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m Surge Height on Busan and Gyeongnam coastal region by an Attack of Super-Typhoon

슈퍼태풍 내습 시.부산 경남 연안역의 폭풍해일고

  • Hur, Dong-Soo (Institute of Marine Industry,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Lee, Hyeon-Woo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Lee, Woo-Dong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Bae, Ki-Sung (Institute of Marine Industry,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허동수 (경상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해양산업연구소) ;
  • 이현우 (경상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 이우동 (경상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 배기성 (경상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해양산업연구소)
  • Published : 2008.02.29

Abstract

Recently, the unusual climate change is happening from the global warming in the whole world, the Korean peninsula is also no exception. It is predicted by many researchers that, in the near future, the Super-Typhoon of overwhelming power will occur due to rising temperatures on the sea surface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study, numerical simulation has been performed with the Super-Typhoons which combined route of Typhoon Maemi with typhoon conditons of Hurricane Katrina (New Oleans in U.S.A, 2005), Typhoon Durian (philippine, 2006) and Typhoon Vera (Ise Bay in Japan, 1959) at Busan and Gyeongnam coastal area which has been badly damaged due to storm surge every year. From the numerical results, it is revealed that the storm surge heights of the Super-Typhoons are higher than that of Maemi, specially the storm surge height in the case of Katrina is about 4 times larger. So, it can be pointed out that the construction of countermeasures against disasters are very important in order to prepare against an attack of the Super-Typhoons.

최근, 전 세계적으로 지구 온난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해수면의 온도가 상승함과 동시에 태풍의 강도도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태풍을 연구하는 많은 학자들이 머지않은 미래에 슈퍼태풍이 내습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태풍 Maemi의 시동경로에 미국을 강타한 허리케인 Katrina(미국 뉴올리언스, 2005)와 태풍 Durian(필리핀, 2006) 및 태풍 Vera(일본 이세만, 1959)의 태풍특성(중심기압, 최대풍속반경,이동속도 등)을 조합하여 수치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산 경남 연안역 대부분의 지점에서 Maemi의 경로에 Durian과 Vera를 진행시킨 경우, Maemi내습 시보다 약 $1.5{\sim}2.0$배 높은 폭풍해일고를, Katrina의 경우, 약 4.0배 이상의 높은 폭풍해일고를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은 최대폭풍해일고의 수치로서 슈퍼태풍의 위험성을 충분히 인지하여 최적의 방재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폭풍해일의 재해예방 및 최소화를 위하여 조속히 해결하여야 할 과제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윤구, 토미타, 김도삼, 안성모 (2004). 태풍 매미 내습 시남동연안에서의 해일.파랑에 의한 침수재해 특성. 한반도 해역의 고파폭풍해일 워크숍 논문집, 한국해안해양공학회, 35-43
  2. 이종섭, 한성대 (2004). 마산시의 해일방재대책 방향설정에 관한 고찰. 한반도 해역의 고파폭풍해일 워크숍 논문집, 한국해안해양공학회, 45-47
  3. 필리핀 국가재난방재위원회 (2006). 태풍 두리안(Reming)의 피해. 2006년 12월 16일 오전 06시 보도자료, http://ndcc.gov.ph/ndcc/
  4. 허동수, 염경선, 김지민, 김도삼, 배기성 (2006a). 부산연안에서 폭풍해일고의 추정. 한국해양공학회지, 20(3), 37-45
  5. 허동수, 염경선, 김지민, 김도삼, 배기성 (2006b). 경남연안의 지역특성에 따른 폭풍해일고의 변동. 한국해양공학회지, 20(3), 45-53
  6. JTWC(Joint Typhoon Warning Center). http://metocph.nmci.navy.mil/jtwc.php/
  7. Mitsuyasu, H. and Kusaba, T. (1984). Drag Coefficient over Water Surface under the Action of Strong Wind. Journal of Natural Disaster Science, 6(2), 43-50
  8. Myers, V.A. and Malkin, W. (1961). Some Properties of Hurricane Wind Fields as Deduced from Trajectories. U.S. Weather Bureau, National Hurricane Research Project, Report 49
  9. 高橋重雄, 河合弘泰, 平石哲也, 小田勝也, 高山知司 (2006). ハリケ一ン.カトリ一ナの高潮災害の特徵とワ一ストケ一ス シナリオ. 海岸工學論文集, 53, 411-415
  10. 柴木秀之 (2004). 波浪.高潮.津波の數値計算と沿岸防災支授 システムヘの応用に關する硏究. 東京大學博士學位論文
  11. 宇多高明, 前原隆生, 牧野一正 (1994). 伊勢 高潮の用的 予測モデル. 海岸工學論文集, 41, 261-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