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학에 의한 초등 과학 영재교육 자료의 수업목표 사례 분석

Analysi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in a Teaching-Learning Material for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Science by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 발행 : 2008.12.31

초록

본 연구에서 K 초등 과학 영재교육 자료에 제시된 수업목표를 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학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시된 수업목표는 13개 주제에 총 217개였고 영역별로는 에너지 27개, 물질 68개, 생명 52개, 지구 70개였다. 지식차원에서는 개념적 지식에 해당하는 수업목표가 가장 많았고 절차적 지식, 메타인지 지식, 사실적 지식 순으로 나타났다.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이해하다'에 해당하는 수업목표가 가장 많았으며 '적용하다', '창안하다', '분석하다'와 '평가하다' 순이었고 '기억하다'는 매우 적었다. 수업목표를 에너지, 물질, 생명, 지구의 네 영역으로 나누어 분류한 결과 지식 차원에서는 에너지, 물질, 지구 분야의 경우 개념적 지식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절차적 지식, 메타인지 지식, 사실적 지식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생명 분야는 절차적 지식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다음으로 메타인지 지식, 개념적 지식, 사실적 지식 순으로 나타났다.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네 영역 모두 '이해하다'에 해당하는 수업목표가 가장 많았는데 그 비율은 지구 영역에서 가장 높았으며 물질, 에너지, 생명 순으로 나타났다. '기억하다' 범주에 해당하는 수업목표는 네 영역 모두에서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K 초등 과학 영재교육 자료의 수업목표는 복잡한 지적 조작을 요구하는 상위 수준의 사고 기능을 기르는 데 목표를 두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in a teaching-learning material for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science, 217 instructional objectives across 13 themes in 4 areas of 'energy','materials', 'life' and 'earth' were analyzed by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Four types of factual, conceptual, procedural and meta-cognitive knowledge in knowledge dimension were all comprised in the objectives. Conceptual knowledge was primary constituent of the objectives and the proportion of factual knowledge was the least. On the other hand, all 6 categories of 'remember', 'understand', 'apply', 'analyze', 'evaluate' and 'create' in cognitive process dimension were also comprised in the objectives. The category of 'understand' was primary constituent and that of 'remember' was the least one. While conceptual knowledge in knowledge dimension was primary constituent of the objectives in 'energy', 'materials' and 'earth' areas, procedural knowledge was the most objectives in 'life' area. The least type of knowledge was factual knowledge in all 4 areas. In cognitive process dimension, the category of 'understand' was primary constituent and that of 'remember' was the least one in all 4 areas. In conclusion, it was showed that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in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objectives for gifted students in scienc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현석, 강이철, 권대훈, 박영무, 이원희, 조영남, 주동범, 최호성 공역 (2005a). 교육과정 수업평가를 위한 새로운 분류 체계.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 강현석, 강이철, 권대훈, 박영무, 이원희, 조영남, 주동범, 최호성 공역 (2005b). 신 교육목표 분류 체계의 설계.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3. 강현석, 정재임, 최윤경 (2005). Bloom의 교육목표 분류학에 대한 비판과 그 대안 탐구-일선 교사들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중등교육연구. 53(1). 51-84
  4. 고세환 (1990). Klopfer의 교육목표 분류 체계에 의한 초등학교 5학년 자연과 수업목표 분석. 과학교육연구. 제 13집. 29-43. 공주교육대학 과학교육연구소
  5. 곽대오, 김영수, 김정곤 (1994). Klopfer의 과학교육목표 분류 체계에 의한 고등학교 생물교육 목표 분석. 경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보. 제14집. 125-140
  6. 곽대오, 김영수, 정계준 (1994). Klopfer의 과학교육목표 분류 체계에 의한 중학교 생물교육 목표 분석. 경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보. 제14집. 111-124
  7. 구덕실, 이응호 (1993). 제5차 자연과 교육과정의 학습목표 분석에 관한 연구-물리 영역을 중심으로. 과학과 수학교육논문집. 제19집. 41-62. 서울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8. 구자억, 조석희, 김홍원, 서혜애, 장영숙 (1999). 영재교육과정 개발 연구: 초.중학교 영재교육과정 시안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9. 권치순 (2005). 초등과학 영재교육의 방향과 과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4(2). 192-201
  10. 김영수, 윤세진 (1991). Klopfer 교육목표 분류 체계에 의한 고등학교 생물교육 과정의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19(2). 126-138
  11. 김영신, 이혜숙, 신애경 (2007). 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 체계에 기초한 초등학교 과학과 수업 목표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6(5). 570-579
  12. 김홍원 (2002). 싱가포르 영재교육. 동서양 주요 국가들의 영재교육. 서울: 문음사
  13. 문두호, 이강남 (1999). Klopfer의 과학교육 목표 분류 체계에 의한 6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생물교육 목표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7(4). 331-342
  14. 박성익 (2002). 영재 교수-학습 방법 개발의 방향과 쟁점. 한국영재학회, 과학영재학회 국제학술대회자료집. 211-238
  15. 서혜애 (2007). 영재교육의 방향. 창의적 지식 생산자 양성을 위한 영재교육. 영재교육 교원 기초과정 직무연수 공통이론편. 17-35. 경상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16. 서혜애 (2008). 초등과학 영재교육프로그램 개발 방향. 창의적 지식 생산자 양성을 위한 영재교육. 영재교육 교원 기초과정 직무연수 초중등 과학편. 109-141. 경상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17. 이경화, 최병연, 박숙희 공역 (2005). 영재교육. 서울: 박학사
  18. 이혜숙, 서유선, 박경숙, 김영신 (2006). 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틀에 기초한 중학교 생물 영역의 목표 분류.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3). 365-376
  19. 조석희, 김홍원 (1999). 과학영재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수탁 연구. CR 99-15
  20. 조희형 (1984). Bloom 등의 교육목표 분류론의 본질과 그 문제점. 과학교육논총. 9. 29-36
  21. Anderson, L. W., and Krathwohl, David R., eds. (2001). A Taxonom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ment: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New York: Longman
  22. Anderson, L. W., & Sosniak, L. A. (2004). Bloom's taxonomy: A forty-year retrospective: Ninety-third yearbook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3. Davis, G. A., & Rimm, S. B. (2004).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5th ed.). Boston, MA: Pearson Education Inc
  24. DeVito, B. & Grotzer, T. A. (2005). Characterizing in two science classrooms by the cognitive processes demonstrated by student and teachers. Marst. Harvard University
  25. Krathwohl, D. R. (2002). A revision Bloom's taxonomy: An overview. Theory into Practice, 41(4). 212-218 https://doi.org/10.1207/s15430421tip4104_2
  26. Miller, A. D. (2004). Applying Bloom's revised taxonomy within the framework of teaching for understanding to enhance the frequency and quality of student's opportunities to develop and practice higher-level cognitive processes. Marst. Kalamazoo College
  27. Van Tassel-Baska, J. (1994). Comprehensive curriculum for gifted learners(2nd ed.) Needham Heights, MA.: Allyn and Bacon
  28. Van Tassel-Baska, J. (2003). What matters in curriculum for gifted learners: Reflection 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In N. Colangelo, & G. A. Davis(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3rd ed. Boston: Allyn & Ba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