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여성 과학기술 인력의 미국 박사학위 취득과정 및 진로이행 실태분석

An Analysis on Korean Women's U.S. Ph.D. Degree-seeking Process and Career Development in the Field of Science and Engineering

  • Lee, Soo-You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 Jin, Mi-Su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 Lee, Young-Mi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발행 : 2008.08.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에서 과학기술 분야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여성 고급인적자원의 학위 취득과정 및 학위 취득 후 진로활동을 분석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 NSF)에서 매년 수행하고 있는 박사학위취득자 조사(Survey of Earned Doctorates: SED)의 2004년 원 자료 가운데 한국인 박사학위취득자들에 관한 자료를 기초로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인 미국 박사학위취득자 가운데 여성박사의 비율은 약 25% 정도이며, 이 비율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과학기술분야 여성박사 학위 취득자는 대학 졸업 후 대략 10년 정도 후에 박사학위를 취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의 평균적인 연령은 33.3세로 나타났다. 이들 중 3분의2 이상은 연구조교나 강의조교를 통해 재원을 충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 여성 미국 박사학위취득자들의 졸업 후 진로계획과 진로상황을 살펴보면, 학위취득 당시 약 51.8%는 취업이나 포스트 닥으로 확정된 상황이며, 나머지 48.2%는 미정인 상황이었다. 본 연구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해외 여성 고급인적자원의 학위 취득과정과 진로활동에 관한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Korean Women's U.S. Ph.D. Degree-seeking Process and career development in the field of science and engineering in the United States. We conducted the analysis on the basis of SED (Survey of Earned Doctorates) data of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 Since 2001, the number of Korean Ph.D. degree recipients from United States universities has been increasing and about 25% of them were women. Their median age was 33.3 years old, and one third of them were the recipients of research and teaching assistantships while pursuing a Ph.D. degree. At the time of receiving the degree, 51.8% reported having definite commitments for employment or postdoctoral study or research. Over 70% of the degree holders were presumed to stay and work in the United States. The study finally addressed policy implications regarding their recruitment to Korea and a need for a longitudinal survey.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인적자원부, 한국교육개발원(2005). 교육통계연보.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한국교육개발원
  2. 과학기술부(2007). 2007 과학기술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경기: 과학기술부
  3. 김희진, 송은경, 신선미, 양인숙 (2006). 2005 여성 과학기술인력 조사연구 보고서. 서울: 전국여성과학기술 인지원센터
  4. 송창용, 진미석, 오호영, 유한구, 이수영, 윤형한, 박 주완(2007). 2007년 미래의 직업세계 인프라 구축 : 석 박사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5. 신선미, 김남희(2006).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분야 여성고급과학기술인력 양성 방안. 한국여성개발원
  6. 이수영, 진미석, 신선미, 이영민 (2007). 여성연구원 의 연구단절 최소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 원
  7. 진미석, 장창원, 윤형한, 김나라 (2006). 미래의 직 업세계 인프라 구축: 석.박사 졸업자 취업조사.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8. 진미석, 손유미, 김미란, 김나라, 신선미, 김창환, 박 재민 (2004). 여성과학기술인의 양성 활용 등에 관한 실태 조사 분석 및 개선을 위한 정책연구. 서울: 한국직 업능력개발원
  9. 학술진흥재단 (2005). 해외박사 신고자 통계
  10. Atkin, A. M., Green, R., & McLaughlin, L. (2002). Patching the Leaky Pipeline: Keeping First-Year College Women Interested in Science.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32, 102-108
  11. Campbell, A. & Skoog, G. (2004). Preparing Undergraduate Women for Science Careers. The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33(5), 24-26
  12. Hoffer, T. B., Welch, Jr. V., Williams, K., Hess, M., Webber, K., Lisek, B., Loew, D., & Guzman-Barron, I. (2005). Doctorate Recipients from United States Universities: Summary Report 2004. Chicago: National Opinion Research Center
  13. Lee, S-Y., Falk, J., & Drayton, B. (2005). Multiple paths to a successful after-school science program for middle school girls.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f Science Education, 25(6), 658-670
  14. Moen, P. (1988). Women as a Human Resource. Manuscript NSB/EHR 89-05. Washington, D.C.: NSF Sociology Program, Division of Social and Economic Science
  15. OECD(2001). International mobility of the highly skilled. Paris: OECD
  16. OECD(2006). Education at a Glance. OECD Indicators 2006. Paris: OECD
  17. Rayman, P. M., and Stewart, J. P. (2000). Reaching for success in science: Women's uneven journey. Women's Studies Quarterly, 28(1 and 2)
  18. Sonnert, G. & Holton, G. (1994). Gender differences in science careers. New Brunswick: Rutgers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