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llular Automata Based Urban Landuse Change Modeling Considering Development Density

개발밀도를 고려한 셀룰러 오토마타 기반의 도시 토지이용 변화 모델링

  • Cho, Dae-Heon (Geospatial Information Research Center,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 조대헌 (국토연구원 국토정보연구센터)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Although development density control has received murk attention in urban planning,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empirical methods that can examine local changes in development density. Recent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develop cellular automata (CA) models that can be applied to urban landuse change. This paper aims to develop an extended landuse change model based on urban CA considering development density. The proposed model not only includes density control component in a model framework, but also directly estimates local density changes in land use. The developed model was applied to the study area, which was a part of central Seoul. The calibration of the model was carried out over the period $1900s\sim2000s$ using parcel-based land use data and related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calibrated model have been tested by comparison with actual landuse data, and have demonstrated that the developed model can produce realistic simulations of urban landuse changes. But model output is dependent on the spacio-temporal resolution of input data.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alibration procedure and methods for evaluating model validity.

개발밀도는 현대 도시 관리의 주요 관심사임에도 불구하고 이론 실증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지원 체계가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셀룰러 오토마타 기반의 도시 모델링 방법론을 확장하여 개발밀도를 고려한 도시 토지이용 변화 모델을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제안된 모델은 구조적인 측면에서 개발밀도를 명시적으로 고려할 분만 아니라 국지적인 밀도 변화를 직접적으로 추정한다. 개발된 모델을 1980년대 초$\sim$2000년대 초의 서울 도심부 토지이용 변화에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양한 방법을 통해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제안된 모델은 토지의 용도 변화 뿐만 아니라 밀도 변화에도 유의미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제안된 모델은 데이터 구득의 한계로 인해 공간적, 시간적 제약을 가지게 되었다. 더불어 모델의 보정 및 타당성 검토 방법론은 본 연구에서 충분히 검토되지 못하였으며, 향후 지속적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옥.박수홍, 2000, '서울대도시지역 도시성장 예측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 35(4), 621-639
  2. 김영환, 2003, '지속가능한 도시형태의 물리적 모형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38, 143-160
  3. 문태훈, 2002, '도시동태모형을 이용한 도시성장관리정책의 평가,'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3(2), 5-27
  4. 김황배.김동문, 2005, 'GIS를 활용한 도시의 한계교통용량과 개발밀도 평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5(30-D), 395-402
  5. 박재길.김의식.김상조.문홍길, 2001, 도시성장관리를 위한 개발밀도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6. 서울특별시, 2004, 서울 도심부 발전계획 부록3: 도심부 토지이용 및 경관변화
  7. 신상영, 2005, 교통시설용량을 고려한 개발밀도 관리방안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8. 윤정미.이성호, 2006,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도시 성장 패턴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1), 116-126
  9. 이경춘, 1995, 도심상업지역의 입체적 입지특성 분석을 통한 용도결정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간선가로변 상업시설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이동우, 2006, '스마트 성장 패러다임과 국토발전 1: 수도권의 계획적 관리와 스마트 성장,' 국토, 299, 15-23
  11. 이성호.윤정미.서경천.남광우.박상철, 2004, '셀룰라 오토마타를 이용한 김해시의 도시성장모형에 관한 연구: 1987-2001년을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7(3), 118-125
  12. 이소영, 1997, 도심상업활동의 입지 선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이왕건, 2003, '도시 성장 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 스마트성장,' 국토, 256, 81-89
  14. 이왕건, 2006, '스마트 성장 패러다임과 국토발전 1: 스마트 성장을 위한 도시 개발의 방향,' 국토, 299, 6-14
  15. 이왕기, 2002, 도시밀도 관리정책의 실현성에 관한 연구: 일반주거지역을 중심으로, 인천발전연구원
  16. 임은선.이종열.이희연, 2006, '도시성장관리를 위한 공간구조의 확산-압축 패턴 측정,' 국토연구, 51, 223-247
  17. 전유신.문태훈, 2003, '도시성장관리를 위한 개발밀도관리모델 수립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38, 41-61
  18. 정재준, 2004, '상대생장과 셀룰라 오토마타를 이용한 도시성장 예측 모델링: 대전광역시를 사례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6(2), 1-14
