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경북 봉화지역의 선캠브리아기 홍제사 화강암 내에는 견운모 광상이 분포한다. 이 지역의 대현광산과 성황광산에서 산출되는 견운모에 대하여 현미경 관찰, X-선회절분석, 전자현미분석, X-선형광분석, ICP분석 등을 통하여 지화학적 및 광물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그 형성과정을 검토하였다. 이 지역 견운모광상은 열수변질작용에 의해 화강암을 모암으로 한 견운모화작용에 의해 형성되었다. 이곳에 나타나는 광물조합과 그 산출상태로부터 4가지치 변질대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변질대는 점이적인 열수변질작용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곳에서 산출하는 견운모는 광물화학적으로 모두 일라이트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구조형도 모두 $2M_1$으로 매우 단순한 형태를 보였다. 거의 순수한 견운모 광석은 여러 색을 나타냈으나, 주화학성분이나, 결정구조에서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미량성분을 검토한 결과 진한 녹색을 띠는 것은 Cr이 상대적으로 다량 함유되고, 흑색의 것은 Ti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암인 홍제사 화강암내에서 견운모 광상이 발달하는 것은 단층과 같은 단열구조와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엽납석 및 고령석 등의 다른 변질광물은 나타나지 않으며, 열극대를 따라 변질된 단순한 형태의 열수광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sericite ore deposits formed in the Precambrian granitic rock at the Bonghwa area, Kyungsangbuk-do, South Korea. The geochemic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sericite occurred in Daehyun and Seonghwang mine were analyzed using petrographic microscope, XRD, EPMA, XRF and ICP. An alteration mechanism was also studied. Sericitization occurred within the granitic rock by hydrothermal alteration. From the careful study on the occurrence and mineral assemblage, four alteration zone were clearly identified. These zones reflect progressive hydrothermal alteration process. All sericites belong to $2M_1$ polytype and their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properties are close to illite. The sericite ores show various colors, but the characteristics of major element compositions and crystal structures are not different. The trace element analysis, however, indicates that the difference in color attribute to the abundance of Cr and Ti: bluish green colored sericite are enriched in Cr and blackish green colored sericite enriched in Ti. The formation of sericite ore deposit in the granitic rocks are closely relate to fracture system such as fault and joint. It is considered that the sericite ore deposits in this area were formed by very simple hydrothermal alteration occurred along the fracture zones in granitic rocks with absence of other hydrothermally altered minerals such as kaolin and pyrophyll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