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고남표. 1990. 거문도 해산식물자원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조류학회지 5:1-37
- 고영욱, 성건희, 김정하. 2008. 회기분석을 이용한 해조류 생물량 측정을 위한 방법론. Algae:in press https://doi.org/10.4490/ALGAE.2008.23.4.289
- 고철환, 이해복. 1982. 덕적군도의 해조상. 자연실태종합보고서 2:229-249
- 김미경, 신재기. 2007. 독도 연안의 하계 수환경과 미세조류의 종조성. Algae 22:193-199 https://doi.org/10.4490/ALGAE.2007.22.3.193
- 김영식, 최한길. 2004. 한국의 남해안과 서해안에 생육하는 지충이(Sargassum thunbergii)의 착생 해조류의 종조성. 한국생태학회지 27:173-177
- 김영환, 남기완, 손철현. 1997. 동해안 주문진 조간대의 저서 해조류:해조상, 분포 및 군집구조. Algae 12:117-130
- 김영환, 안중관, 이재일, 엄희문. 2004. 동해안 울진원전의 온배수 방출이 주변 해조군집에 미치는 영향. Algae 19:257-270 https://doi.org/10.4490/ALGAE.2004.19.3.257
- 김영환, 윤현주, 유종수. 1995. 서해 중부 연안 해조군집의 종조성과 생물량. 식물학회지 38:389-398
- 김영환, 이인규. 1985. 서해안 무창포의 조간대 해조 군집구조의 분석. 식물학회지 28:149-164
- 김영환, 허성회. 1998. 서해안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조군집의 종조성과 생물량. 한국수산학회지 31:186-194
- 남기완. 1986. 동해안 죽도의 해조군집에 관하여. 조류학회지 1:185-202
- 박연숙, 김영환. 1990. 서해안 하계 해조류 분포에 관한 식물지리학적 연구. 조류학회지 5:39-50
- 박찬선, 위미영, 황은경. 2007. 한국 남서해안 도초군도 무인도서의 하계 해조상. Algae 22:305-311 https://doi.org/10.4490/ALGAE.2007.22.4.305
- 백재민, 황미숙, 이재완, 이욱재, 김종인. 2007. 백령도 해조군집의 종조성과 생물량. Algae 22:117-123 https://doi.org/10.4490/ALGAE.2007.22.2.117
- 부성민, 최도성. 1989. 안마군도의 하계 해산식물상. 자보협 9:207-238
- 손철현, 최창근, 김형근. 2007. 강릉 연안의 해조군락과 유용 해조 자원 분포. Algae 22:45-52 https://doi.org/10.4490/ALGAE.2007.22.1.045
- 오병건, 이해복. 1998. 서해안 태안반도 의항의 해조상 및 군집. 환경생물 16:181-192
- 유종수, 김영환, 이인규. 1996. 인천항 선거생태계 부착해조군집의 동태. Algae 11:295-307
- 유종수, 김영환. 1990. 서해안 무창포와 마량리의 조간대 해조 군집구조의 분석. 식물학회지 33:225-236
- 유현일, 이지희, 이기훈, 백상흠, 허영범, 노형수, 최한길. 2007. 태안반도 하계 해조상 및 군집구조. 한국수산학회지 40:210-219 https://doi.org/10.5657/kfas.2007.40.4.210
- 윤미영, 부성민. 1991. 서해 중부 삽시도의 조간대 해산식물의 종조성과 수직분포. 조류학회지 6:145-156
- 이기훈, 유현일, 최한길. 2007. 태안반도 꽃지 약용해조의 계절적 군집구조 및 수직분포. Algae 22:209-219 https://doi.org/10.4490/ALGAE.2007.22.3.209
- 이용필, 강서영. 2001. 한국산 해조류의 목록. 제주대학교 출판부. 제주, pp. 661
- 이욱재, 황미숙, 백재민, 이재완, 김종인. 2007. 서해 경기만 해조군집 복원을 위한 기초생태조사. Algae 22:201-207 https://doi.org/10.4490/ALGAE.2007.22.3.201
- 이인규, 김형섭, 정호성. 1986. 흑산군도의 하계해조상. 자보협 6:257-284
- 이인규, 부성민. 1988. 외연열도의 하계 해산식물상. 자보협 8:233-256
- 이인규, 오윤식. 정호성. 1987. 대청군도의 해조상. 자보협 7:329-354
- 이인규, 유순애. 1978. 서해 격렬비열도의 하계 해조상에 관한 연구. 자보협 12:103-120
- 이인규. 1973. 하계 백령도 해조 목록. 서울대학교. 문리대학보 19:7-448
- 이재완, 오병건, 이해복. 1997. 서해안 태안반도 파도리 일대의 해조상과 군집. Algae 12:131-138
- 이재완, 오병건, 이해복. 2000. 서해안 파도리의 조간대 해조류 군집. Algae 15:111-117
- 이해복, 장래혁. 1989. 서해안 태안반도 해조군집변화에 대한 정성 정량적 연구. 조류학회지 4:19-40
- 최창근, 곽석남, 손철현. 2006. 동해안 울진 연안 조하대 저서 해조류의 군집구조. Algae 21:463-470 https://doi.org/10.4490/ALGAE.2006.21.4.463
- 최한길. 2008. 월성원자력발전소 온배수가 해조류 종조성 및 군집 구조에 미치는 영향. Algae 23:151-162 https://doi.org/10.4490/ALGAE.2008.23.2.151
- 황은경, 박찬선, 손철현, 고남현. 1996. 영광 인근 해역 해조군집의 기능형군별 분석. 한국수산학회지 29:97-106
- Bastianoni S., Coppola F., Tiezzi E., Colacevich A. Borghini F. and Focardi S. 2008. Biofuel potential production from the Orbetello lagoon macroalgae:A comparison with sunflower feedstock. Biomass Bioenergy 32:612-628
