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안 디아스포라: 공동체에서 네트워크로

Korean Diaspora: From Overseas Compatriots to Network

  • 발행 : 2008.12.25

초록

그 동안 코리안 디아스포라에 관한 논의는 이주 배경과 정체성에 대한 것이 주를 이루었다. 이주 과정에서의 적응, 동화, 정체성 등의 제 현상에 대한 연구는 좋은 예이다. 이러한 논의는 미주, 일본, 러시아, 중국 등에 이주한 한인들에 대한 실태 조사와 아울러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 디아스포라는 더 이상 유랑자가 아니라 해외에 거주하는 유용한 '자원'으로 개념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코리안 디아스포라가 한민족공동체로서 뿐만 아니라 해외 한인들을 포함하는 글로벌 네트워크의 구축이 절실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우선 글로벌 네트워크가 잘 구축되어 있는 유대인 네트워크와 화교 네트워크의 특성을 검토한다. 이들은 전 세계 곳곳에 사람과 자본을 심어 놓은 이른바 현지화 세계화 전략을 꾸준히 전개해 왔다는 점에서 중요한 예가 되기 때문이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해외 한인을 묶을 수 있는 네트워크의 구축이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 문제점은 무엇인지 그리고 발전방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시키고 있다. 전 세계에 퍼져 있는 해외 한인을 연결시켜 주는 글로벌 네트워크의 구축이야 말로 21세기 무국경 무한경쟁시대를 헤쳐 나갈 수 있는 지름길이기 때문이다.

The study of Korean diaspora has focused on migration, adaptation, and identity of overseas Koreans in China, the CIS, Japan, and the United States. However, the contemporary concept of a diaspora is a way of understanding migration, cultural difference, identity politics, and so on. Thus, this more broadly defined diaspora is used to mean a dispersion of people of a common national origin or of common beliefs living in exile. As of 2007, it is estimated that there are about 7 million Koreans living in 170 countries outside the Korean peninsula. Some have left Korea involuntarily and some others voluntarily. But most of them actively try to maintain their identity and culture as Koreans. With the large number of overseas Koreans, there has recently been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networking among overseas Koreans in the 21st centu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Korean Global Network of overseas Koreans. In doing so, this paper reviewed the case of Jewish and Chinese network. Then, this paper indicates the problems in the networking of overseas Koreans and suggests the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n Global Network. Above all, there should be changes in the government's policy towards overseas Koreans in the direction of organizing networks of overseas Koreans to coexist with the mother country. The government should adopt a policy to restore trust in overseas Koreans. It should take a pragmatic approach to the mutual interests in the socioeconomic relations instead of taking a political approach to overseas Koreans.

키워드

참고문헌

  1. 경제기획원 (1987) 해외이주편람
  2. 김재기 (2006) 세계화 시대 글로벌 코리안 네트워크와 국가발전 한국학술정보
  3. 김재기 (2008) "코리아스포라와 모국관계의 정치경제: state-linked diaspora 관 점에서", 하계정치학회발표논문
  4. 우노마사미 (1987) 유태인을 알면 세계를 알 수 있다 서인석(역) 원음사
  5. 우노마사미 (2003) 유태인의 세계 경제전략 김홍기(역) 교문사
  6. 윤인진 (2003) "코리안 디아스포라" 한국사회학 37(4) 한국사회학회
  7. 윤인진 (2004) 코리안 디아스포라 고려대학교 출판부
  8. 이광규 (1996) "세계의 한민족: 총관" 세계한민족총서 I 통일원
  9. 정성호 (1998) "해외한인의 지역별 특성" 한국인구학 21(1) 한국인구학회
  10. 정성호 (2004) 화교 살림출판사
  11. 정성호 (2003) 유대인 살림출판사
  12. 최우길 (2008) "이명박 정부의 재외동포 정책 과제" 하계정치학회발표논문
  13. 카스텔 (2003) 네트워크 사회의 도래 김묵한.박행웅.오은주(역) 한울
  14. 한국일보편 (1990) 지구촌 한민족: 유이민의 어제와 오늘 한국일보사
  15. 홍사원.김사헌 "한국해외이민연구"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조사보고서 제 79-07권
  16. American Jewish Committee (1995, 1996) American Jewish Yearbook
  17. Safran, Willian (1991) "Diasporas in Modern Societies: Myths of Homeland and Return" Diasporas 1(1): 83-99 https://doi.org/10.1353/dsp.1991.0004
  18. Tololian, Khachig (1991) "The Nation State and Its Others: In Lieu of a Preface" Diasporas 1(1): 3-7 https://doi.org/10.1353/dsp.1991.0008
  19. Choi, Inbom, (2003) "Korean Diaspora in the Making: Its Current Status and Impact on the Korean Economy" pp.9-27 in Fred Bergsten & Inbom Choi (eds). The Korean Diaspora in the World Economy, Washington, DC: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es