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국토연구원(2004) 공간분석기법. 서울: 도서출판 한울
- 김대식(2007) 경제학원론. 서울: 박영사
- 김영, 김경환, 조재영(2001) 다기준 의사결정모형과 GIS를 이용한 공 원입지선정-진주시의 GB 해제지역을 대상으로-. 국토계획 36(6): 57-67
- 김재왕(2003) 순천시 공원녹지 관리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노경(2002) 지니계수와 로렌츠곡션을 이용한 국내항만의 화물집중 도 분석. 무역학회지 27(3): 285-304
- 사공정희(2004) 대도시의 경관생태적 녹지연계망 구축 방안. 경북대학교박사학위논문
- 사공정희, 나정화(2005) 녹지 잠재 영향권역 설정을 통한 녹지단절구역 분류 및 우선순위 선정. 한국조경학회지 33(2): 1-15
- 이성호, 박승영(2000) 부산시 도시공원의 입지평가에 관한 연구. 도시연구보 10: 67-89
- 이인성, 조규현(2001) 도시공원 입지선정을 위한 GIS 기반의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의 개발. 한국GIS학회지 9(1): 91-105
- 창원시(2007a) 창원시 통계 연보
- 창원시(2007b) 창원시 환경보전 계획
- 최성용(2006) 주민참여 마을만들기의 방법과 사례: 주민참여 한평공원 만들기. 완성이 아닌 시작, 도시와 빈곤 83: 70-83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2) 쾌적한 도시환경을 위한 녹지확보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정책과제 연구보고서
- 한상열(2006) 지니계수와 로렌츠곡선을 이용한 산악형 국립공원의 탐방집중도 분석. 한국임학회지 95(4): 476-483
- 홍성언, 박수홍(2003) GIS와 AHP 의사결정 방법을 이용한 도시 근린공원의 입지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38(5): 849-860
- Gallo, K. P., A. L. McNAB, T. R. Karl, J. F. Brown, J. J. Hood and J. D. Tarpley(1993) The use of a vegetation index for assessment of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4(11): 2223-2230 https://doi.org/10.1080/01431169308954031
- Goodman, W. I. and E. C. Freund(1988) Principles and Practices of Urban Planning. Washington D.C.: ICMA
- Kakwani, N.(1980) Income Inequality and Poverty. Oxford University Press
- Kong, F. and N. Nakagoshi(2006) Spatial-temporal gradient analysis of urban green spaces in Jinan, Chin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8: 147-164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5.07.006
- Kong, F., H. Yin and N. Nakagoshi(2006) Using GIS and landscape metrics in the hedonic price modeling of the amenity value of urban green space: A case study in Jinan City, Chin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9: 240-252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6.02.013
- Landsberg, H. E.(1981) The Urban Climate. New York: Academic Press
- Linehan, J., M. Gross and J. Finn(1995) Greenway planning: Developing a landscape ecological network approach.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33: 179-193 https://doi.org/10.1016/0169-2046(94)02017-A
- Oh, K. and S. Jeong(2007) Assess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urban parks using GI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82: 25-32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7.01.014
- Roumenina, E., G. Jelev, R. Nedkov and V. Naydenova(2007) Mapping green urban space using high spatial resolution images.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Recent Problems in Geodesy and Related Fields with International Importance. Sofia, Bularia
- Tankel, S. B.(1963) The Important of Open Space in me Urban Pattern. Cities and Space. Baltimore: The Jone Hopkins Press
- Tunnard, C. and B. Pushcarec(1963) Man-Made-American New Human. Yale University Press
- Turner, T.(2006) Greenway planning in Britain: Recent work and future plan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6: 240-251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4.09.035
- Yeh, A. G. and M. H. Chow(1996) An integrated GIS and Location-Allocation approach to public facilities planning: An example of open space planning. Computers, Environments and Urban Systems 20: 339-350 https://doi.org/10.1016/S0198-9715(97)00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