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rrative Inquiry on Student-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with Extra Curricular Science Classes of a High School: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Knowledge Constructed by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예비 과학 교사들의 고등학교 과학반 지도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예비 교사들이 형성하는 지식의 종류와 특징

  • Published : 2008.10.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knowledge constructed by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Data included 26 student-teachers' narratives regarding their experiences in teaching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extra-curricular science classes. It was reveal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awoke to the importance of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learned it themselves in the situation of their own teaching. Especially their concern about science content knowledge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matter of didactic transposition of the knowledge. The result also show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constructed knowledge about the relationship with students as well as pedagogical knowledge to help students learn, and that they newly realized the nature of science in the context of teaching science. In addition, the teaching experiences allowed for the student-teachers to develop knowledge of oneself as a teacher and knowledge about science education in schools. It was believed that the knowledge constructed personally by the pre-service teachers from their teaching experiences could be a platform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 expertise.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for science teacher education and relevant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26명의 예비 중등 과학 교사들의 고등학교 과학반 수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를 분석하여 그들이 형성하는 지식의 종류와 특징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예비 과학 교사들은 과학반 지도 경험을 계기로 교과 내용 지식의 중요성에 대해 자각하고 이를 스스로 학습할 뿐만 아니라, 가르치는 상황에서 그들의 교과 내용 지식은 과학 내용을 교수법적으로 전환하는 문제에까지 이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들은 또 학생들과의 관계에 관한 지식과 학생들의 학습을 위한 교수법적 지식을 몸소 체득하였고, 새로운 수업의 맥락에서 과학의 본성을 새삼 발견하였다. 이와 더불어 예비교사들은 실제 교육 경험을 통해 교사로서의 자아에 관한 지식과 장차 과학 교육 현장에서의 교육적인 실천에 관련된 지식을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실제적인 지도 경험을 통해 예비 교사들이 형성하는 지식은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계발하기 위한 토대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과정과 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과학 교사 교육 및 관련 연구에 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석(2007). 교사의 실천적 지식으로서의 내러티 브에 의한 수업 비평의 지평과 가치 탐색. 교육과정연구, 25(2), 1-35
  2. 김대현, 박경미(2003). 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교육과정연구, 21(2), 23-49
  3. 김만희, 김범기(2002). 내러티브 사고의 과학교육적 함의.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851-861
  4. 김병찬(2005). 예비교사들은 교육 실습을 통해 무엇 을 경험하는가? 교육행정학연구, 23(4), 49-76
  5. 김영천(2005a). 별이 빛나는 밤: 한국 교사의 삶과 그들의 세계 1. 서울: 문음사
  6. 김영천(2005b). 별이 빛나는 밤: 한국 교사의 삶과 그들의 세계 2. 서울: 문음사
  7. 김영천, 정정훈, 이영민(2006). 미운 오리 새끼: 한 국 초임교사의 일 년 생활. 서울: 문음사
  8. 김혜선(2005).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유치원 초임교 사들의 교직 생활 이해: 네 교사의 교직 첫해 이야기. 한국교원교육연구, 22(2), 277-305
  9. 박미화, 이진석, 이경호, 송진웅(2007). 과학 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의 개념적 정의와 유형: 예비 과학 교 사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1), 70-83
  10. 박성혜(1998).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서 과학 교육 과목이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의 과학 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7(2), 33-44
  11. 박성혜(2000).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 교수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과학에 대한 학문적 배경, 과학 교수에 대한 태도, 과학 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의 상호 관계성 조사 (I): 양적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542-561
  12. 박한숙(2006). 특별활동 및 재량활동 교육과정 개발 과 운영에 대한 초임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초등교육연구, 19(1), 421-448
  13. 박한숙(2007). 초임교사의 통합교육과정 개발과 운 영을 저해하는 학교문화에 대한 내러티브적 접근. 교육인류학연구, 10(1), 63-88
  14. 박현주(2005). 초임 중등과학 교사의 과학교수에 대 한 인식과 전문성 발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3), 421-430
  15. 서경혜(2004).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과 개념: 교사 와 학생 면담 연구. 교육학연구, 22(4), 165-187
  16. 소경희(2004). 교사양성 교육과정에 있어서 '내러티 브 탐구'(narrative inquiry)의 함의. 교육학연구, 42(4), 189-211
  17. 염지숙(2003). 교육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교육인류학연구, 6(1), 119-140
  18. 오필석, 이선경, 이경호, 김찬종, 김희백, 전찬희, 오 세덕(2008). 과학 교사 전문성 연구의 방법론적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1), 47-66
  19. 이혁규, 심형택, 이경화(2003). 초등 예비 교사의 실 습 체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교육인류학연구, 6(1), 141-197
  20. 정광순(2004). 한 교사의 열린 교육 체험에 대한 내 러티브 탐구. 열린교육연구, 12(1), 1-23
  21. 정광순(2006). 초등교사의 통합교과 실행 경험에 대 한 내러티브 탐구. 교육과정연구, 24(3), 125-146
  22. 정금현, 장홍재(2005). 성장단계에 있는 교사의 지 식학습과정에 대한 생애사적 접근. 한국교원교육연구, 22(1), 177-197
  23. 조석훈(2004). 교육 실습생의 교직 경험에 관한 질 적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2(1), 201-224
