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ildren's use of Computer Game and Game Immersion: According to Grade

아동의 컴퓨터게임이용 실태에 따른 게임몰입 경향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1) present condition of children's usage of computer game, 2) difference in extent of immersing in computer game according to grade, and 3) difference in extent of immersing in computer game according to conditions of computer game usage. A total of 239 children from 1st to 3rd grade in an elementary school in Busan were surveyed with two kinds of questionnaires about usage of and immersion in computer gam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program. It was revealed that the 1st graders showed higher scores on experience of computer game, frequency of computer game per week, and amount of time for each computer game than the 3rd grader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tent of immersing in computer game according to grade and to conditions of computer game usage.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ies that the age of using computer game is going down rapidly.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provided.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게임이용 실태를 살펴보고, 학년에 따라 게임몰입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게임이용 실태가 게임몰입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봄으로서 아동의 컴퓨터게임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에 소재한 한 초등학교 1학년부터 3학년 아동 총 239명으로, 컴퓨터 게임 사용 실태 조사 설문지와 컴퓨터게임 몰입 검사지를 배부하여 자료처리를 하였다. 게임이용 실태를 살펴보면, 1학년 아동의 게임 경력, 게임시간, 주간게임 횟수 등에서 3학년 아동과 비슷하거나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게임몰입경향의 학년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성별차이는 나타났다. 또한 컴퓨터게임 실태조사 항목인 게임경력, 주당 게임횟수, 1회당 게임시간, 게임 이유 등이 게임몰입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후속연구가 제안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인터넷진흥원, 2006년 하반기 정보화 실태조사, 한국인터넷진흥원, 2007.
  2.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이슈 기획 분석: 유아 및 초등학생의 인터넷이용실태 분석, 한국인터넷진흥원, 2007.
  3. 송숙자, 심희옥, "아동의 컴퓨터게임 몰두성향과 심리사회 및 행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제24권, 제5호, pp.27-41, 2003.
  4. K. Durkin and B. Barber, "Not So Doomed: Computer Game Play and Positive Adolescent Development,"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Vol.23, pp.373-392, 2002. https://doi.org/10.1016/S0193-3973(02)00124-7
  5. L. Bensley and J. van Eenwyk, "Video Games and Real-life Aggression: Review of the Literature," J. of Adolescent Health, Vol.29, pp.244-257, 2001. https://doi.org/10.1016/S1054-139X(01)00239-7
  6. 곽금주, "컴퓨터 게임과 아동, 청소년 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 10권, 특집호, pp.147-175, 2004.
  7. 덕성여자대학교 아동게임연구센터, 유․아동 및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 척도 개발연구,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6.
  8. 어기준, 청소년 PC중독의 유형과 문제점, 한국청소년상담원, 2000.
  9. 나은영, 박종현, "어린이의 인터넷․컴퓨터게임 몰입에 미치는 자기통제성의 매개 역할과 어머니의 개방적 커뮤니케이션의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50권, 제2호, pp.116-260, 2006.
  10.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정보사회와 청소년 I,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1998.
  11. http://www.netaddiction.com/resources/internet_addiction_test.htm
  12. 정계주, 컴퓨터 게임중독과 대인불안, 공격성과의 관계,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02.
  13. 박혜원, 곽금주, "전자게임의 유형 및 평가차원에 관한 일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 9권, 제2호, pp.91-105, 1996.
  14. 방희정, 조아미, "가족기능과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행동간의 관계", 한국발달심리학회 2002 춘계심포지움, 2002.
  15. 권민균, 최명숙, "아동의 인터넷 활동 및 선호에 대한 조사: 연령과 성 차이를 중심으로", 아동교육, 제13권, 제2호, pp.137-150, 2004.

Cited by

  1. Children's cellular phone usage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usage and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vol.17, pp.2, 2008, https://doi.org/10.5934/KJHE.2008.17.2.271
  2. Influence of Accessibility, Subject Norm, and Social Norm to Use Diversity or Usage of Internet Contents vol.13, pp.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