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충진 FRP 거더의 전단재하 실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hear Strength Test for FRP Girder of Filled Concrete

  • 곽계환 (원광대학교 토목환경도시공학부) ;
  • 장화섭 (원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김우종 (원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김회옥 (원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발행 : 2008.08.30

초록

섬유복합재료(Fiber Reinforced Polymer, FRP)는 경량성, 높은 설계기준강도, 비전기 비자성 및 내부식성의 특징 등으로 인하여 최근 건설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 GFRP(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는 가격 경쟁성에서 우수하여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GFRP는 상대적으로 낮은 탄성계수를 가지고 있어 처짐이 과대하게 발생함으로 구조부재 단면으로서 활용되기 위해서는 단면이 커야하며, 설계시 사용하중에 의한 처짐 제한에 대한 검토를 실시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언급된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형 단면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모듈형식의 단면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FRP의 낮은 강성을 확보하군 위하여 콘크리트를 충진하는 새로운 FRP+콘크리트 합성 거더 형상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FRP)콘크리트 합성 거더의 전단지간비와 콘크리트 충진 여부에 따른 전단강도 및 처짐, 중립축 변화를 확인하고자 전단실험을 실시하였다.

Fiber Reinforced Polymer, FRP has a light weight, a high tensile strength based on design, non-electronic, non-magnetic, and rust-resistant feature, etc and many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recently on FRP in the construction area. Among them, GFRP (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 is excellent in price competitiveness and is widely being used. However, since GFRP has a relative low modulus of elasticity and causes excessive deflection, the section must be large to be used as a structural component and an investigative review must be carried out in design to set the limit for deflection by the use load.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mentioned technical problems, this study suggested a section of a module form such that application of a large-scale section is possible. Also, to secure the low rigidity of FRP, this study developed a new FRP+ concrete composite girder form that confined the concrete. To identify the structural movement of the developed FRP+ concrete composite girder, shear strength test was carried out.

키워드

참고문헌

  1. 지효선, 조영환, 박계남 (2002) 복합신소재(FRP) 교량의 설 계 및 현장적용, 대한토목학회학회지, 50(7), pp.27-31
  2. 한복규, 홍건호, 김기수 (2006) 섬유복합재료(FRP)의 건설 적용 사례 연구(교량편). 한국복합재료학회지, 복합재료학회, 19(2), pp.35-41
  3. 이성우, 이선구, 김정현 (2001) 경량 고내구성 복합소재 교량 바닥판의 개발, 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1 -4
  4. 박설아, 신동구, 조근희, 김병석 (2005) 구조공학: FRP-콘 크리트 합성 바닥판의 단기 구조거동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25(5), pp.729-739
  5. 황윤국 등 (2004) 장수명 합리화 바닥판 개발 (II) : BRIDGE200. 연구보고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6. Arvid Hejll. Bjorn Taljsten, Masoud Motavalli (2005) Large scale hybrid FRP composite girders for use in bridge structures-theory, test and field application. Composites Part B : Engineering, 36 (8), pp.573-585 https://doi.org/10.1016/j.compositesb.2005.05.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