Sprargo, P. E.(1996). Construction of a paper-and-pencil Test of Basic Scientific Literacy based on selected literacy goals recommended by the Americal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5, 331-359 https://doi.org/10.1088/0963-6625/5/4/003
  46. Langksch, R. C.(2000). Science literacy: A conceptual overview. Science Education, 84(1), 71-94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200001)84:1<71::AID-SCE6>3.0.CO;2-C
  47. Martin, M. O., Mullis, I. V. S., Gonzalez, E. J. & Chrostowski, S. J.(2004b). TIMSS 2003 International Science Report: Findings from IEAs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at the Fourth and Eight Grades. Boston: Boston College, Center for the Study of Testing, Evaluation, and Educational Policy
  48. Massarani, L. & Moreira, I.(2005). Attitudes towards genetics: a case study among Brazilian high school students.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14, 201-212 https://doi.org/10.1177/0963662505050992
  49. Miller, J. D.(1998). The measurement of civic scientific literacy.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7, 203-223 https://doi.org/10.1088/0963-6625/7/3/001
  50. Miller, J. D.(2001). The acquisition and retention of scientific information by American adults. Free-choice science education-How we learn science outside if school, Teachers college press, 93-114
  51. Miller, J. D.(2004). Public understanding of, and attitudes toward, scientific research: what we know and what we need to know.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13, 273-294 https://doi.org/10.1177/0963662504044908
  52. Miller, S.(2001).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at the crossroads.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10, 115-120 https://doi.org/10.1088/0963-6625/10/1/308
  53.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NISTEP)(2004).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 : 2004, A Systematic Analysis of Science and Technology Activities in Japan. NISTEP
  54. National Science Foundation(2004). Science and Engineering Indicators 2004: Volume 1. National Science Foundation: Arlington, Virginia
  55. National Science Foundation(2006a). Science and Engineering Indicators 2006: Volume 1. National Science Foundation: Arlington, Virginia
  56. National Science Foundation(2006b). Science and Engineering Indicators 2006: Volume 2. National Science Foundation: Arlington, Virginia
  57. Osborne, J.(2003). Attitudes towards science: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its im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9), 1049-1079 https://doi.org/10.1080/0950069032000032199
  58. Pardo, R. & Calvo, F.(2002). Attitudes toward science among the European public: a methodological analysis.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11, 155-195 https://doi.org/10.1088/0963-6625/11/2/305
  59. Roth, W. M. & Lee, S.(2002). Scientific literacy as collective praxis.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11, 33-56 https://doi.org/10.1088/0963-6625/11/1/302
  60. Schreiner, C. & Sjoberg, S.(2006). The Relevance of Science Education (ROSE). Department of Teacher Education and School Development University of OSLO
  61. Snow, C. P.(1959). The Two Cultur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국역: 오영환 옮김, "두 문 화"(사이언스북스(2001))]
  62. Solomon(1997). "School science and the future of scientific culture", in R. Levinson & J. Thomas (Eds.) Science Today: Problem or Crisis? (London: Routledge, 1997), 151-162
  63. Song, J. & Cho, S. K.(2004). Yet Another Paradigm Shift?: From Minds-on to Hearts-on.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1), 129-145
  64. Sturgis, P. & Allum, N.(2004). Science in society: re-evaluating the deficit model of public attitudes.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13, 55-74 https://doi.org/10.1177/09636625040426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