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ensus-Building on Most Important Problems: Analysis of Gallup Data from 1991 to 2006

중요한 사회적 의제(MP)에 대한 공적 합의: $1991{\sim}2006$년의 갤럽데이터 분석

  • Ha, Sung-Tae (School of Journalism of Communications, Kyung Hee University) ;
  • Cho, Eui-Hyun (Graduate School of Journalism of Communications, Kyung Hee University)
  • 하승태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부) ;
  • 조의현 (경희대학교 대학원 언론정보학과)
  • Published : 2008.02.14

Abstract

Based on the theory of news media's agenda-setting function, this study analyzed Korean public's most important problems (MIP) and the degree of public consensus on the importance of those MIP's. The analysis was done in terms of both time and social strata. According to the findings, economy, social welfare, and political issues were in the for tier of the MIP list. The analysis of issue diversity (H-statistic) also demonstrated a relatively high degree of agenda consensus among Korean public despite some fluctuation in the consensus level, which appears to be higher than that among the American public. A decrease in the degree of agenda consensus with the passage of time appealed to be a general phenomenon across diverse social strata. However, the degrees of consensus-building were different in light of education,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size of residential area. Those who are more educated, have more economic power, and live in a larger city had more chances to experience agenda consensus. These results seem to be basically attributable to the presume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se demographic variables and media exposure. The different degrees of public consensus according to the different levels of those demographic variables suggest that a closer investigation into the various influences on the importance of public issues among the respondents should be done in future studies.

본 연구는 뉴스미디어의 의제설정 기능이라는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국 공중의 중요한 사회적 의제(MIP)와 이러한 MIP의 중요성에 대한 공중의 사회적 합의 수준을 시기별로 그리고 다양한 사회계층별로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보면, 우선 한국 공중들의 MIP는 주로 경제, 시화복지, 그리고 정치 관련 이슈들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중의제의 일치 정도를 알아볼 수 있는 의제의 다양성분석(H-statistic)에서는 일정한 변동의 폭에도 불구하고 장기간에 걸쳐 상당히 높은 의제일치 정도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미국 공중의 의제일치 정도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나아가 한국 공중의 의제다양성은 과거에 비해 어느 정도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감소는 다양한 사회계층에서 나타나는 전반적인 현상으로 보인다. 그러나 교육수준, 경제수준, 그리고 거주 지역에 따른 여러 사회계층들 사이에서 상이한 의제다양성이 관찰되었는데, 즉 교육수준이 증가할수록, 사회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거주지역의 단위가 클수록 보다 높은 의제일치현상이 관찰되었다. 이런 결과는 해당 변인들과 미디어노출이라는 요인 간의 정적인 관계에 어느 정도 기인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공적 의제들의 중요성에 대한 한국 공중의 높은 사회적 합의수준에도 불구하고, 교육, 경제력, 그리고 거주지역 등에 따른 차별적인 합의의 정도는 공적 이슈에 대한공중들의 인식에 미치는 다양한 사회적 영향들에 대한 후속적인 탐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