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agnostic Value of Dynamic US in the Extensor Tendon Dislocation at the Metacarpophalangeal Joint

중수지 관절부 신전건 탈구에서 실시간 표시 초음파의 진단적 가치

  • Moon, Eun-Su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Park, Yong-Cheo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Kim, Myung-Su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문은선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박용철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김명선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Purpose: We studied the diagnostic value of dynamic US in the extensor tendon dislocation at the metacarpophalangeal joint.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7 to October, we studied 6 cases that had been diagnosed and followed over 5 months (2-10) in average. US examination using a 10-MHz linear transducer were performed in three cases. The causes of dislocations were traumatic in 5 cases and congenital in one case. Results: In only 3 cases which could not be diagnosed clinically, we performed US. In dynamic US, all three cases showed the extensor tendon dislocation evidently. Operative findings were sagittal band rupture in 4 cases, capsular loosening in one case and sagittal band thinning in one case. Sagittal band repair was performed in 4 cases and capsular augmentation in one case. In case of congenital dislocation showing 4 digital extensor tendon dislocations in right hand, we operated only the second extensor by sagittal band repair with augmentation by looping. At last follow-up, no case showed recurrence or limitation of motion. Conclusion: In case of extensor tendon dislocation without apparent clinical finding, US with dynamic study has so great value that it can detect the dislocation in real time, which is superior to MRI.

목적: 중수지 관절부 신전건 탈구에서 동적 초음파의 진단적 가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월부터 10월까지 본원에서 중수지 관절부 신전건 탈구로 진단받은 6예에 대해 평균 5개월(2~10개월)간 추시하였다. 3예에서 10-MHz 선형 진동자를 이용하여 초음파를 시행하였으며, 동적 초음파를 동시에 실시하였다. 원인은 5예가 외상에 의한 발생이었고, 1예는 선천적 발병이었다. 결과: 임상적으로 진단이 불가능했던 3예에 대해서만 초음파 검사와 동적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고, 모두에서 신전건 탈구를 관찰하였다. 수술 소견상 4예는 시상대 파열 소견을 보였고, 1예에서는 관절낭의 이완 소견, 나머지 1예에서는 시상대가 얇아진 소견을 보였다. 4예에서 시상대 봉합술을 시행하였고, 1예에서는 관절낭 보강술 시행하였다. 선천적 발병으로 생각된 1예에서는 우측 2, 3, 4, 5 수지 신전건 탈구 가운데 증상을 동반한 제 2수지에 대해서만 시상대 봉합술 및 시상대를 이용한 고리 보강술을 시행하였다. 최종 추시상 모든 예에서 탈구의 재발은 없었고 관절 운동범위는 정상이었다. 결론: 중수지 관절부에서 신전건 탈구에서 초음파 검사는 임상적으로 저명한 탈구가 없는 경우에 의의가 크며, 특히 동적 초음파는 자기공명영상 촬영에 비해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