  24. 허창수(2007). 교육지식을 재구성하는 장으로서 교 육 실습: 다섯 교육 실습생 경험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5(1), 95-127
  25. Beijaard, D., & Verloop, N. (1996). Assessing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Studies in Education Evaluation, 22(3), 275-286 https://doi.org/10.1016/0191-491X(96)00016-8
  26. Carter, K. (1993). The place of story in the study of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Educational Researcher, 22(1), 5-12, 18
  27. Clandinin, D. J. (1985).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A study of teachers' classroom images. Curriculum Inquiry, 15(4), 361-385 https://doi.org/10.2307/1179683
  28. Clandinin, D. J. (1989). Developing rhythm in teaching: The narrative study of a beginning teacher's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of classrooms. Curriculum Inquiry, 19(2), 121-141 https://doi.org/10.2307/1179405
  29. Clandinin, D. J., & Connelly, F. M. (2000).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cisco, CA: Jossey-Bass
  30. Clermont, C. P., Borko, H., & Krajcik, J. S. (1994). Comparative study of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experienced and novice chemical demonstrato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4), 419-441 https://doi.org/10.1002/tea.3660310409
  31. Connelly, F. M., & Clandinin, D. J. (1988). Teachers as curriculum planners: Narratives of experience.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2. Connelly, F. M., & Clandinin, D. J. (1990). Stories of experience and narrative inquiry. Educational Researcher, 19(5), 2-14
  33. Connelly, F. M., Clandinin, D. J., & He, M. F. (1997). Teachers'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on the professional knowledge landscap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3, 7, 665-674 https://doi.org/10.1016/S0742-051X(97)00014-0
  34. Doecke, B., Brown, J., & Loughran, J. (2000). Teacher talk: The role of story and anecdote in constructing professional knowledge for beginning teach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6, 335-348 https://doi.org/10.1016/S0742-051X(99)00065-7
  35. Eisner, E. W. (1998). The enlightened eye: Qualitative inquiry and the enhancement of educational practice.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36. Elbaz, F. (1983). Teacher thinking: A study of practical knowledge. London: Croom Helm
  37. Geddis, A. N. (1993). Transforming subject-matter knowledge: The rol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learning to reflect on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5(6), 673-683 https://doi.org/10.1080/0950069930150605
  38. Gess-Newsome, J., & Lederman, N. G. (1993). Preservice biology teachers' knowledge structures as a function of professional teacher education: A year-long assessment. Science Education, 77(1), 25-45 https://doi.org/10.1002/sce.3730770103
  39. Kagan, D. M. (1992). Professional growth among preservice and beginning teacher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2(2), 129-169 https://doi.org/10.3102/00346543062002129
  40. Khishfe, R., & Adb-El-Khalick, F. (2002). Influence of explicit and reflective versus implicit inquiry-oriented instruction on sixth graders' view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7), 551-578 https://doi.org/10.1002/tea.10036
  41. Lederman, N. G., Gess-Newsome, J., & Latz, M. S. (1994). The nature and development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onceptions of subject matter and pedagog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2), 129-146 https://doi.org/10.1002/tea.3660310205
  42. Rushton, S. P. (2001). Cultural assimilation: A narrative case study of student-teaching in an inner-city school.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7, 147-160 https://doi.org/10.1016/S0742-051X(00)00048-2
  43. Rushton, S. P. (2004). Using narrative inquiry to understand a student-teacher's practical knowledge while teaching in an inner-city school. The Urban Review, 36(1), 61-79 https://doi.org/10.1023/B:URRE.0000042736.78181.61
  44.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 1-22 https://doi.org/10.17763/haer.57.1.j463w79r56455411
  45. Tuan, H.-L., & Kaou, R.-C. (1997). Development of a grade eight Taiwanese physical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evelopment. Proceedings of the National Science Council, Republic of China, Part D: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7(3), 135-154
  46. van Driel, J. H., Beijaard, D., & Verloop, N. (2001).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form in science education: The role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2), 137-158 https://doi.org/10.1002/1098-2736(200102)38:2<137::AID-TEA1001>3.0.CO;2-U
  47. van Driel, J. H., de Jong Onno, & Verloop, N. (2002). The development of perservice chemistry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cience Education, 86, 572-590 https://doi.org/10.1002/sce.10010
  48. Veal, W. R., Tippins, D. J., & Bell, J. (1999). The evolu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rospective secondary physics teacher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San Diego, CA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43 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