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or Images and Symbolism of Traditional Dress in Korean Films and TV Dramas Set

한국 영화와 TV드라마 전통복식에 나타난 색 이미지와 상징성

  • Kim, Young-In (Dept.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Yonsei University) ;
  • Jun, Yuh-Sun (Dept.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Yonsei University)
  • 김영인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 전여선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8.02.29

Abstract

Recently, as popular interest in costumes in Korean films and TV dramas has increased, traditional dress in works has re-evaluated with modern perspective of the Western color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raditional dress for women appeared in works after the 2000s has shown features similar in the use of red has appeared high. The high frequency of brown and pink, orange and purple used main colors in Western works. Also, what is the most prominent is the high frequency of use of achromatic colors. Second, the color harmonies of the East and the West have been done through color arrangement. The structure with more than 2-colors has been gradually changing into single or 2-colors, which give simple images to people. Third, in order to portray characters' diverse and psychological situations, Korean works have expressed the symbolisms of colors from the Western perspective. Though red symbolizes theory of Yin-Yang and Five-Elements, passion and authority since 2000 have used red to make main images. Also, pink is used as softness and pure images. Though works before the 2000s showed low frequency of the brown. The achromatic color that it has been applied to various parts. Recently black has been developing into a color symbolizing themes. Give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t could be expected in future that the categories of color domains will be gradually extended as it is a trend for the traditional dress to escape from primary colors. On the other hand, achromatic colors that minimal and modern sensibility as well as basic color in fashion, especially the black, will increasingly extend ranges of utility or show a tendency of resolute changes.

Keywords

References

  1. 김희정 (2000). 한국 영화의상의 변천과 기능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7-9
  2. 전여선 (2007). 한국 영화와 TV드라마 전통복식에 나타난 색의 변화와 이미지의 상징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3-20 참조
  3. 정시화 (2001). 한민족의 빛과 색中 '한국의 색채문화' 참고정시화, 한국인의 색채의식. 도서출판국제, 200
  4. 하용득 (1989). 한국전통색과 색채 심리. 명지출판사, p. 31.
  5. 이지현 (2005). 한국 복식색채의 특성과 문화 기호론적 해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59
  6. 윤지영, 노주현 (2006). 20세기 전반 동․서양의 시대색에 관한 비교 연구: 시대 복식과 현대 영화의상에서의 재현 비교를 통해. 복식, 56(4), pp. 108-123
  7. 구미래 (1992). 한국인의 상징세계. 교보문고, p. 38.
  8. 전여선 (2007). 한국 영화와 TV드라마 전통복식에 나타난 색의 변화와 이미지의 상징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1-26 참조(궁중복식, 사인복식, 기녀복식)
  9. 전여선. (2007). 한국 영화와 TV드라마 전통복식에 나타난 색의 변화와 이미지의 상징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7-29 참조
  10. 이재만 (2005). 한국의 색. 일진사
  11. 백영자, 이순원 (2000). 한국복식.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pp. 186-187
  12. 강병희, 조희래, 김영인 (1998). 한국적 복식 디자인의 개발을 위한 색동의 색채 분석. 의류, 22(3)
  13. 김희정 (1999). 현대패션에 나타난 동양적 복식이미지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이세리, 이경자 (2001). 한국복식에 나타난 고유배색연구-조선시대 후기 복식유물을 중심으로-. 색채, 단행본, pp. 127-133
  15. 김지영, 김영인 (2006). 기층문화를 통한 한국복식의 색채특성연구, 복식, 56(5), pp. 29-43
  16. 김양희, 소황옥 (1998). 조선시대 여자복식에 나타난 배색연구. 복식, 25(1), pp. 157-170
  17. 김은경, 김영인 (2006). 한국인의 흰색상징, 색채, 20 (4), pp. 25-40
  18. 김은경, 김영인 (2007). 한국인의 백의풍속〔白依風俗〕에 내재된 미의식. 복식, 56(7), pp. 1-18
  19. 은지연 (2002). 영화 춘향전의 복식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영화전문저널 필름 2.0, 10년이 지나도 멋스러운 영화를 위한 프로덕션 디자이너 정구호의 <스캔들> 비주얼 전략 엿듣기, 2003.10 발췌
  21. 양지영, 김영인 (2005). 패션디자인에 있어서 보색배색의 색채 균형에 관한 연구. 색채, 19(2), pp. 49-58
  22. 조주연, 김영인 (2006). 국내 여성복 패션이미지에 따른 배색연구. 복식, 56(4), pp. 160-171
  23. http://movie.naver.com/movie/bi/mi/detail.nhn?code =43547&mb=c 영화전문저널 필름 2.0 2001.01 발췌
  24. http://www.kbs.co.kr/drama/hwangjiny/about/cast/index.htmlmbc,dramanet 10회차 대본 발췌
  25. Davis. M. L. (1980). Visual Design Dress, Prentice Hall, Inc, Englewood Cliffs, New Jersey
  26. 박영순, 이현주 (1998). 색채와 디자인. 교문사
  27. 김은경, 김영인 (2004). 보문: 보라색 복식의 이미지 특성. 의류, 24(3), pp. 373-385
  28. 나한태 (1992). 동, 서양의 영화를 통해 본 색채비교, 영화의 해 실적과 평가. 서울: 영화진흥공사, p. 45
  29. 임원희 (2001).
  30. 이지현 (2004). 한국 복식색채의 특성과 문화기호론적 해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