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VDT syndrome and relating work factors of office workers

사무직 근로자의 VDT 증후군과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 심미정 (광주보건대학 간호과, 전남대학교 간호과학 연구소) ;
  • 이영숙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전남대학교 간호과학 연구소)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Objectives: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visual display terminal(VDT) and related risk factors in office workers. Method: The study subjects were 539 officers at 3 places of business in Gwangju.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between October 12 and October 17, 2007. and they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tool was developed by Moon, Jaedong(1991) for VDT syndrome. Data analysis by using SPSS/win 10.0 was perform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Results: The summary of results is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total VDT syndrome was $1.17{\pm}.65$ of full score 4.00, which was lower than other research. 2) For relation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otal VDT, sex (t=-5.777, p=.000), age (F=3.516, p=.015), satisfaction of job (F=9.540, p=.000), self-awareness of health (F=25.015, p=.000)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For relation between behavioral work factors and total VDT, break time of work(t=-5.363, p=.000), eye movement during computer work(t=2.176, p=.031), wrist exercise during(t=2.337, p=.020), distance between monitor and eyes(F=3.682, p=.012)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For 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work factors and total VDT, height of chair(F=8.801, p=.000), space under desk(F=4.244, p=.015), reflection of monitor(t=2.697, p=.008)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To prevent and relieve VDT syndrome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office workers, it is important to teach good posture and stretching exercise during work.

Keywords

References

  1. 구정화, 이승한. 은행원의 VDT 작업에 따른 피로자각증상. 예방의학회지 1991;24(3):305-313
  2. 김주자, 이경재. VDT 작업 은행원들의 피로자각증상 조사. 예방의학회지 2005;38(1):45-52
  3. 과학기술처. VDT workstation의 인간공학적 설계 및 평가기술에 관한 연구. KSRI-91-IR. 1991
  4. 노동부. 노동백서, 서울:노동부, 2008
  5. 문재동, 이민철, 김병우. VDT증후군 자가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관한 연구. 예방의학회지 1991;24(3):373-389
  6. 박계열. VDT 작업자의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7. 박정일, 조경환, 이승한. 여성 국제전화 교환원들에 있어서의 경관완 장애II. 이학적 검사. 대한산 업의학회지 1986;1(2):151-159
  8. 박희석, 이윤근, 임상혁. 단순반복작업에 관한 인간공학적인 연구-제조업에서 발생하는 누적 외상성질환의 인간공학적 요인 파악 및 예방대책 개발. 직업병 예방을 위한 연구용역 보고서: 한국산업안전공단, 1997
  9. 서미애. 사무직 근로자의 경견완증후군 발생율과 관련요인. 전남대학교 대학원 보건학 석사학위논문, 2007
  10. 심윤정, 김형아. 일부 보험심사자의 근골격계 증상호소율. Korean J. Occup. Health. 2002;41(3):120-130
  11. 안소윤, 신해림, 손성근, 김용완. 부산지역 제조업 근로자들의 요통과 작업환경과의 관계. 인제의학 1991;12(1): 83-92
  12. 양세이. 병원종사자가 지각하는 VDT증후군 증상과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3. 양영애, 김영희, 김용권, 허진강, 송재철, 김윤신. VDT 작업자에 대한 흉추운동프로그램의 통증감소 및 유연성 증가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2004;16(3):250-261
  14. 이일훈. VDT 증후군의 환경적 요인과 관리에 관한 비교적 고찰. 한국안광학회지 1996;1(2):93-97
  15. 이의철, 김환철, 정달영, 김동현, 임종한, 박신구. 사무직 근로자에서 직무스트레스 및 VDT 작업과 목.어깨 근골격계 증상과의 관련성. 대한산업의학회지 2007;19(3):187-195
  16. 최순석, 정귀원, 엄상화, 정수진, 이종태, 전진호, 이채언, 배기택. VDT 취급여성 사무직 근로자들의 견관절 기능장애에 대한 운동요법의 효과. 예방의학회지 1998;31(2):228-239
  17. 한국산업안전공단. 작업관련성질환의 산업의학적 관리 모델개발연구.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5
  18. 황혜영. 보험심사간호사의 VDT증후군 증상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9. Fenety A, Walker JM. Short-term effects of workstation exercises on musculoskeletal discomfort and postural changes in seated eideo display unit workers. Phys Ther 2002: 82(6):578-589
  20. Kendal F. Muscle Testing and Function. Williams & Willins. 1993:73-74
  21. Won-gyu yoo, Chung-hwi Yi & Min-hee Kim. Effects of a Proxinity-Sensing Feedback Chair on Head, Shoulder, and Trunk Postures When Working at a Visual Display Terminal. J Occup Rehabil 2006;16:631-637 https://doi.org/10.1007/s10926-006-905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