  19. 최대식.임창수, 2004, '밀도결합형 셀룰라 오토마타 모형의 개발: 서울대도시권 도시성장 시뮬레이션, 1972-2000,' 국토계획, 39(5), 7-24
  20. 최막중.김진유, 1999, '기반시설 제약조건하에서의 도시개발용량과 토지이용밀도,' 국토계획, 34(3), 61-72
  21. 최현선.권영섭, 2006, 스마트 성장과 비전 수립 과정: 플로리다 주 잭슨빌 시 사례, 국토연구원
  22. Allen, P.M., Sanglier, M., Engelen, G., and Boon, F., 1985, Towards a new synthesis in the modeling of evolving complex systems, Environment and Planning B, 12, 65-84 https://doi.org/10.1068/b120065
  23. Arai, T. and Akiyama, T., 2004, Empirical analysis for estimating land use transition potential functions: case in the Tokyo metropolitan region,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28, 65-84 https://doi.org/10.1016/S0198-9715(02)00043-1
  24. Barredo, J.I., Kasanko, M., McCormick, N., and Lavalle, C., 2003, Modelling dynamic spatial processes: simulation of urban future scenarios through cellular automat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4, 145-160 https://doi.org/10.1016/S0169-2046(02)00218-9
  25. Barredo, J.I., Demicheli, L., Lavalle, C., Kasanko, M., and McCormick, N., 2004, Modelling future urban scenarios in developing countries: an application case study in Lagos, Nigeria, Environment and Planning B, 32, 65-84
  26. Cheng, J. and Masser, I., 2003, Modelling urban growth patterns: a multiscale perspective, Environment and Planning A, 35, 679-704 https://doi.org/10.1068/a35118
  27. Couclelis, H., 1985, Cellular worlds, a framework for modelling micro-macro dynamics, Environment and Planning A, 17, 585-596 https://doi.org/10.1068/a170585
  28. Li, X. and Yeh, A.G., 2002, Neural-network-based cellular automata for simulating multiple landuse changes using GI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16(4), 323-343 https://doi.org/10.1080/13658810210137004
  29. O'Sullivan, D. and Torrens, P. M., 2000, Cellular models of urban systems, CaSa Working Papers, 22, Centre for advanced Spatial analysis, London, UK
  30. Straatman, B., White, R., and Engelen, G., 2004, Towards an automatic calibration procedure for constrained cellular automata,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28, 149-170 https://doi.org/10.1016/S0198-9715(02)00068-6
  31. Tobler, W. R., 1979, Cellular Geography, in Gale, S. and Olsson, G. (eds.), Philosophy in Geography, Dordrecht: D. Reidel Publishing Company, 379-386. (http://www.geog.ucsb.edu/~tobler/publications/pdf_docs/geog_analysis/CellularGeog.pdf)
  32. Torrens, P. M., 2000, How cellular models of urban systems work, CASA Working Papers, 28, Centre for advanced Spatial analysis, London, UK
  33. Torrens, P. M., 2003, Cellular automata and multi-agent systems as planning support tools, in Geertman, S. and Stillwell, J.(eds.), Planning Support Systems in Practice, Berlin: Springer-Verlag, 205- 222
  34. White, R., 2006, Pattern base map comparisons, Journal of Geographical Systems, 8, 145-164 https://doi.org/10.1007/s10109-006-0026-9
  35. White, R. and Engelen, G., 1993, Cellular automata and fractal urban form: a cellular modelling approach to the evolution of urban land-use patterns, Environment and Planning A, 25, 1175-1199 https://doi.org/10.1068/a251175
  36. White, R. and Engelen, G., 1997, Cellular automata as the basis of integrated dynamic regional modelling, Environment and Planning B, 24, 235-246 https://doi.org/10.1068/b240235
  37. White, R. and Engelen, G., 2000, High-resolution integrated modelling of the spatial dynamics of urban and regional systems,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24, 383-400 https://doi.org/10.1016/S0198-9715(00)00012-0
  38. White, R., Engelen, G., and Uijee, I., 1997, The use of constrained cellular automata for high-resolution modelling of urban land-use dynamics, Environment and Planning B, 24, 323-343 https://doi.org/10.1068/b240323
  39. Wu, F., 1998, SimLand: a prototype to simulate land conversion through the integrated GIS and CA with AHP-derived transition rule,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12, 63-82 https://doi.org/10.1080/13658819824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