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pace Structure Character of Hangeul Typography

한글 타이포그래피의 공간 구조적 특성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General development basis of letter system is recognized by formative value in terms of its function and structure. principle of clustered writing is the most significant feature of Hangeul typography as considered that it is based on function and formativeness. Thus, not only by changes with its form but also by its characteristic syllable combination, space structure is made as consonants and vowels are combined in single letter, then the combination develop into word, sentence, paragraph to make second, third space structure character. This character has significant impact on readability that is core function of typography. With this property, space structure character is regarded as very important component of Hangeul typography. First, space structure character of Hangeul typography is reviewed by relating it to visual perception of gestalt psychology and compared square-framed letter and framed latter By applying square-framed letter and framed latter in same sentence, legibility and readability were studied. Researcher has found that space structure character of Hangeul typography has significant impact on its function, and in terms of future design, it is very critical not only for design but also for communication environment as space structure formativeness of Hangeul typography interact with communication that is basic concept.

문자 일반의 체계적 발전의 토대는 기능성과 구조적 측면에서의 조형적 가치에 대한 인식으로 판단된다. 모아쓰기의 원리는 한글 타이포그래피의 핵심이라고 지칭할 수 있으며, 여기에 기능성과 조형성이 깊숙하게 자리잡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는데 이는 다양한 외부요인에 의한 조형적 변화는 물론 한글만의 특수한 자형결합의 원리로 인해 낱글자 내에서도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공간구조가 발생하고 단어, 글줄, 단락으로 추가 결합되면서 이에 상응하는 제2, 제3의 공간 구조적 특성이 만들어지고, 이는 곧 타이포그래피의 핵심기능인 가독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한글타이포그래피의 공간 구조적특성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될 수 있는데, 우선 형태심리학적 시지각 법칙과 연관지어 검토하고, 이에 따른 네모틀 활자와 탈네모틀 활자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같은 문장의 글을 네모틀 활자와 탈네모틀 활자에 적용시키고 실험을 통해 기능성 즉, 가독성과 판독성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연구자는 한글 타이포그래피에서 공간 구조적 특성이 기능에 매우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추출해 낼 수 있었으며 향후 디자인 관점에서 한글타이포그래피의 공간 구조적인 조형성은 커뮤니케이션의 기본개념인 소통과 유기적 관계를 형성함으로 조형적 원리에 입각한 한글 타이포그래피는 디자인뿐만 아닌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Kohler and Wolfgang, Gestalt Psychology : An Introduction to New Concept in Modern Psychology, New York, Liveright, 1970.
  2. Hayes and Ricky, Foundations of Psychology, U.K, Nelson & Son, 1996.
  3. Kendler, H. Howard, 이승복, 이현진, 김혜리, 김영란, Historical Foundation of Modern Psychology. USA: The Dorsey Press, 1987.
  4. 강연아, 한글 활자체의 커뮤니케이션효과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5. Aron Gurwitsch, Studies in Phenomenology and Psychology, Northwestern Univ. Press, 1966.
  6. 민혜란, 한글 바탕체와 돋움체의 비교분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9.
  7. 최정호, 서체개발의 실제, 한글글자꼴 기본연구, 한국출판연구소, 1988.
  8. 고선, 글꼴 공모전 수상작을 중심으로 본 한글 디자인 경향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1.

Cited by

  1. The Effect of Hangul Font on Reading Speed in the Computer Environment vol.32, pp.5, 2013, https://doi.org/10.5143/JESK.2013.32.5.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