- Hemminga M.A., Marba N. and Stapel J. 1999. Leaf nutrient reabsorption, leaf lifespan and the of nutrients in seagrass system. Aquat. Bot. 65:141-158 https://doi.org/10.1016/S0304-3770(99)00037-6
- Kang. J.W. 1966.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marine algae. Bull. Pusan Fish. Coll. 7:1-125
- Lobban. C.S. and Harrison P.J. 1994. Seaweed Ecology and Physi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366pp
- McCall R.K., Moncreiff C.A., Randall T.A., Caldwell J.D. and Blackburn B.R. 1999. Seagrass epiphytes:Contribution to local chlorophyll a concentration. Gulf Research Reports 11:74
- Oh Y.S., Lee I.K. and Boo S.M. 1990. An annotated account of Korean economic seaweeds of food, medical and industrial uses. Korean J. Phycol. 5:57-71
- Orfanidis S., Panayotidis P. and Stamatis N. 2001. Ecological evaluation of transitional and coastal and water; A marine benthic macrophytes-based model. Medit. Mar. Sci. 2:45-65
- Phillips J.C., Kendrick G.A. and Lavery P.S. 1997. A test of a functional group approach to detecting shift in macroalgal communities along a disturbance gradient. Mar. Ecol. Prog. Ser. 153:125-138 https://doi.org/10.3354/meps153125
- Saito Y. and Atobe S. 1970. Phytosociological study of intertidal marine algae. I. Bull. Fac. Fish. Hokkadio Univ. 21:37-67
- Tseng C.K. 1981. Commercial cultivation. In:Lobban C.S. and Wynne M.J. (eds), The Biology of Seaweeds. Blackwell, Oxford. pp. 680-725
- Worm B., Lotze H.K. and Sommer U. 2000. Coastal food web structure, carbon storage, and nitrogen retention regulated by consumer pressure and nutrient loading. Limnol. Oceanogr. 45:339-349 https://doi.org/10.4319/lo.2000.45.2.0339
Cited by
- Macroalgal Community Structure on the Rocky Shores of Ongdo, Jusamdo, and Woejodo Islands of the Yellow Sea, Korea vol.14, pp.4, 2011, https://doi.org/10.5657/FAS.2011.0389
- Seasonal Variation in Biomass and Community Structure of Intertidal Seaweeds at Heuksando and Hongdo, Southwestern Coast of Korea vol.46, pp.6, 2013, https://doi.org/10.5657/KFAS.2013.0878
- Seasonal Variation in Macroalgal Community Structure around the Byeonsan Peninsula, Korea vol.47, pp.3, 2014, https://doi.org/10.5657/KFAS.2014.0274
-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at Gwanmaedo and Yeongsando, Korea vol.49, pp.1, 2016, https://doi.org/10.5657/KFAS.2016.0053
- Seasonal Variability of Seaweed Biomass along the Vertical Shore Gradients of Nachido and Odo Islands, the Yellow Sea, Korea vol.13, pp.4, 2010, https://doi.org/10.5657/fas.2010.13.4.324
- A Study on Long-term Monitoring of Seaweed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at Hakampo, Western Coast of Korea vol.48, pp.6, 2015, https://doi.org/10.5657/KFAS.2015.0969
- Temporal Variations in Seaweed Biomass and Coverage in Korean Coasts: Ongdo, Chungnam vol.12, pp.2, 2009, https://doi.org/10.5657/fas.2009.12.2.130
- Development of a quality index to evaluate the structure of macroalgal communities vol.139, 2014, https://doi.org/10.1016/j.ecss.2013.12.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