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Optical System Design Composed of Spherical SELFOC Lens and Aspherical Plastic Lens for Mobile Phone Camera

1매의 구면 SELFOC 렌즈와 1매의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로 구성된 카메라폰용 광학계의 설계

  • Lee, Yong-Sun (Department of Laser and Optical Information Engineering, Cheongju University) ;
  • Lee, Jong-Ung (Department of Laser and Optical Information Engineering, Cheongju University)
  • 이용선 (청주대학교 레이저광정보공학과) ;
  • 이종웅 (청주대학교 레이저광정보공학과)
  • Published : 2008.04.30

Abstract

We designed optical systems for a mobile phone camera using a spherical SELFOC lens and an aspherical plastic lens. Since the radial index distribution gives an additional design parameter for optical design, an aspheric lens could be replaced by a spherical lens. The imaging performances of the design were compared with conventional 2P design composed of two aspherical plastic lenses. In the first stage of study, we designed 1GRIN 1P lenses by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SELFOC materials. But, the conventional 2P lenses had better performance than the 1GRIN 1P lenses. In the 1GRIN 1P designs, the performance depends on index variation of GRIN material, the larger variation gives the better performance. Hence, we tried to design by using fictitious GRIN materials which have large index variation. We found if the index variation could be increased to about 3 times that of currently available SELFOC materials, the 1GRIN 1P lens will have equivalent or better performance than the conventional 2P design.

구면 SELFOC 렌즈와 플라스틱 비구면 렌즈를 사용하여 mobile phone 광학계를 설계하였다. SELFOC 소재는 radial GRIN(gradient index) 분포를 가지며, 이것은 설계에 추가적인 자유도를 제공하므로, 비구면을 구면으로 대치할 수 있다. 두개의 플라스틱 비구면 렌즈로 구성된 통상적인 2P 광학계와 결상특성을 비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SELFOC 소재를 사용하여 1GRIN 1P 광학계를 설계하였다. 그러나 1GRIN 1P의 성능보다 통상적인 2P 광학계의 성능이 좋았다. 1GRIN 1P 설계에서 성능은 GRIN 소재의 굴절률 구배에 의지하므로 굴절률 구배가 클수록 좋은 성능을 보인다. 그러므로 큰 굴절률 구배를 갖는 가상의 GRIN 소재를 사용하여 광학계를 설계하였다. 현재 시판되는 SELFOC 소재보다 3배 정도 굴절률 구배가 큰 GRIN 소재가 개발된다면, 1GRIN 1P 광학계의 성능이 통상적인 2P 광학계의 성능과 유사하거나 더 좋아 질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춘곤, 남병덕, "디지털 카메라의 기술현황", 광학과 기술 제2권 제1호, pp. 62-70, 1998
  2. Duncan T. Moore, HandBook of optics II (McGraw-Hill Inc., United States of America, 1995), Chap. 9
  3. P. J. Sands, "Third-order Aberrations of Inhomogeneous Lenses," J. Opt. Soc. Am., vol 60, no 1, pp. 1-7, 1970 https://doi.org/10.1364/JOSA.60.000001
  4. Leland G. Atkinson, Susan N. Houde-Walter, Duncan T. Moore, Danette P. Ryan, and Joan M. Stagaman, "Design of a gradient-index photographic objective," Appl. Opt., vol. 21, no. 6, pp. 993-998, 1982 https://doi.org/10.1364/AO.21.000993
  5. J. Brian Caldwell and Duncan T. Moore, "Design of gradientindex lens systems for disc format cameras," Appl. Opt., vol. 25, no. 18, pp. 3351-3355, 1986 https://doi.org/10.1364/AO.25.003351
  6. K. Siva Rama Krishna and Anurag Shama, "Chromatic aberrations of radial gradient-index lenses. II. Selfoc lenses," Appl. Opt., vol. 35, no. 7, pp. 1037-1040, 1996 https://doi.org/10.1364/AO.35.001037
  7. Code-V Reference Manual, Optical Research Associates. Vol. 1, Chap. 5
  8. Erich W. Marchand, Gradient Index Optics (Academic Press, New York, 1978)
  9. Duncan T. Moore, "Gradient-index optics: a review," Appl. Opt., vol. 19, no 7, pp. 1035-1038, 1980 https://doi.org/10.1364/AO.19.001035
  10. Daniel Malacara, Zacarias Malacara, Handbook of lens design (Marcel Dekker Inc, 1994)
  11. 정호섭, "New Horizon for Slim Camera Module," 한국 광기술의 현황과 전망, 한국광학회 광기술분과, 청주대학교 대천수련원, 제 16 회 광기술 워크샵 논문집, pp. 120-124, 2006
  12. 김동식, "비구면 유리렌즈를 이용한 초소형 휴대폰용 렌즈모듈 개발", 한국 광기술의 현황과 전망 한국광학회 광기술분과, 청주대학교 대천수련원, 제 16 회 광기술 워크샵 논문집, pp. 125-142, 2006
  13. 윤용규, "슬림형 모바일 폰 카메라용 광학계 설계 및 평가", 한국 광기술의 현황과 전망, 한국광학회 광기술분과, 청주대학교 대천수련원, 제16회 광기술 워크샵 논문집, pp. 143-172,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